•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method

검색결과 7,230건 처리시간 0.032초

하이퍼그래프 모델 기반의 장면 이미지 분류 기법 (Hypergraph model based Scen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 최선욱;이종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2
    • /
    • 2014
  • 이미지를 각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일은 컴퓨터 비전 분야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미지에 존재하는 가변성, 모호성, 스케일 문제 등으로 인해 매우 도전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 이미지를 구성하는 시멘틱 속성들의 고차원의 상호작용 관계를 고려 가능한 하이퍼그래프 기반의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장면 이미지 분류에 적용한다. 각 장면 카테고리에 준최적화된 하이퍼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해 확률 부분공간 기법에 기반을 둔 탐색기법을 제안하고, 이들 부분 공간 내에 속한 시멘틱 속성들의 발현량을 축약하기 위한 우도비 기반의 선형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기법을 통해 생성된 특징 벡터의 분별력이 기존의 기법들에서 사용된 특징 벡터들의 분별력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장면 분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여 경쟁력 있는 분류 성능을 보인다. 제안 한 기법은 이미지 분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기법인 BoW+SPM 모델과 비교하여 3~4%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산악지역 점군자료 분류기법 연구 (Point Cloud Classification Method for Mountainous Area)

  • 최연웅;이근상;조기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7-388
    • /
    • 2010
  • There is no generalized and systematic method yet to data pre-processing for point cloud data classification even if there have been lot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local maxima filter, morphology filter, slope based filter and so on.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lassification method for bare ground information from LiDAR data for the mountainous area.

  • PDF

오디오 부호화기를 위한 스펙트럼 변화 및 MFCC 기반 음성/음악 신호 분류 (Speech/Music Signal Classification Based on Spectrum Flux and MFCC For Audio Coder)

  • 이상길;이인성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39-24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부호화기를 위한 스펙트럼 변화 파라미터와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MFC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성과 음악 신호를 분류하는 개루프 방식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단구간 특징 파라미터로 MFCC를 사용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장구간 특징 파라미터로 스펙트럼 변화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음성/음악 신호 분류 결정은 단구간 분류와 장구간 분류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패턴인식을 위해 Gaussian Mixed Model(GMM)을 사용하였고, Expectation Maximization(E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GMM 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제안된 장단구간 결합 음성/음악 신호 분류 방법은 다양한 오디오 음원에서 평균적으로 1.5% 분류 오류율을 보였고 단구간 단독 분류 방법 보다 0.9%, 장구간 단독 분류 방법보다 0.6%의 분류 오류율의 성능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제안된 장단구간 결합 음성/음악 신호 분류 방법은 USAC 오디오 분류 방법보다 타악기 음악 신호에서 9.1% 분류 오류율, 음성신호에서 5.8% 분류 오류율의 성능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원격탐사 데이터의 이차계획법에 의한 토지피복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of Remote Sensed Data Using Quadratic Programming)

  • 전형섭;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3-17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데이터의 분류방법으로서 이차계획법을 토지피복 추출에 적용하였으며, 주제도 추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대우도와 신경망의 분류결과와 정확도를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차계획법에 의한 분류방법이 최대우도법에 비하여 평균 6%정도의 향상된 분류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서 원격탐사 데이터의 분류에 이차계획법을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이차계획법에 의한 분류에서는 클래스 구성비가 클래스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기존의 이진적인 분류방법에서 무시되었던 결과 값들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사후확률 결합에 의한 분류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s using orthogonal summation of posterior probabilities)

  • 정재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1-125
    • /
    • 2004
  • 위성영상 분류에 관한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분류 정확도 향상에 있다. 동일지역에 대한 동일시기의 위성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복수의 위성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정확도가 향상된 분류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 주제는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데이터의 사후확률 및 분류 불확실도를 Dempster-Shafer의 증거이론에 적용하여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개별적인 데이터 분류나 데이터간 융합에 의한 분류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전체정확도와 Kappa 지수 모두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정확도 차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성장곡선모형의 판별분석에서 균형이차분류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the Balanced Quadratic Classification Rule on the Discriminant Analysis in Growth Curve Model)

  • 심규박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3-67
    • /
    • 1995
  • The problem considered here is to find the optimal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in growth curve model. It has been studied how to find correct prior probability for the effective classification in discriminant analysis. We use the balanced condition to calculate prior probability. From the informative simulation study, new classification rule for the growth curve model is suggested.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rule has better classification result than the other previously suggested method in terms of error rate criterion.

  • PDF

딥 러닝 회귀 모델 기반의 TSOM 계측 (A Through-focus Scanning Optical Microscopy Dimensional Measurement Method based on a Deep-learning Regression Model)

  • 정준희;조중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8-113
    • /
    • 2022
  • The deep-learning-based measurement method with the through-focus scanning optical microscopy (TSOM) estimated the size of the object using the classification. However, the measurement performance of the method depends on the number of subdivided classes, an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repare data at regular intervals for training each class. We propose an approach to measure the size of an object in the TSOM image using the deep-learning regression model instead of using classification. We attempted our proposed method to estimate the top critical dimension (TCD) of through silicon via (TSV) holes with 2461 TSOM imag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As a result of our experiment, the average measurement error of our method was within 30 nm (1σ) which is 1/13.5 of the sampling distance of the applied microscope. Measurement errors decreased by 31% compared to the classification result. This result prov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than the classification method.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 제품 분류 방식의 효과 (The Effect of the Fashio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n Online Shopping Sites)

  • 한서영;조윤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7-30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on user perception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online shopping sites. The caus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re also examined. The analysis was based on an online survey with 247 responses. Four types of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developed and used as a stimulus. The results of the mean comparis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variety, information overloa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attitude towards the site varies significantly with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There was also of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structure on perceived variety and information overload.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variety positively influenc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owever, information overload had a negative effect on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Both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si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assification method influences customer perception and attitude. It offers interesting insights on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s a strategic tool for online shopping.

중력모델에 기반한 하이퍼스텍트럴 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based on Gravity type Model)

  • 변영기;이정호;김용민;김용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3-186
    • /
    • 2007
  •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data contain plenty of information about objects, which makes object classification more precise. Over the past several years, different algorithms for the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image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e proposed method based on absorption band extraction and Gravity type model to solve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problem. In contrast to conventional methods that are based on correlation techniques, this method is simple and more effective. The proposed approach was teste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evaluation was don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reexiting SFF(Spectral Feature Fitting) classification method.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e proposed approach has a good potential in the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 PDF

Performance of GMM and ANN as a Classifier for Pathological Voice

  • Wang, Jianglin;Jo, Cheol-Woo
    • 음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51-162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the classification of pathological voice using GMM (Gaussian Mixture Model) and compares the results to the previous work which was done by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Speech data from normal people and patients were collected, then diagnosed and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Six characteristic parameters (Jitter, Shimmer, NHR, SPI, APQ and RAP) were chosen. Then th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aussian mixture method was employed to discriminate the data into normal and pathological speech. The GMM method attained 98.4% averag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with training data and 95.2% averag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with test data. The different mixture number (3 to 15) of GMM was used in order to obtain an optimal condition for classification. We also compared the average classification rate based on GMM, ANN and HMM. The proper number of mixtures on Gaussian model needs to be investigated in our future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