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10-12세 아동의 측두하악장애와 부정교합의 유병율에 관한 연구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nd Malocclusion in 10 - 12 year Old Children)

  • 이남기;최동순;이혜미;차봉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29-4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10-12세 성장기 아동에서 측두하악장애의 증상과 징후 및 부정교합의 유병율과 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강릉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의 10-12세 아동 465명(남자 233명, 여자 232명)을 대상으로 간이병력조사와 간이임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측두하악장애 증상 중 두통의 유병율(34.6%)이 가장 높았으며, 여자(40.4%)가 남자(28.8%)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 밖의 측두하악장애 증상은 연령 증가에 따라 혹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측두하악장애 징후 중 단순관절음의 유병율(32.9%)이 가장 높았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악관절 촉진시 측방 압통의 유병율은 18.1%이었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근육 촉진시 압통에서 교근의 유병율(15.1%)은 전측두근과 후측두근 보다 높았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개구제한의 유병율은 30.3%를 차지하였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모든 측두하악장애 징후의 유병율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ngle's I급 부정교합(73.3%)이 가장 흔하였으며, 다음으로 III급 (12.9%), II급 1류 (11%), II급 2류 (2.8%) 순을 보였다. 각각의 교합상태의 유병율은 성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측두하악장애 증상 및 징후에 관련된 교합상태는 II급 1류와 III급 부정교합이었다 (p<0.05). 본 연구결과는 성장기 아동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 및 징후가 높은 유병율을 나타내, 성장기 아동의 측두하악관절 평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제II급 2류 부정교합에서 하악 절치 치축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Lower Incisor Axis in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 최원철;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7-50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제II급 2류 부정교합에서 하악 절치 치축의 보정 이후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62명의 제II급 2류 부정교합 증례들에서 교정 치료전(T1)과 치료후(T2) 그리고 장기간의 보정이후(T3)의 치아 모형과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들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각 시기별로 여러 개의 선 및 각도 계측을 시행하고 각 성별과 발치-비발치에 대한 하악 절치 치축 변화량의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II급 2류 부정교합 치료 동안 순측으로 경사된 하악 절치들은 불안정하였고 원래의 설측 위치로 되돌아갔다(p<0.001). 하악 절치들의 설측 재발량에 대하여는 발치와 비발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하악 절치들의 축변화에 대하여는 남녀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다중 회귀 분석의 결과, 보정 이후 A-Pog선에 대한 하악 절치의 위치를 가장 잘 예측하는 두부계측 방사선 계측 항목은 치료전 L1-Apog(mm)과 치료전 SNGoMe$(^{\circ})$였다. 교정치료 이후 순측으로 경사된 하악 절치들의 불안정성 때문에 치료 목표는 치료전 절치 치축의 위치가 되어야 한다.

Un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ignificant maxillary midline deviation: A possible correlation with root proximity to the incisive canal

  • Imamura, Toshihiro;Uesugi, Shunsuke;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6
    • /
    • 2020
  • Root resorption can be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the cortical bone.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21-year-old female with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ho exhibit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ignificant left-sided devi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e to lingual dislocation of the left lateral incisor and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a Class I skeletal relationship (A point-nasion-B point, 2.5°) and proclined maxillary anterior teeth (upper incisor to sella-nasion plane angle, 113.4°). The primary treatment objectives were the achievement of stable occlusion with midline agreement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and appropriate maxillary anterior tooth axes and molar relationship. A panoramic radiograph obtained after active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therefore, we perform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hich confirmed root resorption along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incisive canal. The findings from this case, where different degrees of root resorption were observed despite comparable degrees of orthodontic movement in the b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suggest that the incisive canal could be an inducing factor for root resorp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confirm this assumption.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Teuscher 장치의 치료효과 (Treatment effects of the Teuscher appliance in skeletal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모성서;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7-257
    • /
    • 2003
  •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Activator, FR(Functional regulator), Headgear, Herbst 장치, Twin-block등의 많은 장치가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때 기대하는 가장 바람직 한 효과는 상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성장의 억제와, 하악골의 성장이 촉진되어 바람직한 골격적 관계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토대 위에 치아들이 적절하게 배열되는 것일 것이다. Teuscher장치는 Headgear의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억제작용과 Activator의 하악골 성장촉진 작용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실제 임상 중에 이러한 효과가 잘 구현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성장기 남녀 각각9명(평균연령 남자 8세 11개월, 여자 9세 4개월)을 대상으로 Teuscher appliance를 평균 남아는 평균10개월, 여 아는 평균 11개월간 사용하였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상악골의 전방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주었다. 2. 상악 dentoalveolar complex의 전하방 성장을 억제하여 주었다. 3. 하악골의 전방 성장 촉진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4. Overjet, overbite, molar key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5. 장치의 사용으로 상순의 돌출도의 개선과 안모가 향상되었다.

Bioprogressive Therapy에 의한 Angle II급 1류 부정교합의 교정치험예 (Case Reports of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s treated by Bioprogressive Therapy)

  • 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9-222
    • /
    • 1983
  • Three patients who had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ere treated by Bioprogressive therapy. In spite of their occlusions, the 3 patients did not have any skeletal problems. Their skeletal patterns were within normal range. So headgear or functional appliance therapy were not considered. During the treatment procedure, the most noteworthy results of Bioprogressive therapy were the effect of the Utility arch to intrude 4 mandibular anterior teeth, the effect of the Cuspid retractor in cuspid retraction and the effect of the Double delta retraction arch in the retraction of 4 anterior teeth. The whole treatment results in these cases which were achieved by Bioprogressive therapy were very favorable and the efficiency of this therapy was very excellent.

  • PDF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와 유지시 골격치성요소의 변화 (Skeleto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reten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김상철;김선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87-698
    • /
    • 2000
  •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Edgewise방법으로 치료하고 유지시킨 II급 부정교합의 골격 및 치성요소의 변화를 치료 전, 후 및 유지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알아봄으로써 성인 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양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발치로 치료한 II급 부정교합자 22명과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한 2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였으며, 발치치료군 4명과 비발치치료군 4명의 유지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유지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두개저 및 상,하악 기저골에 기준으로 서로 중첩시켜 골격양상의 변화 및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수평적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전,후방 안면고경과 하안면고경 등의 수직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교합평면의 유의한 경사를 보였다. 2. 비발치군에서 상악 중절치는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 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을,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를 보였으나, 근심이동은 보이지 않았다. 유지 기간 동안 상하악 구치는 약간의 근심경사를 보였다. 3. 발치군에서 상하악 중절치 모두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과 동시에 유의한 근심이동을 보였으며,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와 수직적인 정출 및 근심이동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의 근심경사만을 보였다.

  • PDF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Bionator의 적응증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N THE INDICATION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안석준;김종태;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bionator를 사용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후 결과를 토대로 치료전에 치료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을 알아봄으로써 성장하는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얻는데 있다. bionator를 사용한 앵글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48명의 치료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통해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양군의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비교분석을 통해 두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계측항목들을 알아보았고,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전 골격계측 항목으로는 ANB, facial convexity angle, AB to facial plane angle 등이, 치성계측 항목으로는 L1 to A-Pog, U1 to facial plane, L1 to facial plane 등이, 연조직 계측항목으로는 Ricketts esthetic line 상에서 상, 하순의 돌출도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SAS t-test, p<0.05). 2. 판별분석을 통해 유의성있게 나타나는 항목의 순위를 본 결과 L1 to facial plane, 하순의 돌출도, ANB과 FMIA 등이 양군의 치료결과의 예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증감판별분석을 통해 서로 독립적이며 상관계수가 높은 3개의 변수 - L1 to facial plane, articular angle, ANB- 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판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Preliminary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and arch dimension chang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treated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conventional anchorage vs. mini-implant anchorage

  • Park, Heon-Mook;Kim, Byoung-Ho;Yang, Il-Hyun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280-290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nchorage on tooth movement and arch-dimension changes in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CII div.1) patients. Methods: CII div.1 patients treated with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sliding mechanics were allotted to conventional anchorage group (CA, n = 12) or OMI anchorage group (OA, n = 12). Pre- and post-treatment three-dimensional virtual maxillary models were superimposed using the best-fit method. Linear, angular, and arch-dimension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oftware program.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CA group, the OMI group showed more back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canine (MXCI, MXLI, MXC, respectively; 1.6 mm, p < 0.001; 0.9 mm, p < 0.05; 1.2 mm, p < 0.001); more intrusion of the MXCI and MXC (1.3 mm, 0.5 mm, all p < 0.01); less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first, and second molars (MXP2, MXM1, MXM2, respectively; all 1.0 mm, all p < 0.05); less contraction of the MXP2 and MXM1 (0.7 mm, p < 0.05; 0.9 mm, p < 0.001); less mesial-in rotation of the MXM1 and MXM2 ($2.6^{\circ}$, $2.5^{\circ}$, all p < 0.05); and less decrease of the inter-MXP2, MXM1, and MXM2 widths (1.8 mm, 1.5 mm, 2.0 mm, all p < 0.05). Conclusions: In treatment of CII div.1 malocclusion, OA provided better anchorage and less arch-dimension change in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han CA during en-masse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L-ARS를 이용한 Cl II div. 1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L-ARS(LIGATED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 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7-454
    • /
    • 1993
  •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 relationship was treated with L-ARS. L-ARS is fixed functional appliance that could be effective in children and adolescent patient who don't wear activa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Growth of Mandible was stimulated and overjet was decreased, therefore coupling of anterior teeth was established with L-ARS which is fixed functional appliance. 2) These changes were accomplished with Mandibular skeletal growth with no effect on the Maxilla. 3) L-ARS was especially effective on patient who deny to wear the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 PDF

Angle씨 제 2 급 1류 부정교합환자 치료 전후의 안모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SOFT TISSUE PROFILE CHANC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이유원;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199
    • /
    • 1983
  •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is to produce functional occlusion and to create or maintain facial esthetic harmony. The soft-tissue covering of the fac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cial esthetics, speech and other physiologic functions. The study of the soft-tissue profile is important for the planning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author studied cephalometric X-ray films on 49 patients (23boys, 26 girls) with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ranged from 9 to 13 years of age. Roentgenocephalmetric X-ray films were taken pre and post orthodontic care. Tracings were made in usual manner.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There was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on mean changes. 2. In the comparison of the soft-tissue thickness changes, Ls-Ls' and Si-Si' in male subjects were remarkable. 9.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sseous (Ss') change and soft-tissue (Ss) chang, of maxilla in male and female subjects subsequent to orthodontic treatment. 4. The ratios between the protraction of the Ss' and that of the Ss were 1:1.5 in all sexes, the ratios between the Si' and that of the Si were 1:1.4 in male and 1:1.2 in female. 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xillary central incise. angulation change $({\angle}A)$ and upper lip inclination change $({\angle}B)$ in all sexes. 6. There were little correlations between change in distance difference of Is and Ii and change in distance difference of Ls and Li in all sexes in all sex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