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 perfringen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Microbial Contamination by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nterobacter sakazakii in Sunsik

  • Lee, Eun-Jin;Kim, Sung-Gi;Yoo, Sang-Ryeol;Oh, Sang-Suk;Hwan, In-Gyun;Kwon, Gi-Sung;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48-953
    • /
    • 2007
  • The powdered cereal sunsik is a partially thermal-processed product that required safety evaluations for food-borne pathogens. Thirty-six sunsik products from Korean mark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ntamination by total viable cell counts,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the spore-forming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cillus cereus. Enterobacter sakazakii, as a newly emerging pathogen, was also analyzed. Approximately 28% of sunsik were contaminated at 5 log CFU/g for total viable counts. Coliform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33 and 4% of the samples, respectively. The spore-forming B. cereus was found in 42% of the samples at a maximal level of 3 log CFU/g on average. About 6% the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Cl. perfringens at an average level of 15 CFU/g. Forty-five % of sunsik contained E. sakazakii, at levels from 0.007 to over 1.1 cell/g by MPN method. In addition, one sunsik product for infants and children showed over 3 log CFU/g for both B. cereus and E. sakazaki. Therefore, concern should be placed on controlling for microbial hazards such as B. cereus and E. sakazakii in sunsik, particularly for the products fed to infants under 6 months of age.

사라리 축우폐사의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tiological agents of sudden death in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 정종식;박노찬;김정화;김영환;조광현;조민희;손재권;김영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5-347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linicopathological, microbiological, pathological observations and other tests from sudden death in feedlot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1999. Massive or sporadic occurrence of sudden death has been observed in 101 heads of 47 farmhouse. There were 20.8% in spring, 29.7% in summer, 16.8% in autumn, 32.7% in winter, and 62.3% in reproductive, 27.7% in growing, 5.0% in beef cattle, 5.0% in calf in prevalence of sudden death in cattle. Enterotoxemia(88.0%), pneumonia(3.5%), intestinal diarrhea(3.5%), liver abscess(1.5%) and indigestion(1.5%) were detected from 67 heads of sudden death cattle. In clinical observations, cattle were generally died of sudden recumbency with convulsions followed anorexia, depression, ataxia, muscular tremor, tachycardia and dyspnea without any premonitory symptoms. Epidemiological surveys showed no evidence that other factors such as pesticide, insecticide, fertilizer, chemical drug3 and those of others caused sudden death. Macroscopically, there were coagulation disorders of blood, congestion, edema and haemorrhage of lung, congestion and haemorrhages, watery and blood-tinged contents of small intestine. Histopathologically, we observed pulmonary congestion and haemorrhage, necrotic intestinal mucosa accompanied with haemorrhage and congestion, and also increased globule leukocytes between bronchial epithelia with mild pneumonia. Clinicopathologically, only elevation of blood gluco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was detected. Magnesium and calcium deficiency were not detected, but parasites were detected highly in normal and dead cattles. Microbiologically, Clostridium(Cl) pefringens were detected from small intestinal contents of 94% (63/67) of sudden death cattle and 51%(51/101) of slaughter cattle, and the population were $10^{6-8}$/cfu/$m\ell$ after 16~32 hours.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cause of death in cattle was enterotoxemia. Pathogenic test of mouse and goat inoculated with Cl perfringens type A toxin has been demonstrated as similar observation to natural cases.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mpicillin, bacitracin, polymycin, cephalothin, penicillin, ch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were highly susceptible, and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sulfamethoxine, sulfamethazine were resistant. Cl perfringens were resisted for 4 hours in 3% formalin, 20 minutes in 4% phenol, 20 minutes in 0.5% mercuric chloride and 40 minutes in 0.1% sodium hydroxide, respectively. The useful method to prevent from occurrance of enterotoxemia in feedlot cattle was a dietary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nd miyari acid.

  • PDF

광주지역 생식용 소 부산물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hygiene management for raw by-products of beef in Gwangju area, Korea)

  • 김지연;장미선;고바라다;지태경;성창민;박다해;김현중;김은선;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9-216
    • /
    • 2013
  • A total of 301 samples of bovine liver, spleen and omasum were collected from butchers and restaurants in Gwangju, Korea during 2012 and all samples were subjected to bacteriological examination and antibiotic residues. Als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consciousness for hygiene of livestock workers who are handling bovine by-products in Gwangju. The detection rate of aerobic plate count (APC) was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in all by-products (P=0.000). The detection rate of E. coli count was lower in the liver than the spleen and omasum (P=0.000). Twenty four of the samples (8.0%) were contaminated with S. aureus while one spleen sample (0.3%) was contaminated with L. monocytogenes and finally 10 (3.3%) of the liver and omasum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Cl. perfringens. Five of the twenty-four S. aureus isolates harbored enterotoxin gene. However, the cpe gene of Cl. perfingens was not detected among any of the 10 isolates. Antibiotic residues were not detected in the liver samples. The consciousness survey'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58.8%) were safe.

생약제제(미라클®)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률, 영양소 이용율, 분내 미생물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Product (Miracle®)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flora and Immunoresponse in Weanling Pigs)

  • 석종찬;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67-776
    • /
    • 2003
  • 자돈사료 내 생약제제(Miracle$^{\circledR}$)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 내 미생물균총 그리고 혈액 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총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48두의 3원 교잡종(Y${\times}$L${\times}$D) 이유자돈(평균 개시 체중 7.84kg${\pm}$0.17, 28일령)을 4처리 4반복, 반복 당 3두씩 배치하였고, 처리구들은 대조구(T1), CTC 100ppm(T2), Miracle$^{\circledR}$ 0.15%(T3) 그리고 CTC 100ppm + Miracle$^{\circledR}$ 0.15%(T4)로 하였다. 생약제제 첨가(T3)구에서 증체량, 사료 섭취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는데(P〈0.05), T3 급여구에서 건물, 조단백질, NFE, P 그리고 아미노산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T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항생제 처리구(T2)보다 유의하게(P〈0.05) 낮았고 타 처리구들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T3 처리구는 Triglyceride와 HDL 수준에서도 다른 처리구들 보다 낮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청 IgG의 수준은 T4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T1, T2 그리고 T3 순이었다. 혈청 내 AST 수준은 T1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총 단백질, albumin 그리고 ALT의 수준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분 내 Lactobacillus, Cl. perfringens 그리고 E. coli의 수 CFU는 처리구들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3주와 5주에서 T2 (CTC 100ppm) 처리구의 Cl. perfringens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약제제 MiracleⓇ은 이유자돈의 생산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소화율, 혈청 IgG 및 콜레스테롤 수준은 낮추고 AST 수준은 높였다. 항생제(CTC)와 생약제제 Miracle$^{\circledR}$의 혼합 사용은 단일 사용에 비교해서 상승 효과가 없었다.

계절에 따른 길거리 제조 식품의 미생물 오염 특성 (Microbial Quality of Street Foods Sold by Season)

  • 서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1-487
    • /
    • 2014
  •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서울, 대전, 부산, 광주)에서 판매되는 길거리 식품(김밥, 어묵, 순대)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제품에 대한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김밥의 총호기성균은 5.1~9.9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호냉성균은 총호기성균과 유사한 패턴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수거된 순대 7건에서 6.0~7.9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Total coliform은 53.6%의 검출률을 나타내었으며, 김밥의 70.8%에서 4.0 log CFU/g 이상 검출되었다. E. coli는 김밥과 순대에서 15건이 검출되었으며, 어묵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중 S. aureus가 28건(7.8%)이 검출되었으며, C. perfringens는 12건(3.3%)이 검출되었다. 특히 김밥에서 S. aureus, C. perfringens가 각각 24건, 10건에서 검출되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계절별로 보면 겨울에 비해 봄, 여름의 검출률이 높았으며, 지역별로 보면 부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여름철 동남권 전통시장에서 판매되는 즉석섭취 튀김어묵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ried Fish Paste, a Ready-To-Eat Food Distributed from Traditional Markets in Korea's Southeast Region During Summer)

  • 김소희;전은비;박은희;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5-22
    • /
    • 2024
  • This study assessed microbial contamination in seven fried fish pastes sold in Southeast Asian traditional markets during summer. It measured viable cell count, coliforms, Escherichia coli, fungi, and Staphylococcus spp. It also qualitatively analyzed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e average viable cell count, coliforms and fungi were detected as 6.34 (3.84-8.13), 2.16 (1.00-3.55), and 3.92 (1.85-7.74) log10 CFU/g, respectively. Staphylococcus spp. was detected at 4.59 (2.10-7.63) log10 CFU/g. Some samples had high contamination levels: viable cell count (8.13 log10 CFU/g), fungi (7.74 log10 CFU/g) and S. aureus (7.63 log10 CFU/g). However, E. coli was not detected in any samples (ND, <1 log10 CFU/g).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B. cereus, L. monocytogenes, and Cl. perfringens were also not detected in the sample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data provide insight into manag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ensuring the safety of fried fish pastes in traditional summer markets.

비가공 농수산 식품소재의 미생물 오염분석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김수환;김종신;최정필;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94-598
    • /
    • 2006
  • 최근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비가열 신선 식품과 최소가공 식품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식품소재의 미생물오염은 식품 위생상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일상에서 많이 섭취하고 있는 곡물류. 구근류, 야채류, 해조류 등에서 미생물 오염을 분석하였다. 수도권 지역에서 유통되는 농수산물중 쌀(27개), 현미(25개), 당근(44개), 고구마(32개), 상추(37개), 깻잎(37개), 양배추(40개), 김(33개), 다시마(25개), 미역(27개)등의 327 시료를 분석하였다. 시료를 수집후 흐르는 물에서 4분간 세척후에 미생물 오염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2-6 log CFU/g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시료에 따른 변화가 있었다. 특히 상추와 깻잎이 약 6.0 log CFU/g로 가장 높았으며, 미역이 약 2.0 log CFU/g로 가장 낮은 오염도를 보였다. 대장균군은 1-5 log CFU/g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시료마다 변화가 있었는데, 상추와 당근이 약 4.0 log CFU/g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냈다. E. Coli는 총 327시료중 7건이 고구마, 깻잎, 쌀, 상추, 양배추에서 검출되었으며 S. aureus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Cl. perfringens는 총 시료중 미역, 김, 상추, 고구마등에서 6건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B. cereus는 현미, 당근, 고구마, 상추, 깻잎시료에 30% 이상 오염되어 있으며 현미, 고구마, 상추, 깻잎, 양배추에서는 2.0 log CFU/g이상 검출된 시료도 있었다. 따라서 충분히 열처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식품소재에 대한 B. cereus를 제거하는 전처리가 필요함을 알 수가 있었다.

사료 첨가용 생균제를 위한 Probiotics 유산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Isolates for Calf Meal Supplements)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6-112
    • /
    • 2006
  • 한우와 홀스타인의 분변으로부터 MRS 배지와 LAPT 배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발법으로 54균주의 유산균을 1차로 분리하였다. 1차로 분리된 54균주에 대해 내담즙성이 우수한 10균주를 분리한 다음 내산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위액 pH 2.5에서 LS1, LS15 및 LL6 균주가 각각 66.5%, 82.6% 및 80.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Sta. aureus 및 Cl. perfringens의 병원균에 대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인 균주는 LL6와 LL7이었다. API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S1, LS2 및 LMI 균주는 모두 L. fermentum, LL6와 LL7 균주는 L. acidophilus, LS3 균주는 L. plantarum으로 각각 동정되었고, 나머지 4균주는 Lactobacillus spp. 로 동정되어 분리된 10균주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간균임을 확인하였다. 10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amox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있으나 colistin과 ciprofloxacin에 대해 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LB1, LL6 및 LL7 균주는 gentamicin과 neomycin에 대해 내성을 보여 주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 중에 내산성, 내담즙성 및 병원성 균에 대한 특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probiotic 유산균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LL6인 L. acidophilus로 나타났다.

임상검사물에서의 혐기성세균 분리 (Isolation of Anaerobic Bacteria from Clinical Specimens)

  • 정윤섭;권오헌;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24
    • /
    • 1975
  • Anaerobic bacteria are the major residents of human skin and mucous membrane. The importance, as opportunistic pathogens, of anaerobic bacteria are well recognized because of more population. with decreased defense against bacterial invasion due to chemotherapy, rediation therapy, extensive surgical operation etc. are dealt at hospitals. An analysis of the anaerobe isolation results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ing the January 1974-May 1975 period was mad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rom 118 patients 146 strains of anaerobes were isolated. Among these 81.3% were nonsporforming anaerobes. Most frequently isolated anaerobes were Pc. asaccharolyticus, Ps. anaerobius, Ps. intermedius, B. fragilis and Cl. perfringens. 2) Anaerobes were frequently isolated from wound, female genital, intraabdominal, and pleuropulmonary specimens. Fewer anaerobes were isolated from blood, spinal fluid and liver specimens. 3) The ratio of anaerobe isolation to total bacteria isolation were; liver 66.7%, intraabdominal 33.3%, pleuropulmonary 28.9%, spinal fluid 5.0% and blood 4.2%. 4) Among the 118 anaerobe isolated patients, 48.3% yielded anaerobes only and rest of them yielded anaerobes together with aerobes. 5) Most of the gram-positive anaerobes were susceptible to the antibiotics tested. Exception was to tetracycline to which appreciable number showed resistance. It was noteworthy that only 48% of B. fragilis was susceptible to tetracycline.

  • PDF

송아지 이유사료 첨가용 생균제를 위한 probiotics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331-337
    • /
    • 2005
  • 한우와 홀스타인의 분변으로부터 MRS배지와 LAPT배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발법으로 54균주의 유산균을 1차로 분리 하였다. 1차로 분리된 54균주에 대해 내담즙성이 우수한 10균주를 분리 한 다음 내산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위액 pH2.5에서 LS1, LS15 및 LL6 균주가 각각 66.5%, 82.6% 및 80.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Sta. aureus 및 Cl. perfringens 의 병원균에 대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인 균주는 LL6와 LL7이었다. API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S1, LS2 및 LM1 균주는 모두 L. fermentum, LL6와 LL7 균주L. acidophilus, LS3 균주는 L. plantarum으로 각각동정 되고, 나머지 4균주는 Lactobacillus sp. 로 동정되어 분리된 10균주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 간균임을 확인하였다. 10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amoxicillin and erythromycin 에 대해서는 억제되었으나 colistin과 ciprofloxacin에 대해 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LB1, LL6 및 LL7 균주는 gentamicin과 neomycin에 대해 내성을 보여 주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 중에 내산성, 내담즙성 및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probiotic 유산균으로 사용가능성이 높은 것은 LL6인 L. acidophilus 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