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vic Engagemen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시민저널리즘 양상과 시민 영향력에 관한 한.미 간 비교 연구 - '유가'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Online Civic Journalism Practice and Civic Influence in the U.S. and Korea - Focus on News about the 'Oil Price')

  • 양민제;김민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5권
    • /
    • pp.463-495
    • /
    • 2009
  • 미국 사회에서 1980년대에 시작된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이 한국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그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기성 저널리즘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태동한 대안 저널리즘으로서의 시민저널리즘은 증가하는 온라인 시민기자와 온라인 뉴스 미디어 확산에 의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시민저널리즘 양상과 그 실천에 있어서의 시민 영향력이 몇몇의 요인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를 드러낸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본 연구에서는 그 요인들을 찾아내고 두 나라의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을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미국의 CNN "iReport", 한국의 "오마이뉴스"라는 양국의 대표적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을 다음과 같은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탈객관주의 정도,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 기사의 생산과 소비에 미치는 시민의 영향력 정도. 그 결과로, 미국의 시민저널리즘에서는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객관주의로부터 벗어난 경우가 많고,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 및 해결책 모색과 시민 기자의 활용 정도에 있어서 한국의 시민저널리즘보다 앞서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사 의제 설정에 있어서의 시민 의견 반영 정도나 생산된 기사에 대한 시민 참여 및 영향력에 있어서도 한국의 시민저널리즘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에 반해, 한국의 시민저널리즘은 기사 의제 설정에 있어서의 여론 조사 반영에 있어서만 미국의 저널리즘보다 앞서 있었고, 정부와 관련된 특정 이슈에 대한 기사에 대해서만 시민의 영향력 이 미치는 특징을 나타냈다.

  • PDF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과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의성과 수평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gital privacy security awareness and digital civic engagement on digital privacy protection behavior : focusing on volition and horizontality)

  • 이려화;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49-358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필요하게 된 디지털 정보보호 개선 전략에 관한 연구적 배경에서 비롯되었고, 연구 목적은 개인적 요소 영역의 자의성과 상황적 요소 영역의 수평성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주요 요인에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의성과 수평성의 요인설계 바탕이며, 측정 변수는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이다. 연구 결과, 자의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자의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자의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분석결과 수평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수평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수평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제까지의 성과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적절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학술적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시민서비스는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가? - 미국의 AmeriCorps와 Senior Corps를 중심으로 (Is Civic Service the Real Antipode of Volunteer Work? - Focusing on AmeriCorps and Senior Corps in the United States)

  • 지은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1-63
    • /
    • 2014
  • 최근 시민참여와 시민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시민서비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가운데 배척되는 경향이 있다. 활동비 지원 자원봉사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기본정신과 다르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 통념처럼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자원봉사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시민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시민서비스는 자발성과 무보수성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시민서비스가 시민의식을 훼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봉사 가운데 활동비를 지원받는 단기 간헐적 활동과 의무봉사가 더 큰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시민서비스와 자원봉사는 자발성, 무보수성보다는 구조적 특성 즉, 목표, 지속성, 공식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아가 미국에서 시민서비스가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활동비 수당을 지원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참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고 사회적 인정보상, 교육지원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자긍심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참여의 역할과 방향에 관한 연구 (Civic Participation in Smart City : A Role and Direction)

  • 남우민;박건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9-86
    • /
    • 2022
  •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 구축과정에서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에서 시민참여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시민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적·산업적·학술적·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진행되는 도시화와 도시인구 증가로 교통, 환경, 에너지 등 각종사회 문제가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 및 심화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이런 도시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스마트도시를 도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프라 확대 등 스마트도시 건설을 위한 기존의 하향식(Top-Down) 도시계획 방식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직·간접적으로 도시건설 과정에 참여 및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상향식(Bottom-Up) 방식으로의 접근이 경주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도 국가전략관점에서 스마트도시 건설이 추진되고 있지만, 스마트도시에 대한 일반 시민의 인식과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도시의 구축과정에서 시민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의 구축과정에서 시민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모색을 위해 Scopus DB에서 'Smart City'와 'Participation(Engagement)'가 동시에 포함된 문헌 995건을 수집 후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관련 연구주제를 유형화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에서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방향을 이해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의 지역사회 봉사: 전남대학을 사례로 (Community Services of University: A Case Stud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80
    • /
    • 2007
  • 이 글은 대학이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발전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지식기반사회에서 도시 및 지역발전의 핵심 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재검토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하고, 대학의 지역사회를 지향한 봉사 기능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이어서 이 글은 전남대학을 사례로 도시 및 지역에 대한 봉사활동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봉사활동의 운용방식과 성격, 그리고 그에 따른 지역사회에의 기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전남대학은 평생교육, 시설개방, 그리고 대학생의 자원봉사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봉사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려는 노력을 확인할 수 있으나, 봉사기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디지털 사회혁신의 정당성과 민주주의 발전: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Legitimacy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Democracy: Case of Online Petition and Public Problem Solution Project)

  • 조희정;이상돈;류석진
    • 정보화정책
    • /
    • 제23권2호
    • /
    • pp.54-72
    • /
    • 2016
  • 이 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등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 사례를 분석하여 시민의 정책 관여가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디지털 사회혁신은 크라우드 소싱이나 온라인 청원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시민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을 통해 정책 수립 과정은 물론 정책 자체의 민주성을 강화하는 일련의 과정은 개입 정당성(Throughput Legitimacy)이 강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시민의 동의와 협의 과정은 정책의 투명성, 효과성을 강화함으로써 정책 거버넌스의 질과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개입 정당성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경험 연구로 증명하기 위해 디지털 사회혁신의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산발적이고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디지털 사회혁신이 민주주의의 발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시민의 참여 효능감을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개입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사회혁신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공계 대학생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Views of College Students in STEM Field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 고연주;심성옥;황요한;최유현;옥승용;남창훈;이현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42-56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TEM college student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 total of 660 students in STEM majors at several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social respons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STEM majors using the VSRoSE scale, which taps into eight different domain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ern for human welfare and safety (HUMAN), Concer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VIR),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needs and demands (NEEDS), Pursuit of the common good (COMGOOD), Civic engagement and services (CIVIC),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MMU), and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POLICY). Group differences in social responsibility by gender, majors, and years in school were examined. Mean scores in HUMAN, ENVIR, and CONSEQ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NEEDS, COMGOOD, CIVIC, COMMU, and POLICY.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ive different groups with similar patterns of social responsibility scores. In addition to two groups with overall high and low scores across all eight factors of VSRoSE, three additional grou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high and low scores in differ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low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homogeneous and these heterogeneous sub-groups of students will need tailored interventions highlighting differen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they lack. Pedagogical implica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discussed.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mproving the Well-being through Humanizing Digital Entrepreneurship Program

  • MUHIBBULLAH, Md.;MAMUN, Abdullah Al;AFROZ, Rafi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201-1213
    • /
    • 2021
  •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nt of learners to acquire university education, the basis for selecting study courses, the means to assess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what the challenges faced by the learners are,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design and system thinking approach has been adapted to address the well-being issues of B40 young people in Bangladesh, through understanding their need, followed by building conceptual business models using modeling tools, i.e., Business Model Canvas (BMC) and Value Proposition Canvas (VPC) model.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and the role of a Malaysian University to solve problems of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Bangladesh and what initiatives should be taken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offers a validated conceptual Malaysian University of the Future (UotF) business model with the focus on internationa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s to help Bangladeshi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abilities, skills, and values toward developing a harmonious and sustainable society.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e presentation of a conceptual, validated business model in both BMC and VPC formats. This conceptual business model can further be applied to civic engagement operations by other universities.

Differentiated impacts of SNS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 Hwang, Dukyun;Paek, Mi 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S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impact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At least in Korea, SN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ty, blog, micro-blog, profile-based service and instant message service), and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s specified by three types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civic engagement). Using Nielsen KoreanClick's web-based survey data,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NS which are more open and focused on information sharing contribute more to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The Rise and Fall of Sultanate Authorities in Post-Colonial Indonesia

  • Fachri Aidulsyah;Hakimul Ikhwan
    • 수완나부미
    • /
    • 제15권1호
    • /
    • pp.61-89
    • /
    • 2023
  • This research explores the fall of pre-independence Sultanates and its continued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 in post-colonial Indonesia. By using qualitative and historical methods, this paper compares the Sultanates of Mataram in Yogyakarta and Al-Kadrie in Pontianak, which represent different historical paths supporting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during the mid-20th century. Sultan Hamid II of the Al-Kadrie was a supporter of federalism whereas Sultan Hamengkubowono IX of Yogyakarta was an advocate of the republican system. Eventually, Indonesia became a Republic, and the idea of federalism was sidelined, which led to the abolition of sultanates in the rise of the = Indonesian nation-state, except for the Sultanate of Yogyakarta. After the 1998 Reform, the current development of democracy created political opportunities for the Al-Kadrie to reclaim its authority through engagement with various civic organizations. Meanwhile, the Sultanate of Yogyakarta faces internal friction because of succession conc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