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rcular Polarisco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수종 골내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물에 가해진 응력 분산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Photoelastic Study on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xed Partial Dentures with Various Designed Endosseous Implants)

  • 이능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12호통권223호
    • /
    • pp.1145-1156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from fixed partial dentures to the surrounding structur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bridges with K-L blade, F.D.B.I.-11 type, F.D.B.I.-21 type, shape-memory metal blade and two-Apacerams as posterior abutment. The stress patterns and frin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circular transmission polarisc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stress was more concentrated to the roots apex than the implants. 2. In all blade implants, the stress was more concentrated to the distal side than the mesial side. 3. F.D.B.I.-11 type was more stress concentrated than the 21 type. 4. Shape-memory metal blade was the most effective for stress distribution. 5. Apacerams were more stress concentrated than the blde types and in the model of Apaceram with rubber-ring, anterior root was tipped distally.

  • PDF

광탄성 위상이동법에 의한 인장시편 원형 구멍주위 하이브리드 응력해석 (Hybrid Stress Analysis around a Circular Hole in a Tensile Plate by Use of Phase Shifting Photoelasticity)

  • 백태현;이춘태;양민복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7
  • 인장하중을 받는 판재의 원형 구멍 주위의 응력분포를 해석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이브리드 법의 입력데이터로 원형구멍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거리에 있는 직선상에서 광탄성 위상이 동법으로 측정된 등색 프린지 차수를 사용하였다. 응력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급수형 등각사상 복소수 응력함수에서 항의 수를 달리 할 경우에 대해 시험하였다. 정성적인 비교를 할 수 있도록 실험으로부터 얻은 실제의 등색 프린지 차수를 응력-광 법칙으로 생성된 이론적인 프린지 차수와 비교하였다. 정량적인 비교를 위하여 입력된 모든 지점의 등색프린지 차수와 응력함수로 계산된 프린지 차수의 상대오차의 표준편차를 응력함수의 항의 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하이브리드법 결과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계산값에 매우 근접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기법은 광탄성 위상이동법을 이용하여 일 직선상의 등색프린지 차수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활용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5종 골내 임플란트의 구조에 따른 주위의 응력분산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S AROUND FIVE DIFFERENT TYPES OF ENDOSSEOUS IMPLANT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 이정남;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43-659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stress distributions around five different types of implant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The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surrounding bone was analysed by two-dimensional photoelastic method. Five epoxy resin models were made, and vertical and lateral forces were applied to the models. A circular polariscope was used to record the isochromatic fri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readed type implants showed more even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than cylinderical type implants when vertical and lateral forces were applied. 2. The stress concentrated patterns were observed at the neck portion and middle portion of the cylindrical type implants comparing with threaded type implants when vertical force was applied. 3. Model 1 and model 4 which are tthreaded type implants showed similar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at the middle and apical portions and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neck porion of model 1 comparing with model 4 when vertical force was applied. The stresses around model 1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when lateral force was applied. 4.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neck and middle portion of cylindrical type implants than threaded type implants when lateral force was applied. 5. Model 1 showed the most even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when lateral force was applied and stress distribution did no occured at the apical portion of modedl 2 when lateral force was applied. 6. There were almost no differences in stress concentrated patterns with or without having hollow design. And the stress concentrated patterns were observed at the corner of apex in model 5 which has hollow design when vertical force was applied.

  • PDF

Lingualized Occlusion에 의한 하악응력의 광탄성학적 분석 (PHOTOELASTIC ANALYSIS OF MANDIBULAR STRESSES INDUCED BY LINGUALIZED OCCLUSION)

  • 김상수;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3-169
    • /
    • 1988
  • There is a little scientific documentation reporting the stress, distribution to the edentulous mandible by different concepts of occlusal scheme.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occlusal stresses, transmitted through a mandibular complete denture base to the edentulous mandible, would be influenced by the lingualized occlusio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resses induced in a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edentulous mandibl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denture arranged into lingualized occlusion in centric relation, lateral and protrusive functional position. The mounted denture on a Dentatus Type ARO articulator was loaded in a pure vertical direction with 15kgs on the center of articulator in each case and the stresses were frozen into epoxy edentulous model at $127^{\circ}C$ in the stress freezing furnace. The stress-frozen epoxy models were sliced with diamond disc saw into 4mm thick. The slices were examined with a circular polari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entric relation, the stresses were low at anteriors, and gradually increase to the premolar, molar area and highest at the first molar and gradually decrease from the second molar and lowest at the retromolar pad region. The lingual side showed higher stresses than labiobuccal side. 2. In lateral functional position, the working side showed higher stresses than the balancing side. In working side, the lingual side showed higher stresses than the buccal side and in balancing side, the buccal side showed higher stresses than the lingual side. 3. In protrusive position, stress distribution was symmetrical on the posteriors and the stresses were concentrated at the labial side of the anteriors.

  • PDF

주 연결장치의 설계변화에 따른 하악 유리단 국소의치의 광탄성 응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STRESS ANALYSIS UNDER MADIBULAR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DIFFERENT DESIGN OF THE MAJOR CONNECTOR)

  • 이규칠;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7-19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stress using a photoelastic model from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three kinds of mandibular major connectors, that is, lingual bar, linguoplate, and swing-lock attachment. A photoelastic model was made of the epoxy resin(PC-1) and hardener(PCH-1) and coated with plastic cement-1 (PC-1) at the lingual surface of the epoxy model and set with three kinds of chrome-cobalt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bilateral vertical load of 15k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r crossing both the first molars of the right and the left, and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12.5kg to the right first molar were applied with the use of specially designed loading device and the reflective circular polariscope was used to analyze the photoelastic model under each condi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en the bilateral vertical load was applied,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edentulous area and the terminal abutment or adjacent teeth was in the order of lingual bar, linguoplate, swing-lock attachment. 2.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was applied,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edentulous area and the terminal abutment or adjacent teeth was in the order of lingual bar, linguoplate, swing-lock attachment. 3.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was applied,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termial abutment or adjacent teeth on the non-loaded side showed the least stress distribution in case of swing-lock attachment. 4. When the bilateral vertical load and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were applied the swing-lock attachment showed the mildest uniform stress distribution on the edentulous area and the alveolar bone around the abutment teeth.

  • PDF

하악 유리단 국소의치하에서 back-action 클래스프 설계 변화에 따른 광탄성 응력 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N THE SUPPOTING STRUCTURE IN THE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VARIOUS DESINGS OF BACK-ACT10N CLASPS)

  • 임수령;계기성;고영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9-40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stress using a photoelastic model from the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the mesial or distal placement of the occlusal rest and the mesial or distal connection in the back-action clasp with the five various designs of the back-action clasp, that is, the mesial connection and the distal rest, the distal connection and mesial rest, the mesial connection and mesial rest, the distal connection and the mesial and distal rest, and the mesial connection, and the mesial and distal rest. A photoelastic model was made of the epoxy resin(PC-1) and the hardner(PLH-1) with the acrylic resin teeth used and was coated with the plastic cement-1 at the lingual surface of the model and then five kinds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s on the photoelastic model were set.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12.5 kg was applied on the central fossa of the first molar with the use of specially designed loading device and the pattern and distribution of the stress of the photoelastic model under each condition was analyzed by the reflective circular polari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back-action clasp with the mesial connection and mesial rest of the case 3, the effect of the stress distribution was the most favorable. 2. In the back-action clasp with the mesial and distal rest, of the case 4 and 5, the stress distribution was more greatly showed in the terminal abutment. 3. Generally, the stress distribution was more favarable in the mesial connection than in the distal connection. 4. In the back-action clasp with the mesial connection of the case 1, 3 and 5, the stress distribution was the most favorable in the mesial rest.

  • PDF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의 적용시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연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 장성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9-558
    • /
    • 2001
  • 본 연구는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상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 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형의 epoxy resin과 PL-3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형상에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악 제2대구치의 구개면에 힘을 가한 경우, 협측과 구개측 치근첨에는 무늬차수 0.6차와 치경부에는 무늬차수 0.9차의 응력이 집중이 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구개측 치근은 치근첨에, 협측 치근은 치근 1/4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2대구치에 구개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구개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협측과 구개측의 치근첨에 더 많은 무늬차수 2.2차의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의 발생과 함께 구개측 치근의 회전중심은 사라지고 협측 치근은 치근첨으로 이동하여 이로 인해 구개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이 발생하였다. 3. 상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는 치근첨부위에 소량의 응력이 발생하였고, 편측의 제2대구치에만 힘을 가한 경우보다 양측의 제2대구치에 동시에 힘을 가한 경우에서 더 많은 양의 응력이 제1대구치에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협측 이소맹출된 상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xillary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1대구치의 고정원 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편측의 제2대구치를 먼저 개선시키고 그 후 반대측 제2대구치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개측면보다는 협측면에서 견인력을 가하여 제2대구치에 함입력과 구개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구치의 정출 및 회전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교합장애를 방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의 적용시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연구 (Photoelastic evaluation of Mandibula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

  • 정원중;장성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9-566
    • /
    • 2001
  • 본 연구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에 의해 하악 제2대구치의 치근단과 그 주위의 치조골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악의 치조골을 재현하기 위해 PL-3 형의 epoxy resin과 PL-3 보다 경질인 레진치아를 사용하여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를 광탄성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광탄성 모현상에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하고 힘을 가하기 전과후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원형편광기 를 사용하여 모형의 전후방에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설측 치조정과 치근첨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나타났고 회전중심이 치근 협측면의 중간 1/3부위와 치근첨 부위에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 2대구치에 협측으로의 비조절성 경사이동 및 회전력이 발생하였다. 2. 하악 제2대구치의 설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에는 협측면에 힘을 가한 경우 보다 치근첨에 더 많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치근하방의 치조골 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으며 치근의 협측면과 치근첨 부위의 회전중심도 없어져 이로 인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 이동 및 함입력이 관찰되었다. 3.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이나 설측에 힘을 가한 경우, 고정원인 제1대구치의 치근첨 부위는 힘을 가하기 전의 초기 응력상태와 비교할 때 응력의 증가는 보이지 않아 구치부 협측 반대 교합의 개선시 하악의 설측 호선은 효과적인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설측 이소맹출된 하악 제2대구치의 구치부 협측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mandibular posterior crossbite appliance를 적용할 때, 제2대구치의 협측면보다는 설측면에서 힘을 부여하는 것이 교합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는 비조절성 경사이동과 구치의 회전을 피하면서 협측으로의 조절성 경사이동 및 함입력을 적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광탄성 위상이동법을 이용한 순수굽힘보 시편의 재료 응력 프린지 상수 측정 (Material Stress Fringe Constant Measurement of Specimen under Pure Bending Load by Use of Photoelastic Phase Shifting Method)

  • 류관용;김명수;백태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87-1394
    • /
    • 2014
  • 광탄성 실험법에 의해 측정된 등색프린지 차수를 응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광탄성 재료 응력 프린지 상수를 알아야 한다. 광탄성 재료 응력 프린지 상수는 단순 인장시편 또는 압축하중을 받는 원형디스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시편에 여러 하중을 가하여 하중에 응답하는 프린지 차수의 관계를 최소자승법 등을 이용하여 재료 상수를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4점 굽힘 시편에 하중을 가하여 나타나는 프린지로부터 재료 응력 프린지 상수를 결정하였다. 4점 굽힘 시편의 순수 굽힘 구간에서는 주응력 방향이 일정하므로 4단계 위상이동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원형편광기에서 검광판을 0, ${\pi}/4$, ${\pi}/2$, 그리고 $3{\pi}/4$ 라디안 회전시켜 얻은 4개의 광탄성 프린지를 필요로 한다. 4점 굽힘 시편을 이용한 재료의 프린지 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일정 하중을 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으로 측정된 재료 응력 프린지 상수는 제조회사에서 제시한 범위이내에 분포하였다.

광탄성 프린지 위상이동법을 적용한 디스크의 등경 및 등색프린지 분리법에 관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Separating Isoclinics and Isochromatics from Photoelastic Fringes of a Disk using 8-step Phase Shifting Methodology)

  • 백태현;김명수;조성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9-196
    • /
    • 2001
  • 광탄성법은 전체적인 응력장 해석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광탄성법에서 주응력의 차이와 방향은 등색선과 등경선으로 나타난다. 재래식 방법으로는 주응력 방향은 평면 편광기의 편광자와 검광자를 동시에 회전시켜 수작업으로 측정하며, 이를 타디보간법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인 응력장 해석시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재래식 광탄성법에서는 광탄성 프린지로부터 등경선을 분리시킬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탄성이론을 Jones행렬로 나타내고 4단계와 8단계의 위상이동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압축하중을 받는 원형디스크의 광탄성 프린지로부터 등경선과 등색선을 분리시킬 수 있는 시험을 하였다. 디스크의 프린지는 응력-광 법칙에 의하여 생성하였다. 8단계 위상이동법으로 얻은 등경선과 등색선의 크기를 이론으로 계산한 값과 비교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부터 광탄성 프린지로부터 등경선과 등색선을 분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