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lanam-do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8초

광절열두조충감염 5예 (Five Cases of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 이순형;서병양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50-156
    • /
    • 1983
  • 1975년부터 1983년까지 치료를 위해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로 의뢰된 광절열두조충 충란양성자 5명에 대하여 bithionol, niclosamide 또는 praziquantel을 투여 하고 하제를 사용하여 충체를 얻은바 Diphyllobothrium latum으로 동정되었다. 충자는 서울 및 전남 완도군에 거주하고 있는 10~64세 남(4명) 여(1명)로 그중 2례는 농어를 생식한 경험이 있으며 나머지 3례는 바다생선회를 생식하였으나 그 종류를 기억할 수 없다고 한다. 또 그중 3례는 심한 복통과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였고, 2례는 편절이 자연배출된 일이 있다고 하나 빈혈소견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대편검사에서 발견된 충란은 명 열별로 크기 평균 $59~67{\times} 41~48{\mu}m$이고 황갈색 유란원형 또는 타원형이 있으며 operculum과 abopercular protuberance가 뚜렷하였다. 충체는 4례에서 두절을 포함한 걸이 320~680cm의 완전한 것이 배출되었고 l례에서는 투약후 충체 배출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자연배출된 길이 30cm정도의 체절을 동정에 이용하였다. 특징적인 편절의 형태인 rosette형 자궁, vaginal pore가 cirrus sac에 포함되어 개구된 점, 재정과 cirrus sac의 분리 등으로 보아 Diphyllobothrium latum으로 동정되었다. 본 5례는 우리나라에서 1971년 이후 충체가 확인된 6례에 이어 제 7례-제11례의 인체기생례가 된다.

  • PDF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I. Heterophyes heterphyes nocens의 인체감염 2례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 Two Cases of Human Infection by Heterphyes heterphyes nocens)

  • 채종일;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37-42
    • /
    • 1984
  • 이형흡충류의 하나인 Heterophyes heterophkes nocens에 의한 인체감염 2례가 치료후 충체를 얻세(제1예) 및 24세(제2예) 남자로 전남 고흥군 해안마을이 고향이거나 현재 거주지이며 제1예는 상복부 통증 및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제2예는 EKG검사상 불정맥 및 ventricular premature be각 등 심장 기능이상과 설사, 복통 등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였다. 1983연 4월 및 8월에 bithionol 30mg/kg 또는 prasiquantel 15mg/kg을 투여하고 설사편을 입체해부현미경하에서 검사한 바 각각 35및 67마리의 H. heterophyes noces가 수집되었다. 대편검사 또는 충체검사상 제 1예는 간흡충이, 제2예는 3종의 다른 이형흡충류와 광절렬두조충이 동시 감염되어 있었다. 환자들은 H. heterophyes nocens의 중간숙주인 숭어 (Mugil cephalus), 농어 (Lateolalabrax japonicus) 및 문절망둑(Acanthogobius navimanus) 등 반염수산 어류를 회로 먹은 정력이 있었다.

  • PDF

한국 남해안에 이식한 중국산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동절기 성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Winter Season in South Sea of Korea)

  • 오봉세;정춘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1-79
    • /
    • 1999
  • To develop new products for aquaculture, which fishermen at South Sea can get high income, after bay scallop was transplanted from Sandong province in China from October 17, 1996 to March 18, 1997 at Duekrang Bay in Janghung gun and Kamak Bay in Y대녀 City on Chollanam province, Sumjin river estuary in Hadong gun and Gejae Bay in Keoje city on Kyongsangnam proince.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20.5$^{\circ}C$ to 5.1$^{\circ}C$ in February and then it was increased to 12.0 in March. Ranges of salinity, DO and Chlorophyll-a were 22.40-34.70 psu, 5.24-9.77 mg/l and 1.27-22.28 $\mu\textrm{g}$/l, respectively, and low temperature, sudden changes of salinity and low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fluenced the growth of bay scallop. bay scallop in the rearing period showed the fastest growth from October 17 to November 18 through the every size rages, while it grew slowly or stopped growing from December 18 to March 18. Among 4 transplanted areas, young scallop at Duekrang Bay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then Kamak Bay, Gejae Bay, Sumjin estuary in order. The daily growth rate of young scallop in the middle size range (5.70%) was higher than those in large (2.07%) and small (5.49%) size range. The meat weight index showed the highest in December. Survival rates from October to December were high, not related to the size ranges, but survival rate of the small young scallop from January to March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st. As the Result, transplanted bay scallop at South Sea was shown to grow by the middle of December (around 1$0^{\circ}C$ temperature).

  • PDF

삼림환경(森林環境)이 수자원(水資源) 함양(涵養)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nfluences of Forest Environment on the Water Yield in Small Forested Watershed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83-291
    • /
    • 1993
  • 이 연구는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 및 환경보전(環境保全) 영향효과(影響效果)를 수량적(數量的)으로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생대 부속 남부연습림(전남 광양군 옥룡면 추산리)내 북문골소유역(小流域)과 바람골소유역(小流域)의 2개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에 자기우량계(自記雨量計), 직사각형 웨어 및 자기수위계(自記水位計)등의 삼림수문관측시설(森林水文觀測施設)을 설치하여 1991년 5월 11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각 유역(流域)의 유출량(流出量), 유출유형(流出類型) 등의 개별(個別) 수문인자(水文因子)를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또한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관차단(樹冠遮斷) 손실량(損失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등 개별 수문현상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여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을 수량화(數量化)하여 기초수문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기간동안 추산지역의 강우량은 1991년 5월부터 12월까지는 1,306.6mm,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는 1,143.4mm이었다. 총강우량에 대한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소나무림에서 27.0%, 테다소나무림에서 24.3%였다.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의 유출율(流出率)은 북문골소유역에서는 48.87, 바람골소유역에서는 41.19%이었다.

  • PDF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증진활동 수행정도 및 관련요인 (The Health Promoting Activity of Old Aged in a Rural Area)

  • 김선미;김양옥;김기순;류소연;이철갑;안현옥;박종;손명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1호
    • /
    • pp.79-89
    • /
    • 1998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with th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Two hundred three old aged over 65 years old sampled by quota sampling among 660 old aged in a rural area, Dae-Ma Myun, Young-Kwang Gun, Chollanam Do.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rom June 1st to August 31st in 1997.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performance rate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female, dwellers at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 area, and old aged believes in a religion and high educated old aged. 2.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hysical health promoting activity was related to psychiatric wellbeing status, the disability of daily living, residental area and family numbers(P<0.05). 3. The disability of daily living and psychiatric wellbeing status were related to mental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P<0.05). In conclusion, psychiatric wellbeing status, the disability of daily living, the disability of daily living and residental area were associated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r old aged in a rural area.

  • PDF

벌채지내(伐採地內) 운재로(運材路)의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및 식생(植生)의 회복과정(回復過程) - 운재로(運材路) 개설(開設)이후 9년 경과의 경우 - (Progression of Rest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Vegetation in Logging Roads - In Case of 9 Years Results after Construction of Logging Road -)

  • 우보명;김경훈;박재현;최형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7
    • /
    • 1998
  • To investigate the restoration progression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vegetation at the surface of logging road affected by timber harvesting ope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logging roads constructed from 1989 to 1994 in Mt. Baekwoon, Kwangyang, Chollanam-do. Judging from the analysis of soil hardnes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pth of soil between 5 and 10cm. Soil hardness was recovered from the compacted condition to the natural forest condition after 9 years passed. Soil macroporous ratio (pF2.7) of topsoil was higher than that of deep soil. Soil moisture retention of topsoil was more improved than that of deep soil. From the view of soil bulk density, the necessary time for recovering to the undisturbed condition of forest soil was about 10 years in the logging road left. Soil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il bulk density and porous ratio were recovered as time passed. Improved soil physical properties promoted the plant recovery on the logging road surface. The dominant species on the logging roads were Comus kousa, Prunus sargentii as overstory species, Rubus crataegifolius, Lespedeza bicolor as understory species, and Saussurea gracilis,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s herbaceous species. The plant recovery of bank-slopes was faster than that of cut-slopes and road surface. In progress of year, average plant coverage were 70 to 90% in cut- and bank-slopes and 30 to 60% on the logging road, surface which was elapsed 9 years after logging road construction. Therefore, additional planting and seeding work could be effective to the soil condition and vegetation restoration.

  • PDF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의 우리 나라 첫 유행지 발견 보고 (The first discovery of an endemic focus of Heterophyes nocens (Heterophyidae) infection in Korea)

  • 채종일;남형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57-162
    • /
    • 1994
  • 전라남도 신안군 도서지역의 한 작은 해안 마을이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의 농후한 인체 감염 유행지임이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1989년부터 1990년에 걸쳐 마을 주민 230명 중 98명의 대변을 수집하여 셀로판후층도말법 및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을 병행하여 검사한 바 이형홉충류(heterophylds) 충란이 42명(42.9%)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충란만으로는 이형흡충류의 종(species)을 진단할 수 없어 충란 양성자들에 대해 praziquantel 10mg/kg과 하제를 투여한 후 설사변으로부터 성충을 회수하였다. 충란 양성 자 42명 중 프라지콴텔 및 하제 투여에 협력한 18명 전원으로부터 충체 회수를 완료할 수 있었고, 유해이형흡충 충체 1-1, 124마리(총 4,730마리)를 수집할 수 있었다. 감염자들은 대부 분 다른 이형흡충류(Pygidiopsts summa, Stictodora fuscatum 등) 및 큰입흡충류 (gymnophallid) 특히 Gymnophalloides seoi에 중복 감염되어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유해이형흡충은 중간숙주인 숭어. 문절망둑 등을 즐겨 생식하고 있는 우리 나라 남 해안 및 서해안의 해안 마을에 널리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검은머리물떼새의 서식지인 서해안 일부 도서지역산 참굴의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 피낭유충 감염상 (Discovery of GymnophcLloides seoi metacercariae in oysters from islands of the West Sea known as the habitats of paleartic oystercatchers)

  • 손운목;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3호
    • /
    • pp.163-170
    • /
    • 1998
  • 검은머리물떼새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 서해안 일부 도서지역에서 채집한 참굴에서 참굴큰입흡 충 (Gwmophano쳐esseoi)의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은 전라남도 신안군의 압 해도,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의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의 주문도, 볼음도 등 7개 지역이었다. 이 흡충의 고도 유행지인 압해도에서는 1995 년 8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매 월별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총 14차례 중 5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100%의 감염률을 나타내었고 감염된 굴의 월별 평균 피낭유충 감염량은 761-2,077 개 범위이었다. 감염밀도의 계절별 변화양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굴의 무게가 증가합에 따라 감염량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유부도산 굴은 조사한 총 63개에서 54개의 피낭유충이, 선유도산굴은 조사한 30개 중 25개 (83.3%)에서 1-66개 (평균 12.6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며 무녀 도산굴은 조사한 50개 모두에서 3 162개 (평균 53.5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주문도산 참굴 100개에서는 총 4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나 장자도산 55개와 볼음도산 50개의 굴에서는 피낭유충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참굴큰입흡충이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도에서는 지금도참굴을 중간숙주로 하여 농후하게 유행하고 있고,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의 무녀도와 선유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유부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주문도 등이 이 흡충의 새로운 유행지임을 확인하였다.

  • PDF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의 Parvatrema속 흡충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Tapes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with Parvatrema spp. (Digenea: Gymnophallidae) metacercariae)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73-278
    • /
    • 1996
  • 우리 나라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에서 Panpctremc속 흡충의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1990년 9월에 경상남도 5개 지역과 전라남도 8개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산 반지락을 구입하여 인공소화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300개의 반지락 중 233개(77.7%)에서 1-273개(평균 54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검출한 피낭유충은 V형의 배설낭. 구홉반의 측돌기, 복홉반과 떨어져서 맹장 사이 정중면에 위치한 생식공 등의 형태학적 특징을 토대로 Pqwokemo속으로 동정하였다 경남 사천군 용현면산. 전남 고흥군 도화면산. 장홍군 안량면산, 강진군 칠량면산 반지 락은 1000% 감염되어 있었으며 감염량은 각각 평균 71. 31. 80 및 42개이었다. 경남 남해군 고현면산. 의창군 구산면산 및 전남 고흥군 도화면산 반지락은 조사한 97.5-90.0%가 평균 117개, 28 개 및 76개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경남 남해군 설천면산 전남 여천군 화양면산. 승주군 별량면산 남해군 북평면산 반지락은 조사한 55.0-80.0%가 평균 6-25개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경남 고성군 삼산면산 및 전남 여천군 돌산읍산 반지락에서는 피낭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 남해안 일부 지방산 반지락에 Pawatremn속 흩충의 피낭유충이고 도로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농악복식(農樂服飾)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dress and its Ornaments for farm-music)

  • 서옥규
    • 복식
    • /
    • 제12권
    • /
    • pp.9-23
    • /
    • 1988
  • This study is on the costumes for Korean traditional play, Nong-ak(farm music), and intends to analyze their aesthetic features, laying emphasis on Pilbong Nong-ak, Im sil, Chollanam-do. About its origin there are many kinds of theories; for example, the theory of hoping stability, the theory of it being related with Buddhism, the theory of martial music, etc. Shamanic, Buddhist, and martical fators that support these theories are expressed through flags, bells, drums, Deograe (half-coats), Cheonrips (sang-mo, felf hats), go-kkals(peaked hats), colored lines called 'ga-sa', which are used in Nong-ak. The characteristic of the costumes used in Pilbong Nong-ak is that it keeps its conservativeness and the costumes of its members are various and splendid. For example, leader groups' black half coats, Changbu's and Hwa-dong's red and bule over coats are remarkable. Particpants wear gok-kal or cheonrip, trousers and half coats which are the basic costumes of Korean Hanbok, and wear blak half coats or blue vests and put blue, red, and yellow lines around them. The colors and knotting methods of those lines in this region are the same with those of chollawoo-do and Kyongi province, but different form those of Kongwon and Kyong-sang province using green, red, and yellow colors. This comparison of colors shows each region's preference of peculiar colors and those colors coincide with colors used in flags. The research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ong-ak clothes through each region's clothes tells us that these can be linear clothes which have expressiveness as stage clothes used in Madangori, the play which is performed in the field, and modern spatial formativeness. Thos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The expressions of a rhythmical and daring round line by turning a long line of sang-mo. 2. Various rhythms according to the attaching methods. 3. The expressions of thick, simple, and daring color lines. 4. Natural beauty of materials. 5. The popular simplicity and non-technicality 6. The beauty of five-direction colors, Oriental ideal colors Consequently in this study our national consciousness of beauty are examined through clothes. It is suggest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ong-ak clothes and ornaments sh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for this purpose. interests in participants' clothes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f each region's features.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lor lines, their length, width, and knotting methods, and beautify instrument. Finally this study intends to bring the reappraisal about the art of Nong-ak clothes and its re-establishment in view of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