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zamrya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Backgroun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riculture in the Rear Garden of Palace in Joseon Dynasty)

  • 허선혜;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20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일어났던 친잠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에 대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은 유교적 중농주의 국가로서 국초부터 농업 못지않게 양잠업 장려에 열의를 보여 양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그러한 노력의 일면으로 조선 왕실은 궁궐 내에서 친잠활동을 하게 되었다. 조선은 초기 태조 연간부터 궁원 곳곳에 뽕나무를 심었으며, 세조는 동궁(東宮) 근처에 잠실(蠶室)을 설치하여 세자를 비롯한 궁중 사람들에게 양잠의 중요성을 수시로 알게 했다. 성종 연간에는 조선 최초로 창경궁 후원에 채상단을 만들어 친잠례를 거행하였고, 이후 채상단은 위치를 달리하며 광해군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 후 영조 연간에는 경복궁에 채상단과 정해친잠비(丁亥親蠶碑)를 건립하였는데, 이는 경복궁 유지에 대한 영조의 애착과 양잠의 권면에 대한 적극적 의지의 산물이었다. 경복궁 유지에서 터가 고르고 뽕나무를 심기 적합한 동편이 선택되어 채상단을 축조했으리라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이 장소는 세종 연간 잠실이 있던 장소이기도 하다.

정해 친경·친잠과 김수장 시조 (ChungHae Chingyeong·Chinjam procedure and Kim Sujang Sijo)

  • 신경숙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2권
    • /
    • pp.187-212
    • /
    • 2015
  • 이 글은 정해년(1767)에 있었던 친경, 친잠의식을 축하한 김수장 가곡이 어떻게 해서 창작되었는지를 살폈다. 논의는 크게 다음 네 가지로 진행되었다. 첫째, 1767년 2월26일에 거행된 왕이 주관하는 친경의식을 살폈다. 친경의식은 동적전(지금의 전농대 일대)에서 거행되었다. 둘째, 1767년 3월10일에 거행된 왕비가 주관하는 친잠의식을 살폈다. 친잠의식은 폐허인 경복궁 옛터에서 거행되었다. 셋째, 김수장은 친잠의식 하루 전날인 3월9일 축하가곡을 창작했다. 이 창작 날짜는 김수장이 친경례 안에 들어와 있는 친잠례임을 확실히 인식했음을 말해준다. 넷째, 김수장은 병조 서리를 거쳐 몇 가지 산직 노직을 거치는 가운데, 정해 친경친잠의식 때에 이들 행사에 관여하게 되고, 그 결과 이들 축하 시조를 창작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