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중국어 말하기 교재 속의 인칭직시에 대한 일고 - '아문(我們)'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n deixis on the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ocused on Women(我們))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309-330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Women(我們) on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and also suggest that Chinese class need to impose pragma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s 35 Womens in 42 conversation units on three Chinese textbooks Hanyu Kouyu vol.1~3 at first. Women is more contributed on 'exclusive Women' among three categories (inclusive, exclusive, borrowed) than other two categories, is also contributed on 'symbolic usage' than 'gestural usage'. Second, this paper examines patterns of Women on the three categories. It shows: first, 'inclusive Women', 'exclusive Women', 'borrowed Women' all show up on the textbooks even though on the textbook vol.1(for beginner) surprisingly; Second, 'exclusive Women' may be a primary one of three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verage of Women. Women covers those who are related with the speaker regardless of being on the spot, and also covers those which the speaker belongs to, for example, nationality, ethnicity etc.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speaking course, from now on, needs to consider pragmatic factors including existing semantic and syntactic factors, and from the pragmatic perspective, impose 'action'(including speech act, body gesture etc.) on Chinese conversation class for the learners' improvement in Chinese speaking.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에 대한 일고 - 『설한어(說漢語) 담문화(談文化)』의 문제점 분석과 극복방안으로서의 한·일 교재 검토 (A Study on the Conversation Textbooks with Chinese Culture: an Analysis of the Problems on Talking Culture and Comparison with Textbooks of Korea, Japan)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133-158
    • /
    • 2015
  • 본고는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인 "설한어(說漢語) 담문화(談文化)(이하 담문화(談文化))"의 대화구조 분석을 토대로 문화를 다루는 방향성을 성찰하고 언어 사회화란 관점에서 어 문 문화 통합성을 지향하는 교재생산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사회화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교실에서 이뤄지는 외국어 교육과정에서의 사회화에 대해 고찰해본다. 그리고 사회화의 기본 가정중 하나인 언어와 문화 간 관계를 성찰하기 위해 회화교재의 출판경향과 문화 중심의 회화서인 "담문화(談文化)"의 기술 방향 및 회화 속 역할 분담의 경향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재를 검토하고 인문 통합적 성격의 회화교재 생산을 제안한다.

가능보어에 대한 고찰 - 현행 중국어 회화 교재 8종을 중심으로 -

  • 임지영
    • 중국학논총
    • /
    • 제72호
    • /
    • pp.25-4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select eight books to see if "potential complement" is sufficiently acquired and properly used in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s, explore the reasons and problems of learners' errors through analysis, and briefly suggest textbook compilation and teaching. Twelve criteria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including the concept and format of "potential complement", layout order, location of objects, three types of forms, distinction from auxiliary verb "能" and distinction between "能+V+結果補語". Som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mply as follows. All eight textbooks focus only on "possibility," missing an important part of "the impact of objective conditions" that the term "potential complement" does not contain. This is certainly enough to cause confusion for learners. A poo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otential complement" results in identifying it with the possible auxiliary verb "能", and incorrect mixing because it does not know exactly what the difference is. Most of the textbooks compiled in China place a high importance on "potential complement". This means that Chinese people often use "potential complement" in real life.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Korean textbooks do not deal with "potential complement" relatively importantly.

중국어 회화문에 대한 의사소통 분석단위에 기초한 접근 (An Approach to Chinese Conversations in the Textbook based on Social Units of Communication)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127-150
    • /
    • 2017
  • 본고는 Hymes(1972)가 제시한 의사소통의 사회적 분석단위 중 네 가지 - 말 공동체(speech community), 말 상황(speech situation), 말 사례(speech event), 말 행위(speech act) - 개념에 기대어 중국어 교재 상의 회화문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교실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숙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는 매 회화 단락을, 특정한 상황 맥락 하에서 여러 말 행위들로 구성된 말 사례의 정합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매 문장을, 발화로써 말 힘을 가질 수 있는 언어적 행위로 가정한다. 회화문을 Hymes(1972)의 단위에 기대어 분석하기에 앞서 본고는 분석 단위의 개별적 특징을 먼저 살펴본다. 그런 뒤, 그것의 단위 개념을 토대로, 교재 회화문을 형태 및 통사 단위의 결합이 아닌 행위의 결합이란 관점에서 분석한다. 나아가 복잡한 통사 단위들의 결합으로 여겨질 수 있는 회화 단락이 다소 한정된 소수의 분석단위들 간 결합일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그 결과가 교실 활동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제언을 덧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