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abbage jui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부산 및 부산근교의 명가김치 발굴을 위한 연구 (A Study of Famous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 문갑순;송영선;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4-81
    • /
    • 1996
  • 김치는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가정마다 독특한 김치맛을 이어왔으나 최근 산업화와 주거환경의 변화 등으로 사먹는 김치의 수요가 늘고 있고 점차 레시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지역의 기호에 맞는 김치를 표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기호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긴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급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 및 부산인근의 예로부터 김치맛으로 유명한 명가김치들을 발굴하고 이를 현대화할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이의 발굴을 위해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내에 명가김치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러 채널을 통해 9종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를 발굴하였고 이를 공장김치나 문헌상의 김치의 레시피와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상의 특징은 고춧가루, 마늘, 젓갈의 사용량이 많았고 젓갈은 대부분 자가의 멸치젓을 사용하고 있어서 맛이 진하고 매운 남부지방 김치의 특성을 나타내 주었다. 생선류와 청각 같은 해산물의 사용이 많았던 것도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 다량의 고추가루를 개기 위하여 멸치 우린물이나 새우 우린물, 배ㆍ무ㆍ양파 즙을 사용하였고 찹쌀풀을 넣어 맛을 부드럽게 하였다. 재료의 선정에 매우 신경을 써서 좋은 배추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고추가루는 색깔을 중시하여 태양초를 선호하였고 풍부한 고명의 사용도 명가김치로서의 품위를 높이는데 소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절인배추 1000 g에 대한 부재료의 비에서 명가김치와 타김치와의 차이가 확실하여 김치에 첨가하는 부재료들의 다양성과 함량이 김치의 맛과 품위를 높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염농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남부지방 김치의 특징인 짭짤한 김치는 많지 않아서 2% 부근의 슴슴한 김치가 많았고 이는 소량의 김치담그기, 냉장고의 일반화 및 저염화의 경향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고 특히 대부분의 조사대상들은 김치의 소금절임 과정을 대단히 중시하여 슴슴하게 소금절임하는 것이 배추의 아삭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알고 있어 김치의 염농도와 조직감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

김치 발효에 의한 장내병원균의 생육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by Kimchi Fermentation)

  • 강창훈;정경완;하덕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0-486
    • /
    • 2002
  • 김치 발효가 병원성 장내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 및 갓 김치를 제조할 때에 6종의 병원성 장내세균을 접종하여 발효 중의 이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또 김치의 주된 재료에서 검출되는 대장균과 이들 원료로 담근 김치 중의 대장균군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된 김치 재료 중 대장균군이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생강과 대파였으며 그 다음이 배추, 고춧가루, 마늘의 순이었다. 김치 중의 대장균군 또는 시험 병원균은 모두 발효의 진행에 의한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고 사멸되었다. 대장균군은 배추김치에서 pH 3.9 이하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3124,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625,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Vibrio parahamolyticus ATCC 27519, 및 Escherichia coli O157 : H7 ATCC 43894는 배추김치에서 pH 4.1, 3.7, 3.8, 3.8, 3.7, 및 3.7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고 갓김치에서는 pH 4.5, 4.0, 4.2, 4.2, 4.2 및 4.1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다. 또 갓 즙액 및 allyl isothiocyanate는 병원균에 대해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젖산균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김치 발효는 김치의 안전성을 높이게 되면 갓의 병원균에 대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는 주로 갓 중에 함유된 자극성 성분인 allyl isothiocyanate 의 항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오존처리 청정재료와 L. acidophilus를 이용한 배추김치의 숙성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Soaked with L. acidophilus and Cleaned Materials by Ozone)

  • 김미정;오영애;김미향;김미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5-174
    • /
    • 1993
  • 장내젖산균인 L. acidophilus를 이용한 배추김치를 제조할 목적으로 이균의 배추김치제조에의 이용성 조사, 부재료가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김치담금재료에 부착한 김치숙성과 관련이 없는 각종 미생물을 오존수 또는 개스상의 오존을 처리하여 제거시킨 후 숙성에 따른 비타민류의 변화, 조직 및 즙액내의 당류의 변화, 균수의 변화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L.acidophilus는 배추즙액에서의 생육도로 보아 김치제조에의 이용성이 양호하였다. 또 부재료인 고추는 김치에서의 사용범위인 1~2%첨가로 생육을 다소 촉진하였으며, 생강과 마늘의 경우는 상당히 저해하여 부재료의 사용으로 숙도조절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김치부재료에 6mg/L/sec의 오존 및 오존수를 1시간동안 처리한 결과 재료에 부착한 총균의 잔존율은 6~20%범위였으며, 김치담금비율에 준하여 재료를 혼할 경우의 제균율은 80~90%수준이었다. 재료를 오존을 처리한 후 L. acidophilus를 첨가하여 김치를 숙성시킨 결과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이용가능한 당류가 없어질 경우 세포벽다당류를 분해하여 이용하였으며, 숙성과정중 비타민 B$_1$과 C의 함량이 일반김치에서 보다 높았다.

  • PDF

백김치 숙성중 식이섬유 및 펙틴질의 함량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Baik-kimchi)

  • 문수경;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06-1012
    • /
    • 1997
  • To observe the food quality of Baik-kimchi which is known as a watery Chinese cabbage pickles without fish sauce and red pepper paste, the changes of dietary fibers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at 5$^{\circ}C$ and $25^{\circ}C$ were studied. Baik-kimchi fermented at $25^{\circ}C$ showed a greater changes in pH and acidity than those of 5$^{\circ}C$ during storage. Ripened Baik-kimchi products fermented at 5$^{\circ}C$ could be prepared on 9~12 days of fermentation, and those had a pH range from 4.25 to 4.40 and acidity of 0.34~0.53. But in the case of $25^{\circ}C$ fermentation, Baik-kimchi ripened for 3 days showed a pH of 4.02 and acidity of 0.54. The pH and acidity of the Baik-kimchi juice chang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Baik-kimchi solid regardles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SDF) was ranged from 3.06 to 4.87% at 5$^{\circ}C$ and a wide variation in SDF was observed in the sample fermented at $25^{\circ}C$(4.15~11.22%). Insoluble dietary fiber(IDF) were increased from 21.66% to 28.42% in solid of Baik-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circ}C$ and ranged from 21.37% to 24.65% for sample fermented at $25^{\circ}C$. A notable amount of pectin had been dissolved in juice of Baik-kimchi till the best ripening time and showed the level of 223.2mg/100ml at 5$^{\circ}C$ on the day of 9 and 207.3mg/100ml at $25^{\circ}C$ on the day of 2. In contrast, the contents of pectin in solid Baik-kimchi decreased, whereas contents of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XSP) and HCl soluble pectin(HClSP) in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

  • PDF

김치용 천연 pH 조정제 연구 (Studies on the Natural pH Adjusters for Kimchi)

  • 장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1-327
    • /
    • 1989
  • 김치의 산패를 지연시킬 수 있는 천연 pH 조정제를 찾아내기 위하여 김치에 첨가 가능한 한방 및 식재료 72종의 1% 물추출액에 대하여 산에 대한 완충능을 조사하였다. 한방재료중에서 완충능이 100이상으로 나타난 것은 감초 150, 방풍 142, 등 14종이었다. 한방재료들은 50%씩 상호혼합한 것중 완충능이 150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소엽+감국, 소엽+산약, 소엽+갈근, 감국+갈근, 택사+갈근, 택사+일당귀, 산약+갈근이었다. 버섯류, 두류 및 채소류 중에서 완충능이 높게 나타난 것은 녹두 207, 대두 160, 완두 192, 느타리 225, 쑥갓 200, 비름 175, 깻잎 200, parsley 202, 피망 257 등이었으며, 이들을 상호혼합처리한 결과 두류상호간의 혼합을 제외하고는 완충능이 향상되었는데 특히 느타리+쑥갓 262, 느타리+parsley 255, 녹두+쑥갓 247, 대두+느타리 245, 대두+쑥갓 247, 대두+parsley 250으로 매우 높았다. 완충능이 높게 나타난 천연 pH 조정제를 무우즙액에 혼합한 결과 완충능에서 효과가 인정되는 것은 녹두+완두 272, 녹두+대두 282, 느타리+parsley 302, 쑥갓+비름 300, 쑥갓+깻잎 277, 비름+피망 300, 비름+parsley 280 등 이었으며 배추즙액에서 효과가 인정된 것은 완두 202, 느타리 202, 쑥갓 207, 느타리+parsley 205 등이었다.

  • PDF

소금농도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Salt Concentrations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47
    • /
    • 1996
  • Growth curves of seven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graphed, when they were cultivated at 3$0^{\circ}C$ in filter sterilized Chinese cabbage juice containing 0, 2, 4 and 6% salt, and then lag time and generation time were calculated. The shapes of growth curves were changed differently among strains,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addition of 2~4% salt resulted in prolongation of lag time were most omspicuous in Leu. Paramesenteroides and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m Lac. Bavaricus and Lac. Gomohiochii,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And then the prolongations of generation time were most remarkable in Lac. bavaricus and Lac. Homohiochii,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Paramesenteroides,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By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s from 0 to 2%, the generation times of Leu. C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Mesenteriodes subsp. Mesenteroides were prolonged slightly, while those of Lac. Homohiochii and Lac. Brevis were not changed, and those of Lac. Plantarum, Lac. Bavaricus and Leu. Paramesenteroides were shortened slightly.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from 2% to 4%, inversions in the order of generation time occurred among strains. As a whole, lower salt concentrations were more favorable for the growth of Leuconostoc strains, while higher salt concentrations were for Lactobacillus strains.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a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Isolated from Kimchi)

  • 정재혁;배윤숙;김연주;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1-485
    • /
    • 2010
  •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KK3 with tannase activity was isolated from Gochunipkimchi (red pepper leaf kimchi) and showed a high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ive kinds of food pathogens. Strain KK3 secreted antibacterial compound into culture medium and 24-h culture in MRS broth at $30^{\circ}C$ was enough for the antibacterial compound production. The crude antibacterial compound prepared from culture supernatant inhibited the growth of some Gram-negative bacteria and Bacillus cereus but not Listeria monocytogenes.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ensitive to proteinase K treatment, confirming its proteinaceous nature (bacteriocin). The crude bacteriocin was active in the pH range 3.5-8.5 and extremely stable after 15 min of heat treatment at $121^{\circ}C$. The strain KK3 produced equally active bacteriocin in Chinese cabbage juice as it produced in MRS broth.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지역별 관능적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Sensory Preference for Making Summer Kimchi by Nationwide Region)

  • 차용준;김훈;조우진;정연정;이영미;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3-399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590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배추절임조건, 사용하는 부재료의 종류, 김치제조자의 고향 및 성장지역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김치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배추절임방법은 물간법과 마른간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혼용법이 가장 많았으며, 절임 시간은 평균적으로 3~5시간으로 나타났다. 김치 제조시 첨가되는 부재료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총 7종의 젓갈류가 전국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사용빈도가 높은 젓갈류로는 새우젓, 멸치 액젓, 멸치젓 그리고 까나리 액젓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용은 지역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대부분이 단일보다는 2개 이상씩 혼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배추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무, 부추, 양파, 당근, 설탕 및 풀 등 10종과 MSG는 기본으로 사용되었고 경상도는 여기에 다시국물과 물엿 등이 추가로 첨가되는 한편 전라도 지방은 생고추를 간 것과 밥풀의 첨가가 특징적이었다. 또한 MSG는 제조자의 연령과는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사용하고있어 김치전용 조미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김치담금시 가족구성원 중 기준으로 하는 입맛으로는 제조자 본인이 가장 많아 핵가족인 가족형태와 시대흐름을 반영하였으며, 제조자의 고향과 성장지역의 조사를 통해 부재료의 사용과 제조방법에서 거주지역 보다는 고향이나 성장지역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유통 채소류의 질산염 함량변이 (Variation of Nitrate Content on Distributed Vegetables in Korea)

  • 이주영;박양호;장병춘;김석철;김필주;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31-238
    • /
    • 2005
  • 1. 국내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중 소비량이 많고 신선 채소로 이용되고 있는 시금치, 상추, 배추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각각 $403\~6,935$ (평균 3,088), $31\~5,391$ (평균 2,412), $310\~6,374$ (평균 3,017)mg/kg으로 각 시료에 따라 다양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2. 근채류와 과채류 중 질산염함량은 엽채류에 비해 상당히 낮았고, 최근 소비량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 특수채소류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조사된 14종의 특수채소 중 청경채와 취나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채소류는 평균 3,000mg/kg의 낮은 질산염 분포를 보였다. 3. 신선 채소 중 질산염함량은 지역간에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시료가 동절기에 비해 높은 질산염함량 분포를 보였다. 4. 가공채소 중 단무지와 배추김치, 열무김치 즙액중의 평균 질산염 함량은 각각 평균 346, 1,471, 3,240mg/kg이었고, 국물 중 질산염 함량은 각각 340, 979, 1,383mg/g이었으며, 지역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신선 채소류 중 질산염이 가공과정을 통해 다량 저감되었으며, 가공 채소류의 질산염함량이 신선 채소류의 질산 염함량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listerial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Kim, Jo-Min;Kim, Ki-Hwan;Kim, Song-Yi;Park, Young-Seo;Seo, Min-Jae;Yoon, Sung-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3-508
    • /
    • 2005
  • Screening for antilisterial activity was performed in about three thousand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Chinese cabbage kimchi, and finally based on the relatively stronger antilisterial activities eight bacterial strains were selected. The bacteria were further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ir tolerance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bile salts (0.3% oxgall), and to the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f the isolates, YK005 was especially investigated for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Listeria monocytogenes as well as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O157:H7, as they have been constantly reported to be resistant against bacteriocins produced by a number of LAB strains. YK005 was found to be rod-shaped, $3.8\;{\mu}m$ long ${\times}\;0.5\;{\mu}m$ wide, non-sporeforming, non-motile, catalase-negative, and produced gas from glucose (heterolactic). Based on the biochemical data obtained by API 50 CHL medium, the isolate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To validate the result obtained by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rRNA-based PCR experiments using a pair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L. brevis were conducted and a single band of 1400 bp was observed, which strongly indicated that YK005 belongs to L. brevis. The LAB isolates are potentially exploited as human probiotic organisms and are employed to control some food-borne pathogens like L. monocyto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