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and Young Adult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9초

백일해에 대한 연령별 면역혈청학적 연구 (Immunoassay of Pertussis According to Ages)

  • 이수영;최의윤;김주상;안중현;최정현;마상혁;박준수;김황민;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2호
    • /
    • pp.55-60
    • /
    • 2012
  • 목적: 우리나라의 백일해에 대한 연령별 방어면역 상태를 평가하고자 면역혈청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국내 4개 대학병원에 방문한 건강한 소아,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을 연령에 따라 7개 연령군으로 구분하였고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백일해의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연령군별 기하 평균항체가와 각 연령군별 양성 항체가를 보이는 피험자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제조사의 지침대로, 항체가가 24.0 EU/mL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전체 1,605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기하 평균항체가는 $56.16{\pm}50.54EU/mL$였다. 연령군별로는 11세 미만 소아 연령군($64.78{\pm}53.24EU/mL$)이 가장 높은 기하 평균항체가를 보였다(P<0.001). 양성 항체가를 보인 피험자의 비율은 전체 대상의 68.2%였고, 11세 미만 소아 연령군(76.5%)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 결론: 소아 연령군과 비교하여, 청소년과 성인 연령군에서 백일해에 대한 낮은 기하 평균항체가를 나타냈으며 양성 항체가를 갖는 피험자의 비율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일 지역 성인의 흡연실태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ult-smoking in a Region)

  • 정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7-113
    • /
    • 1999
  •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ult-smoking in Chinan County. I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mong 923 residents living in nine districts selected at random among the sites of eleven eup-myons from December 28. 1998 to January 6. 1999. collected data and analyized using SPSS. The smoking rate of adults in Chinan County was $36.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rate according to the age. gender, education and job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moking rate in group of above 40s was about $40\%$ and that of the male took $55.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nd the smoking rate of the people having high-school education was the highest$(46.2\%)$. With regard to the career. the smoking rate of the farmers ranked first$(46.1\%)$. Therefore anti-smoking business for smokers should be focused on above 40 years old, males. people having high school education and farmer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smoking habits of 340 people who smoke currently, the average smoking begining age was 21.8 and $81.5\%$ among them was between 16-25 years old. $4.4\%$ was under 15. during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Most motives to smoke were as followed; curiosity or taste$(33.6\%)$, relief of stress $(31.2\%)$, peer presure$(26.5\%)$ And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cigarette which is smoked per day, the case which is less than a pack of cigarettes was highest as $75.5\%$ and the people who smoke over one pack of cigarettes took $24.5\%$. As for the kind of tobacco which is smoked, how to smoke and the desire for the smoking, most case was toxin was moderate$(47.8\%)$ or mild$(46.9\%)$. shallowly$(49.0\%)$ or deeply$(46.3\%)$ and under stress$(33.4\%)$. after meals$(27.8\%)$, during drink$(15.7\%)$ and so on. The highest point marked among the factors of smoking motives was 'the reduce of negative emotion' $(3.27\pm1.00)$. followed by 'uncomfortable habits' $(2.87\pm1.02)$, 'addiction' $(2.84\pm1.06)$. 'habit' $(2.74\pm1.12)$. 'pleasure' $(2.70\pm1.04)$. 'stimulus' $(2.59\pm.90)$, 'sensation-exercise satisfaction' $(2.42\pm.97)$. Smokers smoke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s when angry in most common case. depressed. anxious. uncomfortable. lone. ashamed or embarrased. and intend to solve the certain problem. etc. Other motives are uncomfortable habit. addiction. habit. pleasure and the pursuit of stimulus.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of adults m Chinan County was 10.57 which amount to 'high' wholly. As the resulf of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score. the people who are low in the level of nicotine was $33.5\%$. the people who are high was $48.2\%$. very high was $18.4\%$. The approach for anti-smoking for smokers should be condu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icotine. For the people who are in low level of nicotin dependence the prohibition of the smoking should be guided through the approach to foster strong will. for those who are in 'high' by acquiring proper method for the prohibition of smoking. and for those who are 'very high' the anti-smoking should be induced by providing proper progra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he suffer from abstinence syndrome.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nicotin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accompanied by smoking hab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moke, the kind of tobacos. smoke inhale habit. In other words, the group of heavy smokers had higher level of the nicotine dependence than that of the light smokers relatively and the group which smoke strong taboaco has higher level of nicotine than that of which smoke mild or moderate. And the group of smokers who smoke deeply has higher level of nicotine than that who smoke shallowly or nonswallow. Aa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motive factors and the level of nicotine, there was the indication that people who smoke for the decrease of the negative emotion. habit, pleasure. stimulus. sensation-exercise satisfaction had high level of the nicotine dependence. As the result of the anti-smoking will of smokers. $65.0\%$ of them had prohibition of smoking will. $29.3\%$ had no will to quit smok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anti-smoking was health. $67.9\%$ had experience to try to quit smoke and the biggest reason to fail to quit smoking was the lack of the will power to keep anti-smoking. $52.8\%$ of them were advised to stop smoking from their spouses or children. only $2.8\%$ were by medical. The people who have the opinion to need anti-smoking education were $69.6\%$. Therefore when the business for the hygine of the mouth for adult is set. it should be centered on the people who have intention of prohibition of the smoking and help to quit smoking by way of other affirmative counter-program not smoking under stress.

  • PDF

타투화장품 및 문신용 염료의 유해금속 함량 연구 (Hazardous Metal Content in Tattoo Cosmetics and Tattoo Inks)

  • 김미선;김수언;정삼주;김영은;김민정;이명숙;황인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66-77
    • /
    • 2023
  • Background: Along with the increase in consumer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tattoo products, the controversy over harmful heavy metal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attoo cosmetic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investigation of hazardous metals in these tattoo products is needed.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reasonable standards to securely manage tattoo cosmetics, tattoo stickers, and tattoo inks distributed in the market. Methods: Thirteen kinds of hazardous metal contents (Pb, As, Cd, Sb, Ni, Co, Cu, Cr, Se, Ba, Zn, Sn, and Hg) were analyzed for 23 tattoo cosmetics, ten tattoo stickers, and 16 tattoo inks. Hg was measured through the combustion-gold amalgamation method, and other hazardous metals were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after acidic decomposition using a microwave apparatus. Results: The detected ranges of Pb, As, Cd, Sb, Ni, and Hg in tattoo cosmetics were 0.07~1.18, 0.06~0.41, ND~0.07, 0.01~3.44, 0.12~2.75, and ND~0.01 ㎍/g, respectively. All of the hazardous metals detected were below the recommended maximum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mean amount of Pb detected in tattoo stickers for children was 0.24 ㎍/kg and Cd was not detected, meaning both metals met the recommended criteri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easured metals between children's tattoo stickers and adults' tattoo sticker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hazardous metal content of tattoo inks, four products (25%) for Pb, one product (6%) for As, 13 products (81%) for Ni, four products (25%) for Cu, and five products (31%) for Zn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s approved by the government. The highest predicted exposure amount for hazardous metals exceeding the recommended level of tattoo inks in a single tattooing was 5.69 ㎍/kg for Ni, 8.51 ㎍/kg for Zn, 0.44 ㎍/kg for Pb, 8.07 ㎍/kg for Cu, 0.44 ㎍/kg for As, and 71.36 ㎍/kg for Ba.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riteria for content limitation for the management of Co, Cr, Ba and Se tattoo cosmetics, and tattoo inks require thorough quality control.

성장기 청소년의 혈압변화와 결정요인 (Changes in blood pressure and determinants of blood pressure level and change in Korean adolescents)

  • 서일;남정모;지선하;김석일;김영옥;김성순;심원흠;김춘배;이강희;하종원;강형곤;오경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2호
    • /
    • pp.308-326
    • /
    • 1997
  • 본 연구는 1992년 당시 경기도 강화군 강화읍내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남자 335명과 여자 375명을 대상으로 5년간 혈압수준 및 변화에 대한 분포를 제시하고 혈압수준 및 변화의 결정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혈압의 수준 및 변화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신체적 요인, 혈청학적 요인 및 영양소 섭취요인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세부터 16세까지 5년간 남자의 수축기혈압의 평균은 108.7mmHg에서 118.1mmHg로, 이완기혈압의 평균은 69.5mmHg에서 73.4mmHg로 증가하였으며 15세에 가장 높은 혈압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동기간 동안 여자의 수축기혈압의 평균은 114.4mmHg에서 113.5mmHg로, 이완기혈압의 평균은 75.2mmHg에서 72.1mmHg로 감소하였으며 13-14세 때에 가장 높은 혈압 수준을 보였다. 2. 남자의 5년간 신장, 체중, 신체비만지수 등은 계속 성장하였으나 여자는 15세를 기점으로 신체적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연령이 증가할 수록 남자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중성지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자에서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식이섭취에서는 지질의 섭취가 연령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에너지의 20% 정도였다. 3. 혈압수준과 체중, 신체비만지수, 피부두께 등은 남녀 모두 각 연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신체비만지수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남자에서 연령의 증가에 따라 수축기혈압과 음의 관계에서 양의 관계로, 여자의 경우에는 이완기혈압과 15-16세에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그리고 중성지방과 크레아티닌은 남자에서는 혈압과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여자의 경우에는 관련성이 없었다. 한편 영양소 섭취와 혈압과의 관계는 성별-연령별로 일관성 있는 결과가 없었으나 남자의 이완기혈압과 단백질 섭취가 양의 관련성이 있었고 여자의 14세 때 수축기혈압과 비타민 A 섭취가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4. 혈압변화와 신체비만지수의 변화,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는 남녀 모두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크레아티닌의 변화는 남자에서는 양의 관계를, 여자에서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남자에서 소디움 섭취가 높은 군이 계속해서 높은 혈압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여자의 경우에는 에너지에 대한 지질 섭취비율이 높은 군이 계속해서 낮은 혈압수준을 유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성장기 혈압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녀 모두 신체비만 지수이었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사구체신염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신 조직내에서 HBs Ag 과 HBe Ag의 발현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HBsAg and HBeAg Expressions in Hepatitis B Virus-associated Glomerulopathy)

  • 정수진;김영주;윤혜경;정우영;김영훈;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1호
    • /
    • pp.50-59
    • /
    • 1998
  • 목적 : HBV 감염과 연관된 신병증의임상 및 검사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 HBeAg과 HBsAg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신생검조직에서 시행하여 이들 항원의 사구체내에서의 면역학적 발현을 관찰하므로써 이 질환의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하였다. 방법 : 1990년 4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사구체신염으로 신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부산백병원 해부병리과에 병리조직검사가 의뢰된 증례 중 혈청 HBsAg 양성인 28례를 대상으로 임상 및 검사소견을 조사하였고, 신조직의 광학현미경적, 면역형광학적, 전자현미경적 검사와 HBsAg과 HBeAg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연령 분포는 6세에서 73세였으며 소아 환자가 8명이었고 성인 환자는 20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28세였고, 남녀 비는 3:1 이었다. 내원당시 67.9%에서 혈뇨, 75.0%에서 단백뇨를 보였고 57.2%에서 신증후군을 나타내었다. 전 예에서 혈청 HBsAg이 양성이었고, 혈청 HBeAg은 검사가 시행된 9례 중 6례 (66.6%)에서 양성이었다. 2. 간기능검사가 시행된 11례 중 7례 (63.6%)에서 AST와 ALT치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중 간생검이 시행된 3례 모두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진단되었다. 3. 28례 중 막성 사구체 신염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MGN)이 10례 (35.7%)로 가장 많았으며, 메산지움중식성 사구체신염 (mesangi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esGN)이 8례 (28.6%),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 (membranoproliferaive glomerulonephritis : MPGN)은 7례 (25.0%) 그리고 미세변화질환 (minimal change disease : MCD)가 3nl (10.7%)순이었다. 4. HBV와 연관된 MGN에서는 혈관간 세포의 증식 및 혈관간 기질의 확장이 자주 관찰되었으며, 사구체간질 내와 내피하 침윤도 동반되어 MPGN을 시사하는 소견이 함께 관찰되는 예가 많았고, HBV 항원 혈증에 동반된 MPGN에서는 내피하 침윤 뿐 아니라 기저막 내 및 상피세포하 침윤도 종종 관찰되었다. 5. 신조직의 면역조직화학검사상 HBsAg은 모두 음성이었으나 HBeAg은 28례 중 8례 (28.6%)에서 사구체 모세혈관벽을 따라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이 중 3례는 혈치 HBeAg 검사를 받았는데 모두 양성이었다. 결론 : HBV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은 다양한 병리학적 양상을 보여주며, 특히 MGN과 MPGN에서는 전자현미경소견상 두 질환의 특징이 중복되어 나타났고, 사구체내에서 HBeAg이 검출되어 HBV의 활동성 정도와 사구체신염의 발생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연구보고가 있어야 하겠다.

  • PDF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조일현;정태웅;이주영;문세나;빈중현;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88-292
    • /
    • 2011
  • 목적: 소아와 신생아에서의 MRSA 감염의 발병률은 증가되었고, 특히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중심정맥카테터의 빈번한 사용과 연관되었다. 이번 연구는 NICU에 입원한 극소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MRSA로 인한 CRBSI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CRBSI로 인해 사망한 환자와 생존한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34명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는 실험실적으로 확인된 S. aureus 의 혈류감염을 보였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발병률, 사망률, 유병률 그리고 사망률과 연관된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26명의 환아는 혈액과 카테터 tip에서 같은 병원균(24 MRSA, 2 MSSA)을 보였다. 8명(25.8%)은 CRBSI로 사망하였고 모두 MRSA 혈액 감염을 보였다. MRSA로 인한 CRBSI으로부터 생존한 그룹과 사망한 환자 간에 성비, 재태연령, 병원균 확인과 혈액채취의 기간, 백혈구, 혈소판 수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RP는 사망한 환자에서 분명히 증가되었다. 사망한 환자에서 발현 나이의 평균값은 빠르고(9.1${\pm}$6.6 vs. 26.9${\pm}$20.2; P= 0.005) 입원일수는 짧았다(10.1${\pm}$7.0 vs. 73.0${\pm}$32.4; P=0.000). 2명의 생존아는 하지에 화농성 관절염과 연부조직염의 합병증을 가졌다. 결론: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사망률은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높은 것으로 보이고 CRP와 질환의 조기발병에 의해 예측되었다.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The Sero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김영욱;이수일;조병만;고광욱;김영실;강수용;차애리;김돈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669-678
    • /
    • 1996
  • Helicobacter pylori 감염은 만성 위염과 소화성 궤양의 원인인자로 작용하며 위암과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어 기존의 위 십이지장 질환의 치료와 관리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자들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유병률을 측정하고 유병상태와 관련되는 요인을 조사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소아 몇 청년 552명을 대상으로 1996년 4월부터 6월에 걸쳐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혈청에 존재하는 Helicobacter pylori Ig G 항체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기본적인 인구학적 특성, 유병상태와 관련되는 요인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총 Helicobacter pylori 감염률은 25.7%였고 $1\sim3$세군에서의 5.8%에서 $20\sim29$세군의 44.4%까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비례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chi^2$ for trend=57.9, p<0.0001). 특히 학동기 전 연령인 $4\sim6$세 군에서 초등학교 1, 2, 3학년 연령인 $7\sim9$세 군간에 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이 관찰되어 이 시기에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연령, 가족수 및 거주하는 주택의 형태가 유병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각의 교차비(95% 신뢰구간)는 연령 $1\sim9$세를 기준으로 $10\sim19$$3.6(2.0\sim6.4)$, $20\sim29$$7.3(4.1\sim13.1)$ 였고, 가족수 $1\sim3$명을 기준으로 $4\sim5$$2.1(1.3\sim5.4)$, 6명 이상 $2.7(1.3\sim5.4)$였으며 주택의 형태는 아파트 거주를 기준으로 일반주택 및 연립주택 $1.9(1.1\sim3.5)$ 이었다.

  • PDF

장기간 굴절교정렌즈 착용자에서 연령군 별 굴절교정효과 비교 (The Effect of Long-Term Orthokeratology in Different Age Groups)

  • 문미영;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5-73
    • /
    • 2008
  • 목적: 장기간의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자에서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굴절교정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술을 원하는 지원자 중 안과 질환이 없으며 하루에 최소 8시간 이상 렌즈를 착용할 수 있는 대상자 95명을 어린이군, 청소년군 및 성인군으로 세분하였다. 각막굴절교정렌즈를 피팅한 후 렌즈 착용 전, 렌즈 착용 1일, 7일, 14일, 1개월, 3개월 및 6개월 후에 나안시력, 굴절이상도, 중심부 각막곡률반경, 각막비구면도 및 각막중심두께를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Paired Student t-검정 및 ANOVA 분석, Pera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군에서 나안시력은 개선되었고(p<0.001), 각막중심부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각막중심부는 편평해지고 각막은 구형으로 변형되었다. 어린이군에서는 청소년군 및 성인군과 비교하여 시력 및 각막중심부 곡률변화가 빠르며(p<0.001), 굴절력 감소 목표값에 일찍 도달하였다. 장기간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력 변화는 각막중심부 두께 변화량과 상관성이 높았으며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군에서 더 높았고, 각막중심부 두께 변화량은 굴절력 감소 목표값과 상관성이 높았다. 결론: 각막굴절교정렌즈 장기착용 후 나타나는 시력 변화는 각막중심두께 변화와 관계되고 이것은 굴절력 감소 목표값과 상관성이 높으며 나이가 어린 착용자에서 빠른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착용자의 나이가 많으면 각막굴절교정렌즈에 의한 상피조직의 반응이 느려지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결과는 각막굴절교정술에서 나타나는 여러 임상적인 증상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압가열 처리한 시판 돈육 소시지의 항원성에 미치는 소화효소의 영향 (Effect of Digestive Enzymes on the Allergenicity of Autoclaved Market Pork Sausages)

  • 김서진;김꽃봉우리;송유진;이소영;윤소영;이소정;이청조;안동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8-244
    • /
    • 2009
  • 시판 돈육 소시지에 가압가열 처리를 하고 펩신 및 트립신을 처리한 후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여 시판 돈육 소시지의 항원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와 B 제품 소시지는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 항체와의 결합력이 각각 30%, 23%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SDS-PAGE 결과에서도 두 제품 모두 5분간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 PSA band가 약화되었으며 10분 및 30분 처리 시에는 PSA band가 저분자 펩타이드로 많이 분해되었다. Immunoblotting 결과에서는 두 제품 모두 무처리구의 PSA band가 항체와 반응하였지만 가압가열 처리 후에는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가압가열 처리에 의한 돈육 소시지의 항원성 저감화를 확인한 후 소화효소가 감소된 시판 소시지의 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Ci-ELISA를 실시하여 PSA와 p-IgG와의 결합력을 살펴본 결과 A 제품의 경우 5, 10 및 30분 가압가열 처리구가 펩신 및 트립신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약 20%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가압가열 30분 처리구는 약 10% 이하의 가장 낮은 결합력을 나타내었다. B제품은 가압가열 30분 처리구의 경우 소화효소 처리 후에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트립신 120분 처리에 의해 약 10% 이하로 결합력이 감소하였다. SDS-PAGE 결과에서는 A 제품의 경우 모든 가압가열 처리구의 PSA band가 펩신 처리 시 저분자 펩타이드로 많이 분해되었으며 10 및 30분 가압가열 처리구의 경우 PSA band가 트립신 처리에 의해 거의 소실되었다. B 제품의 가압가열 처리구는 효소처리에 의해 PSA band가 더욱 약화되었으며 특히 가압가열 30분 처리구의 PSA band는 트립신 처리 후 거의 소실되었다. Immunoblotting결과에서는 A제품의 경우 무처리구의 PSA band가 펩신 30분 처리까지 항체와 다소 강하게 반응하였지만 가압가열과 효소처리 후에는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으며 B 제품은 효소처리에 의해 모든 실험구가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육 시판 소시지는 가압가열 처리에 의해 항원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소화효소 처리 후에도 항원성이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압가열 처리한 돈육 소시지는 섭취 후 소화, 흡수 시에도 항원성이 감소하므로 가압가열 처리가 돼지고기 알레르기 저감화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만화영상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for the Academic Systematization of Cartoon-animation)

  • 임재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285-320
    • /
    • 2016
  •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문학적 글과 소리로 기술한 언어예술(言語藝術)과 미술적 그림으로 시각화한 조형예술(造形藝術)과 영화적 움직임으로 제작한 영상예술(映像藝術)을 복합적으로 응용하여 창작하는 융합예술(融合藝術)이다. 그런데 만화와 애니메이션이 20세기 후반기부터 뒤늦게 대학의 전공 학과로 개설 운영되어 학문적 연구 개발과 예술적 창작 표현이 충족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하여 용어적 개념과 정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 연구 영역과 탐구 방법, 그리고 전공 교육과 관련 창업군 등을 융합적으로 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형설출판사가 공동 운영하는 "학문명백과(學問名百科)" 서비스에도 만화를 비롯한 애니메이션, 영상, 게임, 콘텐츠 등의 신종 문화예술 산업 분야가 등재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불가분의 관계라서 설령 분리 독립하여 쓰더라도, 합성어로 구성된 '만화영상학(漫畵映像學, animatoon)'을 학문명과 학위명으로 원용하면서 세부 전공을 만화와 애니메이션, 영상과 게임 그리고 콘텐츠 등으로 정립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 만화영상은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축약형 합성어로 만화(漫畵)가 한자로 동양에서 통용하는데, 애니메이션은 한자와 로마자가 상(像)+영상(映像)+화상(畵像)+동화(動畵)+동영상(動映像)+동만화(動漫畵)+만화영화(漫畵映畵)이거나 image, pictorial image, ani, anime, animation, animated cartoon, cartoon animation, moving picture 등으로 난삽하여 이를 융합한 만화영상학(漫畵映像學, animatoon)으로 규명하고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학문명과 학위명으로 원용하고자 한다. 본론에서 첫째, 역사적 전개와 발전은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만화영상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동굴벽화, 동물희화, 종교만화, 캐리커처, 카툰, 풍자만화, 코믹스, 애니메이션, 2D+3D, 웹툰, K-toon 등으로 변천사를 미학예술론적으로 융합 분석하였다. 둘째, 만화영상학의 연구 영역을 이론+장르+작품+작가 연구를 살펴보고, 탐구 방법으로 인문사회+과학기술+문화예술 등과 융복합한 전공과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셋째, 전공 교육은 아동+청소년+전공 학생의 만화영상 교육을 고찰하고, 만화영상의 창업군은 개인적 작품창작과 집단적 제작창업 활동을 다양한 직업군으로 탐색하였다. 결론적으로, 만화영상학의 현안과제로는 작가들의 개성화, 내용의 전문화, 형식의 다양화, 창작의 자율화를 고찰하고, 발전 방향으로 만화영상의 학문화 예술화 문화화 산업화를 제창한다. 21세기 문화의 세기에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영상과 게임과 함께 그 중요성이 높아져 만화영상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융합적 연구로 예술적 창작활동과 문화산업의 콘텐츠로 개발해야 영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