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Amusement Faciliti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대도시지역 어린이의 실외 놀이시설 선호와 시설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roduction of the Outdoor Play Facilities for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 김경수;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4
    • /
    • 2015
  • 부산은 타 대도시에 비해 어린이들을 위한 상징적 여가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시역내 산재한 어린이 놀이시설의 경우에도 노후화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역내 어린이들이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어린이 여가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어린이 유희시설의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공공형 실외 어린이 시설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다양한 어린이 유희시설 개발사례를 검토하여 도입 가능한 기능 및 시설을 선정하고 사업계획 수립을 통해 실행 가능한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 선호도에 기반한 권역별 어린이 테마공원 조성을 위한 선도사업 추진을 제안한다. 둘째, 향후 시설도입시 교육청과 연계한 체험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아파트 단지내 아동 유희시설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전주시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 (On Studying Utilization From of Children Amusement Facility in the Apartment Housing)

  • 임용민;김홍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9-67
    • /
    • 2003
  •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high growth of economy have influenced on the change of living environment and have changed people'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Also, apartments has appeared to solve the shortage of housing in cities. This study has a thorough grasp about problems of juvenile playground in the apartments and comes the following conclusion as a result that all sorts of details for amusement behavior have been analyzed. First, juvenile playground should be harmonized with nature, and needs a construction of amusement place that include fixed amusement facilities. Second, for a constitution of dynamic amusement place, a school playground should be opened in the public and parking lots should be utilized for dynamic amusement place in a different time. Third, juvenile playground should be classified by age, especially infant amusement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where a landscape architecture has placed between buildings. Also a daylight should be shined into the place, under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bench for parents and rest space. Fourth, a location of amusement place is needed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building placement, in addition that suitable distance should be set up for children to come into contact easily. Fifth, insufficient things should be complemented as compared with the standards of foreign amusement facilities and guideline should be suggested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musement place.

놀이속성 분류에 따른 적정 어린이 놀이시설물 연구 (Children's Pla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musement Features)

  • 정길택;신민지;신지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는 놀이의 본질을 설명하는 놀이속성어를 추출하고, 이러한 속성이 현재 사용되는 어린이놀이시설물과의연관성을 지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놀이시설물에 반영된 놀이속성을 조사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어린이에게 균형 잡힌 놀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분석을 통해 속성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어에 대하여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놀이를 설명하는 키워드는 참고문헌과 신문기사 등에서 추출하고 압축하여 놀이속성어로 규정하였고, 6개의 대분류와 26개의 중분류로 분류하였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실시한 전문가 인식조사에서 주요 놀이속성어의 중요도는 소통(0.268%) > 상상력(0.201%) > 정서(0.190%) > 발달(0.167%) > 학습(0.108%) > 지능(0.067%)의 순서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소통'과 '상상력' 등을 놀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고 있었다.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놀이시설물과 연관되는 각각의 놀이속성어를 구분하고, 서울시 114개소 어린이 공원에 설치된 놀이시설물 현황을 파악하였다. 서울시 어린이공원에 설치된 놀이시설물에는 놀이속성어 중 '발달'을 위주로 한 신체발달 놀이시설물이 높은 빈도로 모든 어린이공원에 반영되었으며, 전문가들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 '소통'과 '상상력' 등 인지관련 놀이시설물은 실제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어린이 공원의 부족한 놀이시설물을 파악하고, 놀이의 기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향후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어린이 활동양상 설문분석을 통한 신규관리 활동공간 검토 (Selection of New High-maintenance Children's Activity Spaces based on Children's Life Patterns)

  • 김호현;최인석;남의현;이정훈;유시은;박충희;이정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4-17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s purpose is finding children's activity spaces that demand environmental safety management.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alysing children's life pattern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life pattern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total, 2,447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analyze children's life patter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a highly simple form because many children generally stayed in their home (66%) or nursery facility (2%). In the case of other facilities, playground was ranked first and amusement park was ranked second. In addition, kids cafe (including play facilities installed in shopping centers, etc.), library, and internet cafe were among the responses. Conclusions: The priority for new high-maintenance children's activity spaces are academy (rank 1), kids cafe (rank 2), indoor playground (rank 3).

동물 분변으로 인한 모래 바닥재의 오염실태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질소분석방법개발 - (A Study on Pollution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Sand Flooring Related to Animal Feces - Nitrogen Analysis Method Development -)

  • 정원구;하영지;오근찬;허인량;최승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46-654
    • /
    • 2020
  • Objectives: Users of parks or children's play facilities have pointed to pets' bowel movements as the most serious problem when using them. In prior studies, a very low detection rate of parasites (eggs) in sand flooring materials has been found. Even though feces have been identified, no parasites (eggs) have been detected. Method: A standard solution of nitrate nitrogen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a new nitrogen analysis method. The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nitrate nitrogen analysis method were verified. Using this method, the pollution distribution of the sand flooring material and the degree of pollution at each point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nitrogen analysis method, the linearity was found to be good at r2=0.999 when distilled water is mixed in a standard substance solution. The standard substance additive solution r2=0.968 was found to be good. Precision represented 0.01 to 0.06% RSD for peak height. The recovery rate was 92.4 to 104.0 percent, indicating high accuracy.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of analysis, the flooring material sand at a general amusement facility with the largest number of concealed spaces was nitrate nitrogen 6.1 times higher than at the entrance of the playground. Also, in a comparison between clean sand and sandy flooring, the average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sand flooring material was 24.4-167 times higher than pure sand. Conclusions: As such, no parasites (eggs) were detected at all points under investigation, but the sand flooring was exposed to animal fecal contamin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nitrogenous components should allow accurate identification of animal fecal contamination so that the timing of sand replacement can be managed hygienically and safely.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놀이터의 계획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Properties of Ecological Playground through Case Studies)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70-82
    • /
    • 2016
  •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the city try a variety of changes in play equipment more than traditional playgrounds, these playgrounds with formal rides are still different from nature friendly playground. For this reason, when in 2014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pushed forward 'Aitteulag' project constructing ecological playground, the department aimed to provide the natural ecological spaces that are insufficient in the city and act as play space for children, leisure and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Therefore, after inspecting 10 ecological playgrounds in Europe and Japan,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onstruction guidelines of ideal ecological playgrou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cases. We checked the environment-friendliness of these playgrounds in the 2 fields (playground component, ecological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playground guideline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playground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siting location, spatial configurations, natural elements, play area, amusement facilities, play materials, open spaces, additional facilities. The ecological programs are divided into habitat, species, natural material, five sens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bout the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habitat": bush and shade wood were highest at 95%. In terms of "species": local indigene(100%) and habitat for insects(95%)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natural material": wood(61.1%) was the highest. In terms of "details of wood(61.1%)": wood fence (95%), exploring wood and using sticks(85%)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five senses": hearing (32.1%), tactile(26.4%), and visual(23.9%) were in order.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and complemented more in the construction of domestic urban ecological playground in future.

경기도내 어린이공원의 토양오염실태 연구 (A Study on Soil Contamination of Children's Parks within the Gyeonggi-do Province Area)

  • 김웅수;송일석;신종현;오천환;김은아;김극태;김현자;김종수;최윤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3-239
    • /
    • 2017
  • Objectives: The pollution status of heavy metals within the soil was investigated with an aim to establishing a sustainable soil environment within parks and amusement facilities installed in urban areas of Gyeonggi-do Province. Methods: As sampling sites, 14 locations were selected from a city with a number of factories near a residential area, a residential area, and a children's park in a city with mixed green areas. Seven kinds of heavy metals, including Cd, Pb, and Hg, and the pH of soil were analyzed three time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ICP-OES)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AS). Results: In this study, the pH of the samples from the residential park and industrial park showed 5.7-6.5 and 5.9-7.0, respectively. The overall mean concentration (mg/kg) of heavy metals was Zn (132.8), Ni (73.0), Cu (47.4), Pb (35.9), As (4.84), Cd (0.39), and Hg (0.07), indicating that thes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lower than those for the area 1 standard of soil pollution concern criteria. In addition, the sampling sites in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industrial area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for concentration distribution.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soil pollution class (SPC) of some spots were over 200, which are third and fourth classes. In order to manage a sustainable soil environment in a city park, it i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s, the management bodies for these parks, need to manage, supervise, and investigate soil pollution and quickly replace contaminated soil.

울산광역시의 도시공원 요소가 노인의 걷기 일 수에 미치는 영향 (Factor Influence of Urban Park Elements on Walking Days of the Elderly in Ulsan Metropolitan City)

  • 김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30-238
    • /
    • 2018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노인에 대해 구군별 공원 형태와 공원내부 요소들이 실외에서 얼마나 자주 나와서 걷는지에 대한 걷기 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울산광역시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개발 및 물리적 환경개선과 발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2015년 원시데이터를 이용하여 울산광역시의 65세 이상 노인 1,274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울산광역시 5개 구군에 따른 지역 수준 요인 변수가 걷기 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의 걷기 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은 체육시설이 많으면 걷기 일 수가 증가하였고, 어린이가 주로 이용하는 유희시설이 많으면 노인의 걷기 일 수가 감소하였다. 울산광역시 내에서 중구의 경우는 공원 개수와 공원 면적이 많음에도 걷기 일 수가 낮았고, 북구의 경우는 공원 개수와 공원 면적이 적음에도 걷기 일 수가 높았다. 울산광역시 중구의 노인은 걷기 촉진을 위한 건강증진 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울산광역시 북구의 노인은 걷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5
    • /
    • 2015
  • 창경원은 일제강점기 창경궁에 박물관과 동 식물원이 계획되면서 조성된 유원지다. 오락거리를 갖추고 즐거움을 주는 공간인 유원지는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의 이미지를 재현해왔다. 본 연구는 창경원의 조성 과정과 공간 변화를 고찰하고, 그 결과 조성된 낙원으로서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했다. 창경원의 조성 의도와 과정을 문헌으로 고찰한 결과, 창경원은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순종의 즐거움을 위한 '어원'이자, '대중을 위한 오락장'으로 조성되었으며, 개원과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면서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의 공간 구성은 근대 도면과 사진을 비교 분석해 파악했다. 창경원의 배치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박물관 영역, 북쪽에는 식물원 영역, 남쪽에는 동물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식물원 지구에는 대온실을 중심으로 한 식물배양실 등 열대 식물의 전시 및 관리 기능이 집약되었으며, 동물원 영역의 연못은 수금방양소로 만들고, 이 주변으로 각종 동물사와 동물 온실을 신축했다. 박물관 시설은 본관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각들을 전시 시설로 흡수했으며, 전각 사이에는 서양식 정원을 조성해 꽃을 계획적으로 재배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 이르면 아동운동장이나 말운동장과 같이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이 만들어졌다. 다음으로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창경원은 동 식물원을 통해 희귀한 동물과 식물들을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낙원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꽃관상이나 동물 구경과 같은 새로운 대중오락을 만들어냈다. 둘째, 창경원은 도시의 일상에서 탈출할 수 있는 '도시 안에서 도시 밖 자연을 간직한 낙원'을 상징하며, 도시민의 여가 공간이 되었다. 셋째, 벚꽃의 개화기에 야간 개방이 시작되면서 창경원에서는 조명 효과를 중심으로 '환상적인 밤 경관'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밤벚꽃놀이는 각종 공연, 음주 등과 결합되면서 선정적으로 변해갔고, 그 결과 창경원은 일탈의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창경원은 다양한 성격의 시설이 혼재되면서 유원지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했으며, 사람들은 유원지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오락 문화를 수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