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ck Myoblast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4초

培養 鷄胚 筋原細胞의 融合에 미치는 鷄胚 抽出液 分劃의 영향 (The Effects of Fractions of Chick Embryo Extract on the Fusion of Cultured Chick Embryonic Myoblasts)

  • Ha, Doo-Bong;Lee, Chung-Choo;Park, Young-Chul;Lim, Woon-Ki;Yoo, Byoung-Je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9-193
    • /
    • 1985
  • 鷄胚의 筋原細胞의 증식과 融合에 미치는 계배 抽出液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배양액내의 계배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근원세포의 증식은 촉진되었으며, 반면에 근원세포 융합은 지연되었다. 2. 계배 추출액의 단백질을 Sephadex G-75로 分劃하고, 각 분획을 근원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한 결과 分子量 40,000과 22,000 dalton 사이의 분획이 근원세포의 증식과 융합을 촉진시켰다. 3. 계배 추출액의 단백질을 ammonium sulfate로 분획시켜 각 분획을 근원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한 결과 70% 이상 포화 용액에서 침전하는 분획이 근원세포의 증식과 융합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 유효 분획을 Sephadex G-75로 재차 분획하여 각 분획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근원세포의 증식과 융합을 촉진시키는 분획이 계배 추출액을 Sephadex G-75로 분획하여 얻은 유효 분획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Acetylcholine Induces Hyperpolarization Mediated by Activation of $K_{(ca)}$ Channels in Cultured Chick Myoblasts

  • Lee, Do-Yun;Han, Jae-Hee;Park, Jae-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1호
    • /
    • pp.37-43
    • /
    • 2005
  • Our previous report demonstrated that chick myoblasts are equipped with $Ca^{2+}$-permeable stretchactivated channels and $Ca^{2+}-activated$ potassium channels ($K_{Ca}$), and that hyperpolarization-induced by $K_{Ca}$ channels provides driving force for $Ca^{2+}$ influx through the stretch-activated channels into the cells. Here, we showed that acetylcholine (ACh) also hyperpolarized the membrane of cultured chick myoblasts, suggesting that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nAChR) may be another pathway for $Ca^{2+}$ influx. Under cell-attatched patch configuration, ACh increased the open probability of $K_{Ca}$ channels from 0.007 to 0.055 only when extracellular $Ca^{2+}$ was present. Nicotine, a nAChR agonist, increased the open probability of $K_{Ca}$ channels from 0.008 to 0.023, whereas muscarine failed to do so. Since the activity of $K_{Ca}$ channel is sensitive to intracellular $Ca^{2+}$ level, nAChR seems to be capable of inducing $Ca^{2+}$ influx. Using the $Ca^{2+}$ imaging analysis, we were able to provide direct evidence that ACh induced $Ca^{2+}$ influx from extracellular solution, which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valinomycin-mediated hyperpolarization. In addition, ACh hyperpolarized the membrane potential from $-12.5{\pm}3$ to $-31.2{\pm}5$ mV by generating the outward current through $K_{Ca}$ chann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nAChR increases $Ca^{2+}$ influx, which activates $K_{Ca}$ channels, thereby hyperpolarizing the membrane potential in chick myoblasts.

배양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계배 추출물내 Myotrophic Protein의 영향 (The Presence in Embryo Extract of a Myotrophic Protein That Affects Proliferation and Fusion of Chick Embryonic Myoblasts in Culture)

  • 유병제;이창호;곽규봉;정진하;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7-217
    • /
    • 1988
  • 배양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계배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고, 이 추출물로부터 근워세포의 분화에 필수적인 myotrophic protein(MP)를 순수분리하였다. 그리고 이 MP는 철 운반 단백질인 trsnaferrin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단히 유사한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단백질은 철을 근원세포에 공급하고 이 철근이 근원세포의 융합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계배추출물속에는 이 MP이외에 근원세포의 융합을 억제하는, 그리고 열에 비교적 안정한 단백질이 존재하다고 생각된다. 이 MP의 수용체(receptor)분석을 한 결과, 수용체의 수는 근원세포가 융합을 하고 나면 급속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원세포의 내로의 철과 MP의 수송에는 약 1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tinoic Acid가 배양게배 근원세포의 융합과 Fibronic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tinoic Acid on Membrane Fusion and Expression of Fibronectin in Chick Embryonic Myoblasts)

  • 김혜선;정필중;강만식;정진하;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3-489
    • /
    • 1995
  • 많은 세포와 조직에서 분화 조절물질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 A의 대사산물인 rectinoic acid(RA)가 배양 계배 근원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A가 처리된 세포는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융합 억제 효과도 증가함을 보였고, 배양액으로부터 RA를 제거해 주면 근원세포의 융합이 재개되는 것으로 보아, RA는 근원세포의 융합을 가역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미 최종 분화 단계에 들어선 세포에서는 융합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아, RA의 효과는 분화 단계에 따라 특이적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융합 억제 효과에도 불구하고, RA는 근원세포의 융합 전단계인 방추형으로 신장하는 것과 그들이 가상의 축을 따라 배열하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세포의 증식과 creatine kimase, tropomyosin과 같은 근특이 단백질의 축적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근원세포는 융합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fibronectin의 감소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RA는 배양 근원세포의 융합만을 특이하게 억제하는 물질이며, 그 작용은 fibronectin의 감소를 방해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培養 鷄胚 筋原細胞로부터 분비된 細胞融合 촉진 물질에 관한 연구 (On the Possible Fusion-Promoting Factor Secreted from Cultured Myoblasts)

  • Park, Hye-Gyeong;Park, Young-Chul;Lee, Chung-Choo;Ha, Doo-B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4-306
    • /
    • 1986
  • 鷄胚 筋原細胞를 배양하면서 筋原細胞로부터 培養液으로 방출되는 물질을 분석함으로써 筋原細胞가 細胞融合 촉진물질을 분비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근원세포의 배양에 한번 쓰인 배양액(muscle-conditioned medium, MCM)은 세포 융합 촉진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근원세포로부터 세포용합 촉진물질이 배양액 내로 방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MCM의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분자량 약 175,000인 단백질이 배양액 내에서 분자량 약 145,000인 단백질로 분해되고, 이 분해된 단백질이 세포 융합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계배 근원세포 분화에 따른 Fibronection의 수준과 그 수용체의 변화 (Alterations in the Level of Fibronectin and its Receptors during Chick Myoblast Differentiation)

  • 정창용;강만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5-103
    • /
    • 1988
  • 배양 계배 근세포의 분호과정에서 fibronectin양의 변화를 immunoblotting법을 써서 정량해 본 결과 근세포의 분화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근분화과정에서 fibronectin의 수준이 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 fibronectin의 28,000 dalton(28 kDa)의 amino terminal fragment와 85,000 dalton (85kDa)의 cell binding fragment의 근원세포와의 상호작용에 관해 조사하여 보았다. 125 l-28 kDa fragment가 근원세포와 특이하게 결합하는 양상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하여 60분이내에 최대 수준에 도달하였다. 아울러 28 kDa fragment는 125 I-28 kDa fragment의 결합을 억제하였으나, 85 kDa fragment의 결합은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28 kDa fragment fibronectin수용체와 결합하고 cell adhesion수용체와는 결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fibronectin수준의 감소는 근원세포에 존재하는 fibronectin수용체의 감소와 연관되는 현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