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전통 포대기의 유형과 변천 (Types and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Baby-Carrier)

  • 한재휘;이은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1호
    • /
    • pp.60-74
    • /
    • 2020
  • A Podaegi is a square cloth used to carry a baby. Podaegi was an essential necessity for raising baby. However currently Koreans prefer baby-carriers, baby hip-seats, and equipments other than Podaegi. Recently, Podaegi is becoming popular around the wor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Podaegi to inform Korea's traditional parenting culture product. In this research, 230 images of Podaegi were collected from paintings, photographs, postcards, films and artifact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2000. The period of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fore the opening of the port,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to before the liberation, and from the liberation to 2000. Types of Podaegi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shape and how to use. Transition process of Podaegi was examined. Podaegis were categorized into band type, blanket type, combination type, cheone type, modern type, and so o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fore the pre-openings, band type was used.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to liberation, all types of Podaegi appeared. Since the liberation, the use of band and blanket type has gradually decreased. Modern types have been the most popular since the 1960s. Materials of Podaegi became varied and Podaegi became a fashion-item. Later, modern Podaegi became the representative form of Korean traditional Podaegi.

남강 주변 습지의 보전 현황과 보전 대책 (Present State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for the Wetlands of the Tributaries around Namgang-River)

  • 하혜정;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7
    • /
    • 2010
  • 남강 본류로 유입되는 경상남도 진주시 관내에 소재한 13개 지류에서 습지의 보전 현황을 평가하고 우수한 습지생태계를 발굴하며 인위적인 훼손과 오염으로부터 습지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보전 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습지생태계의 생물 서식지로서의 물리적 특성과 식생의 자연도를 조사하였다. 지류 주변의 토지 이용, 제방상단의 생태적 기능, 제방 사면의 구조, 둔치의 인공화 정도 및 이용 강도, 호안의 인공화 정도, 하상 재료의 다양성, 하천의 횡단 구조물 등으로부터 산정한 물리적 특성의 자연도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반성천, 향양천, 그리고 나불천, 영천강 및 수곡천, 중촌천, 대곡천 등의 순이었으며, 문산천이 가장 낮았다. 식생의 다양성, 외래종의 우점면적, 1년생 초본의 우점면적, 현존식생의 자연도 및 특이성, 종다양성 등으로부터 산정한 식생자연도의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수곡천, 반성천, 영천강, 중촌천, 지내천, 나불천, 지수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가장 낮았다. 물리적 특성과 식생 자연도의 평가지수로부터 산정한 하천 자연도는 오미천이 I등급으로 가장 높고, II등급인 반성천, 수곡천, 영천강, 나불천 및 중촌천, 향양천, 지내천, 지수천, 대곡천, 문산천 및 독산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III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지류의 습지생태계를 복원하여 하천의 자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전대책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