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density

검색결과 3,729건 처리시간 0.037초

염증세포주를 이용한 생체재료 용출물의 체외 생체적합성 평가 (In vitro Biocompatibility Evaluation of Biomaterial-elution Using Inflammatory Cell Lines)

  • 신연호;송계용;서민지;김성민;박정극;김동섭;박기정;허찬희;차지훈;서영권
    • KSBB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48-254
    • /
    • 2011
  • Various biometerials have been researched and have been developed for treatment of some disease through transplantation to body. They have been evaluated by in vitro cytotoxicity test using some skin-derived cell lines for prediction of their biocompatibility in vivo. However,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mesenchymal or epithelial cells could not be considered in vivo immune reac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iomaterial-elution (elute from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using some cell lines (L929, Jurkat, U937) in vitro, and then that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 vivo results from guinea pig sensitization test. In sensitization test, saline and elution of syringe could not induce erythema, but only DNCB (hypersensitive chemical) induce erythema at guinea pig sensitization test. In cell experiment, the cytotoxicity results of inflammatory cells (Jurkat; T lymphocyte, U937; monocyte) was no difference with L929 (fibroblast) in the overall trend. However, inflammatory cell lines were only secreted 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INF-${\gamma}$) in some materials (biomateriallution, FAC, DNCB). And the biomaterial-elution did not have toxicity to the cells, but it induced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 inflammatory cell lines only. So, we were predicted inflammatory reaction through the cytokine resultes of inflammatory cell lines, and it was more correlated with in vivo results than cytotoxicity test. Therefore, we suggested that the inflammatory cytokine assay using inflammatory cell lines are more effective method in vitro for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biomaterials or chemicals.

편백 조림목의 입지 특성에 따른 지역별 초기 생육 특성 (Regional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Planted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s in Relation to Site Properties)

  • 양아람;황재홍;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75-382
    • /
    • 2014
  • 본 연구는 편백 조림목의 초기 생장과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 생장을 위한 편백 조림지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인 전라남도 해남과 장성에 2011년 3월 말 편백 노지묘(1-1)를 3,900본${\cdot}ha^{-1}$ 밀도로 식재하였다. 식재 이후 3년간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측정하였고, 조림지 토양 특성 및 조림목의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를 분석하였다. 해남 조사지 토양 내 전질소, 유기물 농도 및 양이온치환능력은 장성 조사지보다 양호하였으나,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 생장은 오히려 장성 조사지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성 조사지의 유효토심이 깊고 해남 조사지가 상대적으로 연 강수량이 적으며, 강한 바람(해풍)으로 인하여 편백 조림목의 생장이 불량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편백 조림목의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는 잎 내 인 농도를 제외하고 두 조사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잎 > 당년생 가지 > 세근 > 줄기 2 mm 이상 뿌리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적으로 조림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백 조림목의 최적 입지 특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중앙부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A Study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 on Surface Sediments in the Central Parts of South Sea, Korea)

  • 박종식;윤양호;노일현;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남해 중앙부해역의 해양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중의 와편모. 조류 시스트와 유기물 분포에 대한 조사를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가지 총 6회 실시하였다. 분석 항목 중 함수율, 강열감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입자성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질소, 식물색소량은 각각 $38.7\~68.9\%\;3.9\~\;12.5\%,\;9.60\~44.05\;m9O_2\;gdry^{-1},\;3.12\~13.14mgC\; gdry^{-1},\;0.49\~2.01mgN\;gdry^{-1}$$1.61\~29.51{\mu}g\;gdry^{-1}$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트는 18속, 31종 2미동정으로 총 33종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은 주로 독립영양종인 Spiniferites bulloideus와 Scrippsiella trocho-idea가 나타났으며 현존량은 $42\~2,880\;cysts\;gdry{-1}$ 범위로 출현하였다. 유기물 농도와 시스트 현존량은 연안해역보다 육상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기원은 육상기원보다는 해역자체 생산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결과 4월과 7월 모두 제1주성분은 "외해 유기물 집적"을, 제2주성분은 "시스트 출현량"에 의해 집약되는 특성으로 판단 할 수 있었으며, 득점분포도에 의해 남해 중앙부 해역은 3개의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삼천포만 인근해역과 저질토에서 종속영양세균과 분변성 기원 세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Fecal-Origin Bacterial Group in Seawater and Sediments near Samcheonpo Bay)

  • 박석환;이건형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58-267
    • /
    • 2006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 항을 중심으로 인근의 40개의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해수와 저질토에서 해양종속영양세균, E. coli, 그리고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를 2003년 7월부터 12월가지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2003년 $7{\sim}12$월)중 삼천포만 인근해역의 조사정점에서 해양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1.7{\pm}0.9{\times}10^3{\sim}2.4{\pm}0.9{\times}10^5CFU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였으며, 정점 34에서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9월이 7월과 12월에 비해 모든 정점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저질토에서 혐기성 세균의 분포는 $2.2{\pm}0.2{\times}10^3{\sim}2.0{\pm}0.2{\times}10^5CFUg^{-1}dry$ wt.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혐기성 세균의 경우 외해 정점에서는 내만에 위치한 정점들보다 년 중 낮은 균체수를 유지하고 있어 물리, 화학적인 환경요인들에 의해 별 영향인 없음을 알 수 있다. E. coli의 분포는 해수의 경우, 7월중에만 사천만 인근(St. 1, 2, 3, 4),진주만과 창선도 인근 (St. 15, 23, 31), 삼천포항 인근(St. 14)에서 검출되고 9월과 12월에는 전 정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저질토의 경우, 7월에 사천만 인근(St. 1, 2)과 창선도 인근(St. 16, 31)에서만 검출 되었다.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는 해수와 퇴적토에서 7월과 9월에 일부 해역에서만 검출되었다.

초임계 CO2 - 시멘트 반응 전후의 투수율 및 강도 변화 (Permeability and Strength of Cements Exposed to Supercritical CO2 for Varying Periods)

  • 이희권;김기덕;김태희;김교원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117-128
    • /
    • 2016
  • 시멘트(KS-1 보통 포틀랜드와, Class G)을 이용하여, 시멘트-초임계CO2 반응실험과 반응 전/후 시료의 절대투수율 및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멘트 시료는 W/S (Water/Solid)와 fly ash 첨가량을 조절하여 제작하였다. 반응 전 시료의 투수율은 0.009~0.025 mD, 초임계CO2와 100일간 반응 한 시료의 투수율은 0.11~0.29 mD의 범위로 각각 측정되었다. 반응 후 시료의 투수율이 높게 측정된 이유는, 반응 시료들이 겪은 응력해방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정된 투수율은 대부분의 시료에서 API가 추천하는 최대허용 투수율(=0.2 mD)보다 낮다. 초임CO2에 의한 시멘트 변질은 시료 전체가 아닌 시료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두께로 시료의 내부로 발생하였다. 반응영역의 비커스 경도 값이 비반응영역의 것보다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반응영역 내에서 경도값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경도값의 증가는 탄산화로 인한 밀도증가, 공극률 감소, 그리고 경도값 감소는 낮은 강도를 갖는 비정질 규산염수화물의 생성이 원인이다.

플라스틱 시트 위에 재배한 켄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카펫형 뗏장의 배양토 및 파종량 (Soil Media and Seeding R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Kentucky bluegrass Carpet-type Sod over a Plastic Sheet)

  • 심상렬;정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28
    • /
    • 1999
  • 켄터키 블루그래스를 잔디뗏장으로 생산하기 위한 실험에서 토양의 조성과 파종량을 달리하여 분석된 생육특성과 뗏장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물리화학성이 좋은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를 배양토로 한 처리구에서의 생육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탄은 5차례의 피복율 측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모래를 주재료로한 처리구와 사양토, 모래, 펄라이트 및 피트모스에서는 피복율을 비롯한 다른 생육특성에서도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뗏장생산을 위한 배양토로는 부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피트모스는 토양의 물리성중 투수율이 좋지 않아 수분의 침투가 어려우며 pH 3.9의 강산성으로 원할한 식물 생장이 어렵다고 보여진다. 3. 표면경도와 인장강도의 측정결과 피복율도 좋고 생육이 활발하여 뿌리조직이 잘 발달된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세하였다. 4. 파종량을 달리하여 생육특성을 파악한 실험에서는 파종량이 가장 많았던 $15g/m^2$에서 높았고 기간이 지날수록 $5g/m^2$, $10g/m^2$의 처리구도 $15g/m^2$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적당한 밀도를 유지하고 개체간의 경쟁이 없었다고 보여지는 $10g/m^2$이 적정 파종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뗏장의 형성은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탄은 파종후 약 2개월이 경과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뗏장이 형성되었다. 6. 본 실험의 결과 파종량보다는 배양토의 조건에 따라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 상태 및 뗏장의 형성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Tricyclopentadiene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Tricyclopentadiene Using Ionic Liquid Catalysts)

  • 김수정;한정식;전종기;임진형
    • 공업화학
    • /
    • 제26권5호
    • /
    • pp.593-597
    • /
    • 2015
  • 차세대 고밀도 연료인 tricyclopentadiene (TCPD)는 dicyclopentadiene (DCPD)를 Diels-Alder 소중합 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음이온 전구체와 양이온 전구체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tricyclopentadiene (TCPD) 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2가지 음이온 전구체는 copper(I) chloride (CuCl), iron(III) chloride ($FeCl_3$)이며 양이온 전구체는 triethylamine hydrochloride (TEAC),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BMIC)이다. 이온성 액체 촉매의 소중합을 통한 TCPD의 제조는 기존 Diels-Alder 반응보다 DCPD의 전환율과 TCPD의 수율 측면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음이온/양이온 전구체의 조합으로 제조된 이온성 액체 촉매의 산도와 TCPD 수율과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온성 액체 촉매의 루이스 산도가 낮은 음이온 전구체로 CuCl를 이용하였을 때가 $FeCl_3$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TCPD 수율이 좋았다. $FeCl_3$를 음이온 전구체로 하고 양이온 전구체로 BMIC를 사용하여 두 전구체의 몰 비를 조절하여 루이스 산도를 낮추면 TCPD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첨가제가 혼합된 미세물분무의 소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Water Mist with Additives)

  • 이경덕;신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02
  • 할론 소화약제는 오존층파괴지수와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아 환경문제를 야기하며, 이의 대체기술의 일환으로 미세물분무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미세물분무에 대한 연구로는 적용화재에 보다 효과적인 소화를 위한 최적의 물입자를 만들려는 연구와 함께 첨가제를 이용하여 미세물분무의 소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1)}$ 에서 제시한 순수한 미세물분무의 입자크기, 방사분포 및 화염크기에 따른 ethanol과 n-heptane 화염의 진압특성과 소화시간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여기에 미세물분무의 물리적 소화성능의 향상과 화학적 소화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ethanol panl 화염에 7N3노즐을 4kg/$\textrm{cm}^2$로 방사한 경우 0.3% AFFF와 2.5wt% NaCl를 첨가한 미세물분무는 순수한 미세물분무 보다 27%와 60% 빠른 소화시간을 나타냈다. AFFF의 첨가는 연료표면 위에서 얇은 막을 형성하여 화염으로부터 연료 표면으로 되돌아오는 열을 감소하므로 연료표면에서의 화염온도 감소와 함께 n-heptane 연료의 증발을 감소함으로서 소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알칼리 염인 2.5wt% NaCl을 첨가한 경우 화염면에 알칼리염 결정체가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토양물리성개선(土壤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가 무논골뿌림직파(直播) 벼의 질소이용효율(窒素利用效率)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 Diagnostic Fertilization on Yield and N-Use Efficiency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 강승원;유철현;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4-260
    • /
    • 1999
  • 본 연구(硏究)는 호남평야지(湖南平野池) 논토양(土壤)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벼 무논골뿌림직파물리성개선(直播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에 의한 쌀 안정(安定) 증수방법(增收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관행(慣行), 진단시비(診斷施肥), 진단시비(診斷施肥)+심경(深耕), 심토파쇄(心土破碎),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 심토파쇄(深土破碎), 무질소구(無窒素區) 등(等) 6처리(處理)로 하여 2년간(年間)('97~'98)에 걸쳐 검토(檢討)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심경(深耕) 및 심토파쇄시(心土破碎時) 관행(慣行)에 비하여 경도(硬度), 용적밀도(容積密度)가 낮아지고 공극률(孔隙率)이 증가(增加)하여 물리성(物理性) 개선효과(改善效果)가 현저하였으며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유기물(有機物), 인산(燐酸),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土壤中) $NH_4-N$ 용출량(溶出量)은 관행대비(慣行對比) 진단시비(診斷施肥) + 사양물리성개선구(士壤物理性改善區)에서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흡수량(吸收量)과 이용률(利用率)은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가장 많았으며 엽색(葉色)과 경엽중(莖葉中) 질소농도(窒素濃度)는 관행(慣行)에 비하여 진단시비(診斷施肥)+토양특리성개선구(土壤特理性改善區)에서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부터 출수기(出穗期)기까지 높았으며 이들 상호간(相互間)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쌀수량(收量)은 관행(慣行)보다 진단시비(診斷施肥) 6%, 진단시비(診斷施肥) + 심경구(深耕區) 18%가 증수(增收)하였으나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23%가 증수(增收)되었고 시비효율(施肥效率)도 가장 높았다.

  • PDF

합천 박실늪의 퇴적에 따른 버들류 (Salix sp.)의 군집 동태 (Community dynamics of Salix species during the sedimentation in Paksil-nup Wetland, Hapcheon)

  • 김철수;이팔홍;손성곤;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29
    • /
    • 2000
  • 자연늪의 육상화가 천이 과정에서 자연늪의 환경과 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경상남도 합천군 황강변에 위치한 박실늪에서 1990년부터 1997년까지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과 버들류의 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적인 퇴적에 따른 환경 요인을 알아본 결과, 깊이별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의 변화는 표층부에서 하층부로 갈수록 pH는 증가하였고, 전기전도도, 유기물량, 총질소량, 치환성 칼륨과 칼슘 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순차적인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의 변화는 최근에 퇴적된 곳에서 유기물량, 총질소량, 치환성 칼륨 등은 증가하였고, 유효인량, 치환성 칼슘, 치환성 나트륨 등은 감소하였다. 본 지역에서 조산된 10종류의 버들류 중 선버들이 우점종이었고, 왕버들이 아우점하였다. 박실늪에서 조사된 버들류는 천이의 관목 및 교목 단계에서 개척자로 나타났고, 늪의 육상화를 촉진하였다. 수령은 2년-11년으로 5단계의 연령 군집으로 구분되었는데, 수심이 깊은 늪의 중심부로 갈수록 수령이 낮아졌다. 수령이 높은 지역일수록 흉고직경, 수고, 분지된 가지수, 임상식생의 종 수, 조도값 등이 높았고, 밀도는 낮았다. 버들류 간의 경쟁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선버들이 키버들과 갯버들 및 기타 버들류보다 우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