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baisha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Rediscovery of Zubovskya morii(Bey-Bienko, 1931)(Orthoptera: Acrididae), the nearly forgotten endemic grasshopper in North Korea with revised checklist from its type locality, Mount Baekdusan

  • Kim, Taewoo;Chobanov, Dragan P.;Seo, Hongyul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95-205
    • /
    • 2017
  • Zubovskya morii (Bey-Bienko, 1931) was rediscovered from its type locality, Mount Baekdusan, from materials collected by Bulgarian zoological expeditions to North Korea in the 1970s. This grasshopper species is endemic to North Korea and for the past 85 years was known only from a single holotype male. In the present study we describe the female Z. morii for the first time. A revised checklist of Orthoptera at Mount Baekdusan (also known as Changbaishan in China) is also provided. A new synonymy, Zubovskya longifurcula (Jin et al., 2011), syn. nov. for Zubovskya koreana Mistshenko, 1952 is proposed here.

백두산 화산의 지체구조 추론을 위한 지구화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기초 평가 (Initial Evaluation using Geochemical Data to infer Tectonic Setting of Mt. Baekdu/Changbaishan Volcano)

  • 윤성효;장철우;판보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8-139
    • /
    • 2022
  • 백두산 성층화산체와 천지 칼데라 외륜산 정상부에 분포하는 홀로세에 분화한 규장질 화산암 시료와 플라이스토세 개마용암대지와 장백산순상화산체의 고철질 화산암 시료의 암석화학적 특징 분석을 통해 지체구조적 위치를 알아보았다. 백두산 화산지대에서 초기 고철질 분출물들은 개마용암대지와 장백산순상화산체를 형성하였으며, 대부분 알칼리계열의 현무암에서 조면현무암 또는 서브-알칼리(쏠레이아이트) 현무암에서 현무암질안산암의 성분이며, 백두산 성층화산체와 천지 칼데라 정상부 부근의 홀로세 분출물은 대부분 규장질의 조면암에서 유문암 성분이다. 고철질 화산암류와 규장질 화산암류 사이의 SiO2 54-62 wt.%가 결핍된 쌍모식 조성을 나타낸다. 이는 마그마작용이 지각내 신장형 지체구조적 위치에서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지구조판별도에서 고철질 화산암류들은 판내부 또는 판내부 알칼리암과 쏠레이아이트암의 영역에 구분되어 도시되는데 이는 TAS성분도의 결과와 잘 일치한다. 규장질 화산암류들은 규장질 화강암류에 적용하는 판별도에서 판내부화강암(WPG)의 지체구조적 위치에 도시된다. 지구조 판별도에서 판의 섭입과 관련한 도호 또는 대륙연변호의 영역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모두 판내부 영역에 도시된다. 미량원소 함량을 원시맨틀값으로 표준화한 거미도에서 섭입대 화산암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Nb, Ti 의 부(-) 이상을 나타내지 않으며, OIB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낸다. 미량원소 함량 조성은 섭입대에서 유래된 마그마 작용에 연관된 의미있는 증거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백두산화산지대의 마그마작용이 판내부 환경에서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들 화산암류의 판내부 지체구조 위치는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천발지진의 진원 깊이와도 조화적이다. 백두산화산지대의 화산암석들은 신생대 동안 맨틀 물질의 용승에 의한 판내부 화산활동의 결과로 해석된다.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e Volcano Monitoring Program of China)

  • 윤성효;장철우
    • 암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5-1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에 분포하는 활화산,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개요, 중국 화산관측소의 모니터링 장비 현황, 장백산화산관측소 및 중국의 백두산 화산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계획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수전촌(水田村)의 조선족(朝鮮族) 주거(住居)와 한족(漢族) 주거(住居)의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chite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Chinese and Chinese Dwellings of Sujoenchon Village in Jilin Province of Northeast China)

  • 이상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138-171
    • /
    • 2001
  • This paper, based on the filed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14 to 21, 2000, examin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wellings of Sujeonchon(수전촌, 水田村) village. Sujeonchon village is located on the northen slope of Changbaishan Mt., Andohyun(안도현, 安圖縣) of jilin Province(吉林省), a provinc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he village was established between late 1940's and early 1950's by the Korean-Chinese. Later on, some of the Korean-Chinese residents moved out of the village and presently, the residents are composed of both the Korean-Chinese and the Chinese consisting about fifty-fifty. Since the cultural background and the living custo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thnic group, that is, the Korean-Chinese and the Chinese, their dwellings reveal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rough the stud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ons of the Korean-Chinese and Chinese dwellings are found and summarized as follows: 1.The way of building layout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mainly follows the north-south direction of building layout, while the Korean-Chinese conside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 2.The floor level of kitchen is different between them: that of the Chinese house is same as the outdoor earth level, while that of the Korean-Chinese is lower than the outdoor level. 3.The way of providing the kitchen space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kitchen of the Chinese house is consist of one separate room, while that of the Korean-Chinese is open to the living area. 4.The way of heating system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house has kang only at the sleeping area, while the Korean-Chinese install whole under-floor heating of gudeul in the living area. 5.The attitude to the way of building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are easily adapt to the new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while the Korean-Chinese are showing strong attachment to the traditional way of building. 6.The houses of the Chinese and the Korean-Chinese have their own traditional ornaments and talismans on and in the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