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etocero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환경 변화로 인한 2018~2020년 동해 식물플랑크톤 크기 구조 변화 (Changes in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in the East Sea 2018-2020 due to marine environment change )

  • 박경우;오현주;황재동;문수연;이민욱;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54-69
    • /
    • 2022
  • 동해 연근해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계절적으로 13개 정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계에는 규조류인 Chaetoceros curvisetus가 최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었으며, 동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에 미동정 미소편모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성에서도 연간 계절별 평균 범위는 소형 20.6~26.2%, 미소 27.1~35.9%와 초미소 40.8~49.9%를 나타내었다. 성층이 형성되는 시기인 춘계, 하계 및 추계 표층 혼합층 내에서 미소와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구성비가 높았다. 특히, 하계 표층 수온 상승이 예년에 비해 높아짐에 따라 수괴 안정도는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성층이 강화됨에 따라 저층으로부터 표층으로의 영양염 유입이 감소하여 표층 혼합층 내 미소와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구성비가 77.9%로 가장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동해 연근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크기 구조는 상당히 소형화가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복잡한 미세먹이망 구조를 형성하며 상위 소비자 단계로의 총 탄소량 전달을 낮춰 전체적인 생산력은 낮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통영 양식장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간변동 (Inter-annu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Aquacultural Areas of Tongyeong, SE Coastal Waters of Korea)

  • 임월애;이영식;강영실;김성수;김성연;최혜승;허영백;이태식;이재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58-165
    • /
    • 2010
  •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그 해역의 환경특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해역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년간 변동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해역별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통영연안인 원문만, 한산만, 미륵도, 욕지도, 사량도 및 도산 평림해역의 30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수온, 염분, 영양염 및 chlorophyll a를 조사하였다. 수질환경 중 용존무기질소는 1, 2월과 12월, 용존무기인은 1, 2월, chl-a는 7월~10월이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Chaetoceros spp.와 미동정된 소형 편모조류는 연중 우점하였고, 여름인 6~10월은 Pseudo-nitzschia spp., Dictyocha spp., Nitzschia longissim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그 밖의 계절은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p., Eucamphia zodiacus, Akashiwo sanguinea, Gymnodinium spp., Asterionella japonicus가 우점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한산만, 사량도 북동쪽에서 외편모조 적조가 3회 발생하였으며, chl-a는 한산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성 지수는 원문만, 한산만과 도산평림해역에서 낮게 나타났고, 규조류와 외편모조류의 비율은 미륙도 서측해역에서 높았다. 우점식물플랑크톤의 출현은 각 해역의 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최근 수온상승과 강우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도 예측되었다.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 Shim, Jae-Hyung;Yang, Jae-Sam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1982
  • A study on the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has been done in fall, 1980 and spring, 1981. Ond hundred and one taxa representing 22 families, 41 genera, 107 species, 2 varieties, and 2 forms were identified. The community of the study area composed mainly of diatom species icluding the very small fraction of dinoflagellates, blue-greens and greens. The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and Asterionella kariana. The total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of winter samples was 115,000 cells/1 in average and that of spring samples was, 1,320,333 cells/1 in average.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dominant species above appeared moree than 10% of the total standing crop, Skeletonema costatum being maximized up to 46%. In spring Asterionella japonica,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nd Chaetoceros curvistetus appeared 3∼8%, and Thalassiosira excentricus 3% in winter. The distribuion of marine for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fresh water forms, although the brackish-water forms showed no relationship. This change pattern of marine, brackish and fresh-water forms are discussed with the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A list of phytoplankton species observed in this study is added.

  • PDF

양식참굴의 PAHs 노출에 대한 생리적 적응

  • 서종환;조상만;정우건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46-146
    • /
    • 2003
  • 해양환경의 대표적 오염물질인 PAHs가 양식굴의 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로 다른 PAHs 농도에 노출된 굴의 여수율, 호흡율, 배설율 및 동화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부착생물을 깨끗하게 제거한 굴을 실험실로 옮겨 3일정도 순치시키고, 이후 각각의 0, 50, 100, 200ppb의 농도별로 약 10일간 미리 노출시켰다. 이후 각 개체별로 2L 들이 2$0^{\circ}C$항온수조에서 0.2$\mu\textrm{m}$ 여과해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여수율은 Chaetoceros simplex를 지표생물로 하여 수조내 시간당 감소율을 구하여 Kim(1995)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호흡율은 유동파라핀으로 외부와의 공기접촉을 단절시키고, 수조내 단위시간당 DO meter로 산소변화를 측정하여 Widdows and Johnson(1988)의 식을 변형하여 계산하였다. 배설율은 단위시간동안 수조내 NH$_4$-N 농도 증가량으로 조사하였고, NH$_4$-N은 HACH Inc.에서 제공하는 측정법을 따랐다. 여수율은 500ppb에서 다소 영향을 받아 증가하였다. 호흡율과 배설율은 노출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50ppb와 100ppb에서는 다소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양식굴이 PAHs와 같은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초기에는 여수율의 변화는 없고 배설율과 호흡율이 상승하여 체내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Effects of 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Exposure on Fertilization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Cho, Sang-Man;Jeong, Woo-Ge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45-145
    • /
    • 2003
  • To evaluate the effect of PAHs on fertilization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via in vivo exposure for 30 days. Conditioned C. gigas adult brood stock was taken from oyster farm in May 2003 and raised in flow through tank at 20-22$^{\circ}C$ with feeding equivalently mixed marine microalgae: Chaetoceros simplex, C. gracilis, Isochrysis galbana and Tetrasemis tetrathele. The oysters were exposed to PAHs cocktail at 200ppb (10 species) until they are fully riped with an untreated group. Motility of sperm, Fertilization and The percent of D-shaped larvae was measured under microscope (Olympus BX-50). Fertilization capability using dry sperm and eggs from both non- and PAHs treated brood stocks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treated group (P<0.01). In addition to the origin effect, it was obvious that fertilization of eggs from both group were adversely suppressed in consistent with PAHs level (P<0.01). The percent of D-shaped larvae in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ing to non-treated. The percent was adversely correlated with PAHs level, which was more significantly reduced in treated group. Therefore, it was obvious that PAHs exposure on the Pacific oyster has adverse affects on the sperm as well as larvae in both maternal and acute source.

  • PDF

Feeding behavior of the copepod Temora turbinata: clearance rate and prey preference on the diatom and microbial food web components in coastal area

  • Chang, Kwang-Hyeon;Doi, Hideyuki;Nishibe, Yuichiro;Nam, Gui-Sook;Nakano, Shin-Ich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25-229
    • /
    • 2014
  • Feeding behavior of Temora turbinata was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food preference and consequent clearance rate on diatom and microbial components given as common natural food assemblage of coastal area (Uchiumi, Uwa Sea, Japan). Among available prey items, T. turbinata showed the highest clearance rate for Thalassiosira spp. ($0.23{\pm}0.08L\;Temora^{-1}day^{-1}$) followed by Chaetoceros spp. ($0.11{\pm}0.03L\;Temora^{-1}day^{-1}$), but clearance rates for other diatom, Nitzschia spp. was lower (0.03 to $0.07L\;Temora^{-1}day^{-1}$). Bacterial abundances showed no response against 24-h feeding of T. turbinata. Feeding of T. turbinata on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HNF) was apparent when clearance rates of T. turbinata on diatoms were relatively low, but T. turbinata did not consume HNF as well as ciliates with Thalassiosira spp. of which clearance rate was highest. The results suggest that HNF and ciliates are possible supplementary prey item for T. turbinata, but their contribution as food sources can be limited by the presence of other prey items such as preferable diatom species.

마산항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년변화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2.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 유광일;이종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4-38
    • /
    • 1976
  • 식물플랑크톤이 해양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일차생산자로서 중요할 뿐 아니라 이들의 공간분포와 시간분포를 파악하는 일은 생산구조의 규명에 있어서도 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한편 연안역 특히 내만성인 환경의 인위적인 영양화에 따른 미소 생물의 이상번식은 정상적인 생산구조에 큰 영향을 주며 또한 다른 해양생물 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마산만은 전형적인 국지내만성인 만으로 해수의 유동이 적을 뿐 아니라 도시 폐수와 산업폐수의 유입이 커서 남해안의 다른 만에 비하여 부영양화가 빈발해서 적조현상이나 독수대의 형성이 다발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곳에서의 해양생물의 동태를 파악함은 시급한 일이라 하겠으며 수질오염에 대한 생물지표성과 기준치를 규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수영만에 있어서의 규조류의 계절적인 양 및 조성변화 (SEASONAL CHANGES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DIATOMS IN THE SUYUNG BAY, PUSAN)

  • 최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24
    • /
    • 1969
  • 1. 1966년 8월부터 1967년 7월까지 수영만에서 월 $1\~3$회 표층 채수 채집법으로 규조류의 계절적인 량 및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 표층수온은 8월에 최고 $25.5^{\circ}C$이며 1월에 최저 $10.9^{\circ}C$였다. 3. 표층 염분농도는 2,3월에 최고 $34.56\%_{\circ}$이며 9월에 최저 $31.42\%_{\circ}$였다. 4. 규조류의 계절적인 조성변화중 총 45속123종 검색되었다. 5. 이 조사에서 4월에 2,551,400/l 최고량과 12월에 20,400/l으로 최소량이 나타났다. 6. 이 조사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속은 Chaetoceres, Skeletonema 양속이며 그자 Asterionella, Eucampia, Leptocylindrus, Nitrschia 등이 있다.

  • PDF

Summer Pattern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t a Station in Jangmok Bay

  • Lee, Won-Je;Shin, Kyoung-Soon;Jang, Pung-Guk;Jang, Min-Chul;Park, Nam-J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3호
    • /
    • pp.109-117
    • /
    • 2005
  • Daily changes in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monitored from July to September 2003 (n=47) to understand which factors control the abundance at a station in Jangmok Bay. During the study,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small cell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nd the dominant genera were Chaetoceros, Nitzschia, Skeletonema and Thalassionema. Phytoplankton abundance varied significantly from $6.40{\times}10^4$ to $1.22{\times}10^7$ cells/l. The initially high level of phytoplankton abundance was dominated by diatoms, but replacement by dinoflagellates started when the NIP ratio decreased to <5.0. On the basis of the N/P and Si/N ratios, the sampling periofd could be divided into two: an inorganic silicate limitation period (ISLP, $14^{th}$ $July-12^{th}$ of August) and an inorganic nitrogen limitation period (INLP, $13^{th}$ of August - the end of the study). Phosphate might not limi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bay during the study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might b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N and Si), and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on plankton dynamics in Jangmok Bay.

LED광원을 이용한 해양미세조류의 성장 비교 (Comparison of Marine Microalgae Growth Using LED Lights)

  • 강만구;임수연;이창혁;백향란;신종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552-559
    • /
    • 2017
  • To assess the effect of LED lights on marine microalgae growth in the laboatory, Tetraselmis suecica, Chaetoceros simplex and Isochrysis galbana were cultured under $20{\pm}1^{\circ}C$, Walne's medium and aeration using 3.6 L glass vessels. The LED light sources were Blue, Red, Blue+Red, CoolWhite and WarmWhit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The density of microalgae was shown as the counted number of cells per day, and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densit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20.0 program. T. suecica culture was the highest density under the Blue LED light source, so the light source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growth of this alga. C. simplex and I. galbana culture had the highest density under the Blue+Red LED light source, therefore this light source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growth of these algae.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showed significant between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