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atovacuna japonic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일본납작진딧물(Ceratovacuna japonica)의 야외 생태특성 조사 (A ecological survey of Ceratovacuna japonica (Takahashi)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영보;윤형주;이경용;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3-128
    • /
    • 2014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간 국립농업과학원 내 포장 및 기타 주요 조사지에서 관찰한 일본납작진딧물의 생태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대 내 일본납작진딧물 접종방법 조사결과, 이대 잎에 핀으로 꼽아 접종하는 것보다 핀으로 털어 접종하는 방법이 더 유효하였으며, 노지, 비닐하우스, 반딧불이 망실보다 유리온실구가 접종율이 좋았다. 2. 일본납작진딧물의 겨울철 생존온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산호수공원과 구리생태공원은 2010년 1월 7일과 1월 15일 $-15^{\circ}C$ 이하로 조사되어 이대 생육한계 온도인 $-10^{\circ}C$ 이하이었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이대 및 이대를 흡즙하는 일본납작진딧 물이 서식할 수 있는 겨울철 최저 온도 조건 지역은 한강 이남인 보라매공원과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으로 조사되었다. 3.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 내 최저 온도 조사에서는 곤충생태원 노지가 1월 17일 $-17.5^{\circ}C$로 조사되어 역시 이대 및 일본납작진딧물이 서식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이대를 식재하여 일본납작진딧물을 도입하여 사육하기 위해서는 유리온실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둑돌부전나비(Taraka hamada)의 야외 생태학적 특성 조사 (A ecological survey of Taraka hamada (Druce) (Lepidoptera, Lycaenidae) in Korea)

  • 이영보;박해철;한태만;김성현;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6-24
    • /
    • 2014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각지 야외에서 조사한 바둑돌부전나비의 생태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대에 서식하는 일본납작진딧물은 바둑돌부전나비 유충의 먹이로서 지표로부터 폭넓게 분포하였으며, 조사 8회 차인 6월 13일부터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일본납작진딧물과 바둑돌부전나비가 가장 많은 밀도를 보이는 곳은 줄기와 가장 인접한 부위이었다. 3. 바둑돌부전나비의 유충 예상 령수는 4령으로 추측된다. 4. 바둑돌부전나비 성충의 야외 노출 시 생존시간 조사 결과, 2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