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metric measurement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5초

성장기 아동과 성인에서의 II급 1류 부정교합치료양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 II DIVISION 1 TREATMENTS : ADOLESCENTS CONTRASTED WITH ADULTS)

  • 강보선;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7-261
    • /
    • 1995
  • 본 연구는 II급 1류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 치료전의 환자연령에 따른 부정교합치료의 양적 차이를 알아보고, Johnston analysis를 통해 협측 치열군의 교점이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즉, 두개저에 대한 또한 상호간에 대한 상, 하악 각각의 성장양과 기저골에 대한 구치의 이동양을 측정하여 구치부의 교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서울대학교병윈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II급 1류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를 받은 여자환자 52명중 치료전의 연령을 기준으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으로 대별하여 치료전,후 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후의 상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변화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간의 유의한 차는 없었다. 그러나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변화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치료 전,후 수직고경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전안면고경, 후안면 고경, 하안면고경 등이 성장과 치료의 효과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며(P<0.001), 성인군에서는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었다. 3. 치료전,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의 유의성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인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5) 4.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으로, total molar correction의 양에 있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6.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에 의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63\%$가 하악골성장에 의해, $37\%$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짐을 관찰했다. 성인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99\%$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졌다.

  • PDF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의 근원심 치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mesiodistal tooth axis using a CBCT-generated panoramic view)

  • 송인태;조진형;채종문;장나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5-2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한 삼차원 영상을 기준으로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 형성 시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CBCT 삼차원 영상과 비교하여 실제 근원심 치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이차원 파노라마영상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모형은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평균치에 따라 제작되었고 CBCT와 파노라마방사선영상 촬영을 위해 촬영 시마다 연구 모형이 반복적으로 재위치되었다.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은 $-5^{\circ}$, $0^{\circ}$, $+5^{\circ}$로 연구 모형의 교합평면을 변화시키면서 촬영되었다. 이후 CBCT 삼차원 영상과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 및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평가하였다. CBCT 삼차원 영상과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의 전치 및 견치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소구치부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은 대부분의 치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CBCT-재구성 파노라마영상이 근원심 치축 평가 시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Cone-Beam Computed Tomogram (CBCT)과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의 계측점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landmark positions between Cone-Beam Computed Tomogram (CBCT) and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 손수정;전윤식;김민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2-232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CBCT (Cone-Beam Computed Tomogram)와 100%로 확대율을 보정한 조절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계측 사진(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이하 Adj-Ceph)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계측점들의 항목을 분석하여 기존의 2D 분석법을 CBCT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성인 환자 50명의 CBCT 자료 50개와, 동일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100% 확대율로 보정한 자료(Adj-Ceph) 50개를 대상으로 하여, 수평축과 수직축의 좌표를 비교하였다. 계측점들의 위치와 좌우 중첩 여부에 따라 두개골 전방에 위치한 점들(group A), 두개 중후방에 위치한 점들(group B), 좌우 양측성 점들(group C), 치아부위 계측점들(group D) 네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고, 좌표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평축(Y축)에서는 Group B (S, Ar, Ba, PNS), Group C (Po, Or, Hinge axis, Go), Group D (U1RP, U6CP, L6CP) 등 11개의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직축(Z축)에서는 전체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좌표값의 차이 분석 결과 수평축에서는 13개의 계측점에서 1 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직축에서는 Group B의 Sella를 제외한 전체 계측점에서 1 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CBCT 분석 시에는 기존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분석법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3D 분석법, 또는 수평축에서 13개의 계측점들이 보정되고, 수칙축 19개가 보정된 수정된 새로운 2D 분석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한국인 악안면 연조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SOFT TISSUE PROFILE)

  • 오천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93
    • /
    • 1982
  •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is to achieve normal occlusion and good facial esthetics for individual patients. To produce harmonized facial balance,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 who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include both a hard tissue and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uthor studied to derive the normal standard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s by roentgenocephalometric analysis. For this study 12 soft tissue profile landmarks were plotted and 23 linear length, 9 soft tissue thickness, 8 vertical height length, 12 angles of soft tissue profile, and 3 vertical proportion were measured. The subjects consisted of 166 males and 209 females from 7 to 19 years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ag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the basis of N-Pog (Nasion-Pogonion) plane, the growth of facial soft tissue in the middle region especially nose area was greater than others facial region. 2. From the basis of G-Pog' (Glabella-soft tissue Pogonion) plane, the values of linear measurement of soft tissue Nasion and Inferior labial sulcus decreased and nose tip grew forward as growing older. 3. The growth of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was greatest in superior labial sulcus and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nasion gradually became thinner as growing old. 4. The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p was 14.47mm, 14.57mm in adulr male, 12.76mm, 13.78mm in adult female. 5. The soft tissue thickness of the lower lip was thicker than that of upper lip in all age groups and both sexes, 6.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ips were 25.04mm, 49.97mm in adult male and 23.50mm, 48.39mm in adult female. 7. By the significant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fifth adult group on all vertical length measurements of lower face. 8. In fifth adult group,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LS, LI to Steiner's line and Ricketts' esthetic line were as follow; Steiner line to LS, LI were 7.98mm, 5.84mm in male. Steiner line to LS, LI were 6.71mm, 5.08mm in fe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0.40mm, 1.72mm in 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1.38mm 0.65mm in female. 9. In fifth adult group, the facial convexity angle and lower facial component angle were $171.17^{\circ}142.94^{\circ}$ in male and $172.5^{\circ}$, $144.41^{\circ}$ in female.

  • PDF

정상 교합자의 세가지 안면 성장유형에 따른 ODI, APDI의 변화 (A Longitudinal change of ODI and APDI on Three Facial Growth Pattern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이선령;박경덕;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7-568
    • /
    • 1996
  • 본연구는 안면성장유형에 있어서의 피개교합심도지수, 전후방부조화지수의 성장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 보기 위하여 정상교합자 남자 19명, 여자 14명의 10년간 격년으로 촬영한 두부 X-선 규격사진을 Y-axis의 연구기간동안 총변화량에 따라 Drop, Neutral, Forward의 세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각 계측항목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남녀 각 안면유형에서 각 연령군의 각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cdot$ 안면유형에 따른 세 그룹간 비교에서 전후방부조화지수와 피개교합심도지수는 전 연령구간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 전 연령구간에서 Drop, Neutral, Forward의 크기순으로 나타났다. $\cdot$ 피개교합심도지수와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전연구기간동안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없이(p>0.05) 안정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cdot$ Y-axis의 총변화량과 각 계측항목의 상관성 조사에서 A-B plane angle, Fac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었고(p<0.05)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여자에서만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p<0.001)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 PDF

제II급 2류 부정교합에서 하악 절치 치축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Lower Incisor Axis in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s)

  • 최원철;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7-50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제II급 2류 부정교합에서 하악 절치 치축의 보정 이후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62명의 제II급 2류 부정교합 증례들에서 교정 치료전(T1)과 치료후(T2) 그리고 장기간의 보정이후(T3)의 치아 모형과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들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각 시기별로 여러 개의 선 및 각도 계측을 시행하고 각 성별과 발치-비발치에 대한 하악 절치 치축 변화량의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II급 2류 부정교합 치료 동안 순측으로 경사된 하악 절치들은 불안정하였고 원래의 설측 위치로 되돌아갔다(p<0.001). 하악 절치들의 설측 재발량에 대하여는 발치와 비발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하악 절치들의 축변화에 대하여는 남녀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다중 회귀 분석의 결과, 보정 이후 A-Pog선에 대한 하악 절치의 위치를 가장 잘 예측하는 두부계측 방사선 계측 항목은 치료전 L1-Apog(mm)과 치료전 SNGoMe$(^{\circ})$였다. 교정치료 이후 순측으로 경사된 하악 절치들의 불안정성 때문에 치료 목표는 치료전 절치 치축의 위치가 되어야 한다.

Nasal Anthropometry on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for Rhinoplasty in Koreans

  • Moon, Kyung Min;Cho, Geon;Sung, Ha Min;Jung, Min Su;Tak, Kyoung Seok;Jung, Sung-Won;Lee, Hoon-Bum;Suh, In Suc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610-615
    • /
    • 2013
  • Background Cephalometric analysis is essential for planning treatment in maxillofacial and aesthetic facial surgery. Although photometric analysis of the Korean nose has been attempted in the past, anthropometry of the deeper nasal structures in the same population based on computerized tomography (CT) has not been published. We therefore measured three anthropometric parameters of the nose on CT scans in our clinical series of patients. Methods We conducted the current retrospective study of a total of 100 patients (n=100) who underwent a CT-guided radiological measurement at our institution during a period ranging from January of 2008 to August of 2010. In these patients, we took thre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the nasofrontal angle, the pyramidal angle,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nasion and the tip of the nasal bone. Results The mean nasofrontal angle was $131.14^{\circ}$ in the male patients and $140.70^{\circ}$ in the female patients. The mean linear distance between the nasion and the tip of the nasal bone was 21.28 mm and 18.02 mm, respectively. The mean nasal pyramidal angle was $112.89^{\circ}$ and $103.25^{\circ}$ at the level of the nasal root, $117.49^{\circ}$ and $115.60^{\circ}$ at the middle level of the nasal bone, and $127.99^{\circ}$ and $125.04^{\circ}$ at the level of the tip of the nasal bone, respectively. Conclusions In conclusion, our data will be helpful in the preparation of silicone implants for augmentation and/or corrective rhinoplasty in ethnic Korean people.

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김나리;김용일;박수병;황대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5-155
    • /
    • 2010
  •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수술 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 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eletal stability following mandibular advancement: is it influenced by the magnitude of advancement or changes of the mandibular plane angle?

  • Tabrizi, Reza;Nili, Mahsa;Aliabadi, Ehsan;Pourdanesh, Fereydo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3호
    • /
    • pp.152-159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vancement magnitude and changes in mandibular plane angle on the stability of mandibular advan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evaluated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mandibular advancement in class II skeletal subjects who underwent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Radiographs taken preoperatively, immediately post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were traced and analyzed using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To determine horizontal and vertical relapse, an X-Y coordinate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the X-axis was constructed by rotating S-N downward by $7^{\circ}$ (approximation of the Frankfort horizontal plane) and the Y-axis was defined as a line perpendicular to the X-axis and passing through the point Sella. For certain reference points including point A, point B, pogonion and menton, the perpendicular distance between each point and both axes was determined and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recorded as X and Y coordinates. Results: Twenty-five subjects were stud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and relapse in the B point (vertical and horizontal) and the pogonion point was observed (vertical and horizontal, P<0.001). Evaluation of data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ndibular plane angle (SN/ML) change and vertical relapse in the B point (P<0.05). A simple regression model demonstrated that 74% of horizontal relapse and 42.3% of vertical relapse in the B point was related to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test showed that 8.5 mm mandibular advancement is related to a relapse rate of 1 mm or more in the pogonion, vertically or horizontally. Conclusion: The magnitude of mandibular advancement is a stronger surgical predictor for horizontal rather than vertical relapse at the B point. Changes in mandibular plane angle (SN/ML) during surgery affect vertical, but not horizontal relapse at the B point.

하악골 후방이동시 중안면부 연조직의 변화양상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of the Midfac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 한대희;김수남;민승기;김태성;성헌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319-329
    • /
    • 2000
  • Prediction of the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hard tissue movement is very important from the esthetic view point for patients who have orthognathic surgery. There are many cephalometric analysis of facial bone and soft tissue on the lower lip and chin region but few soft tissue analysis on the midfac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whether the mandibular posterior movement has influence on the midface and the predictable ratio of post-operative measurement values of the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mandibular setback surgery. Fifteen patients (8 males and 7 females) who had undergone mandibular setback surgery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soft tissue movement on the upper lip and the cheek region. Post-operative changes of the soft tissue measurements after mandibular surgery were examined on pre- and post-operative cephalometrics and the ratio of changes were analyzed after drawing the reference line on the face with the barium sulfate solution. The reference lines were perpendicular to the intercanthal line from infraorbital foramen and lateral canthu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tendancy of anterior movement of soft tissue adjacent the nose after mandibular surgery 2. There were incerased tendancy of the amount of anterior movement from the nasal crease to the cheek region. 3. The amount of anterior movement of the soft tissue was larger below the palatal plane compared with above the palatal plane in the cheek region. 4. The upper lip length was increased and moved posterior direction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5. The lower lip was moved posterior direction by posterior movement of the mandibular structure 6. Soft tissue of the midface around the nose moved anterior direction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and the amount of the soft tissue chan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