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gram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상하악 치조전돌증의 양악 분절골절단 수술후 경,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SOFT HARD TISSUE CHANGES FOLLOWING ANTERIOR SEGMENTAL SURGERY IN BIMAXILLARY PROTRUSION)

  • 송재철;진병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3호
    • /
    • pp.250-2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surgery in bimaxillary protrusion patients. 11 patients had received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surgery and were investigated radiologically with lateral cephal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relative high. : Coefficient between UIE and Stms was 0.89 (p<0.001). 2. The correlation of mandibular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very high, especially at the chin. : Coefficients were over 0.90 (p<0.001) 3. All points were moved superiorly except SLS, LS, Stms. 4. Upper and lower lip convexity to the E-Line were decreased (p<0.001) and postsurgical facial profiles were changed very esthetically.

  • PDF

전치부 개방교합의 골격요소간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ON THE SKELETAL FACTORS OF THE ANTERIOR OPEN BITE)

  • 김형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59
    • /
    • 1985
  • To analyze the skelet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the faces of normal occlusion and open bite were measured using a cephalogram. The factors which were greatly different from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incisal overbite and correlation on these factors were stud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13 factors which compri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were obtained. (Table 5) 2. The cause and amount of the open bite were dependent on the skeletal angulation than skeletal length. 3. For determining the incisal overbite, most highly correlated single factor was the interincisal angle. 4. The correlation on the selected 13 factors which compri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bite was obtained. (Table 6) 5. The open bite was due to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than due to single factor. (Table 3,4).

  • PDF

Bioprogressive Mechanism에 의한 Cl III 부정교합의 치험예 (CASE REPORTS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S TREATED BY BIOPROGRESSIVE MECHANISM)

  • 정규림;권기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53-368
    • /
    • 1985
  • This present paper describes 3 clinical cases which were treated with Bioprogressive mechanism. Each patient has shown a deficient maxilla combined with prognathic and steep mandible. The purpose of treatment was planned to obtain the forward growth of maxilla and redirectioning of mandibular growth. The most noteworthy approach in the treatment was the application of Cl III intermaxillary elastics with upper protraction utility arch immediately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pre- and post treatment lateral cephalogram, the result achieved by this method is very favolable to the correction of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maxilla and mandible.

  • PDF

하악과두 전위로 인한 두부방사선계측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EPHALOMETRIC CHANGES BY THE DISPLAC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S)

  • 유기환;국윤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91-601
    • /
    • 1991
  •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centric relation and centric occlusion, 60 patient-20 patients for each malocclusion group-were examined with the cephalograms in centric relation and in centric occlu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differences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with the mandible in the two different position, and some measurem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2. No clinically useful prediction may be made from cephalometric radiographs concerning the amount of mandibular deflection from centric relation to centric occlusion. 3. If, the large differences i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with the mandible in the two different position, the analysis with the cephalogram in centric occlusion is needed to be compensated with the other clinical approach.

  • PDF

하악(下顎) 제2대구치(第二大臼齒)의 맹출과정(萌出過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 김무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63
    • /
    • 1979
  • To Study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the author took 425 cases of Oblique Cephalogram from 6 to 13 years old children and observed the vertical and mesiodistal directional change and tooth axis chan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was changed at about 10.0~10.1 ages or calcification stage IX. 2. At the early stage, the path of erup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parmanent molar directed upward and forward and after calcification stage IX it changed to the direction of upward. 3. At the early stage, the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scending ramus was 0.9~1.0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but at the later stage it was increased 1.4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 PDF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연구 (Frontal Cephalogram Study on The Natural Head Position of Facial Asymmetry Patients)

  • 김현;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35-542
    • /
    • 2000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NHP)시 정면에서의 두부 또는 경추의 경사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시 비대칭의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두드러진 전후방 골격 이상은 없으나 뚜렷한 좌우 안면비대칭을 보이는 성인 20명을 비대칭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와 비교적 정상교합을 보이는 성인 21명 을 대칭군으로 선정 한 다음 물방울 수평계를 이용하여 NHP 상태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였다. Crista galli와 anterior nasal spine을 연결한 선과 crista galli와 menton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을 menton의 변위 정도로 정하고, 좌우 supra-orbital margin의 최상방점을 지나는 supra-orbital line과, 제1경추와 제4경추의 중심을 연결한 cervical line이 각각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을 계측한 다음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pra-orbital line이 true vo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가 대칭군에 비하여 비대칭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2. Cervical line이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비대칭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다. 3. 비대칭군에서 supra-orbital line이 true vo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는 menton의 변위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안면비대칭 환자는 menton의 변위를 보상하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NHP를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상교합을 가진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NALYSIS FOR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서문선;손흥규;백형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05
  •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 PDF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THE SKELETAL MATURITY OF CERVICAL VERTEBRAE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8-113
    • /
    • 2004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 PD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의 두부계측분석을 통한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 후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 (The Vertical Changes of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by a Cephalometric Analysis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이종민;강주완;이종호;김창현;박재억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311-319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ertical changes of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by a cephalometric analysis of a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A total of 20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 had bimaxillary surgery with Le Fort 1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rgical plan for maxilla was posterosuperior impaction with the anterior nasal spine, as the rotation center. Further, the surgical plan for mandible was also posterosuperior movement. The soft tissue changes between lateral cephalogram and CBCT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oft tissues changes between lateral cephalogram and CBCT. Upper lip philtrum length (SnLs), nasolabial angle increased and upper lip vermilion length (LsStms), lower lip length (StmiB'), lower lip vermilion length (StmiLi), lower lip philtrum length (LiB') and soft tissue lower facial height (SnMe') decreased after surgery. Change of SnLs (${\Delta}$SnLs) was influenced by vertical change of menton (${\Delta}$MeV), and change of LsStms (${\Delta}$LsStms) was influenced by upper lip thickness (ULT). Change of StmiLi' (${\Delta}$StmiLi') were influenced by preoperative overjet. Change of StmiB' (${\Delta}$StmiB') were influenced by preoperative overjet, vertical change of lower incisor (${\Delta}$L1V) and horizontal change of posterior nasal spine (${\Delta}$PNSH). Change of LiB' (${\Delta}$LiB') was influenced by ${\Delta}$L1V and ${\Delta}$PNSH. Change of SnMe' (${\Delta}$SnMe') was influenced by ${\Delta}$MeV, horizontal change of upper incisor (${\Delta}$U1H) and horizontal change of lower incisor (${\Delta}$L1H). ${\Delta}$Nasolabial angle was influenced by change of ULT (${\Delta}$ULT). Conclusion: Both soft tissues and hard tissues can be evaluated by CBCT. Posterosuperior rotation of maxillomandibular complex resulted in increase of upper lip philtrum length and nasolabial angle, while the upper lip vermilion length, lower lip philtrum length, lower lip vermilion length, and soft tissue lower facial height showed a decrease.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 있어서 구내장치 반응성에 대한 두부 방사선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fter use of oral appliance)

  • 경승현;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6
    • /
    • 2000
  • OSA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여 RDI가 5이상이고 Arousal Index가 20이상이어서 OSA로 진단된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구내장치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한 수면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RDI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구내장치 장착전과 후에 두장의 두부 방사선을 호기 말에서 채득하여 안모 형태에 대한 변수를 첫번째 두부 방사선상에서 측정하였고, 두 장의 두부 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연구개,후 인두벽, 혀, 설골, 상기도, 하악의 구내장치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두부 방사선상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RDI 개선도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반응하는 8명과 가장 효과가 낮게 반응하는 8명을 선택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여 군 비교를 시행하였다. 군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rank test를 시행 하였고 구내장치에 의한 각 변수의 차이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 안모 형태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구내장치는 장착전 평균 RDI=45.8에서 장착 후 평균 RDI=13.3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상관 관계에 있어서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설골의 상방 이동량은 구내장치 효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료 효과가 양호한 군에서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 사이 수준(level)에서 유의성 있는 혀의 전방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구내장치에 의한 혀의 전방 이동은 RDI 개선도와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사이 수준(level)에서 상기도의 전후방 길이인 AW는 RDI 개선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혀의 전방 이동과 설골의 상방 이동, 상기도의 전후길이 증가등은 RDI의 양호한 개선을 나타내는 지표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