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1초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Exploring the Experience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in Teaching Online Course Due to COVID-19)

  • 정재원;허정은;박효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60-6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classes online due to COVID-19.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interviews of four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who switched from teaching classes offline to teaching them onlin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ors had difficulties in creating video content, interacting with students, and conducting online assessm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ofessors had difficulties in switching to online teaching.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produced empirical data about online teach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classes online.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 (The basic theoretical research for a practice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eaching reflection)

  • 금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57-63
    • /
    • 2016
  • 교수전문성 개발에 있어서 수업성찰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성찰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성찰의 개념, 절차 및 내용을 고찰하여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성찰의 개념은 $Sch{\ddot{o}}n$이 제시한 '행동 중 성찰'이며, 성찰의 절차와 내용은 Korthagen의 Core Reflection 모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Core Reflection 모형은 교수의 수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적 요인과 외현적 요인을 통합하도록 지원하며 교사 개인의 강점을 발전시키는 모형이다. 대학교수의 수업성찰 실천에 관한 시사점으로 첫째, 교수 개인은 수업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성찰하면서 수업성찰 저널을 작성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개발센타에서는 수업성찰의 내용과 절차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 개인의 성찰이 효과적이기 위해서 동료교수와의 수업나눔이 필요하다.

영어 교수학습에 활용 가능한 게임 인터페이스 분석 (Analyzing Game Interfaces for Adapting Games in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 원은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4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 러닝이 대두되면서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콘텐츠의 활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영어교육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콘텐츠로 게임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영어교수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게임의 인터페이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게임 장르 별 대표게임을 선정하고 해당 게임의 플레이 과정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출한 다음, 해당 인터페이스의 언어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분석 결과와 영어교수학습 방법의 특성을 종합하여 교수학습 방식에 따라 활용 가능한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시해 보았다.

문법 교육의 유형적 분석과 학습 적용 방안 - 프랑스어 명사의 성을 중심으로 (Stylistic analysis of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application plan - based on the gender of French nouns)

  • 정일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37권
    • /
    • pp.233-265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rench grammar and apply effective ways in the course considering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conducted by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first part, we observed different types of the theory of grammar teaching. The key point in choosing a theory of grammar is to adopt a learning objective defined by the level of learners. To do this, the teacher must find methods that enable learners to achieve a gradual grammatical knowledge. In the second part, we focused on the conscience of the learners et teachers in respect of the grammar's importance. Learners and teacher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French grammar. However, it is essential to find effective methods that can not only attract the interest of learners but also give students the motivation towards learning French grammar.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of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the teaching of grammar, it is very important to familiarize learners with the following facts: - The grammar is not an independent component of the other with regard to the teaching of French. - You can get a satisfactory result on learning grammar provided that it takes place in the course of linguistic communication. What we have proposed in this article is not an absolute solution to improve the course of French, with regard to learning grammar. However, we hop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o facilitate the teaching of French grammar.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in Microteaching)

  • 심상길;윤혜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31-1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in microteaching. This study is organized along the following lines: 1)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duct twice microteachings, 2) the microteaching recordings an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are analyzed. Through reviewing the first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 have reviewed and found out improvements of their teaching. In the second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have been positively and effectively changed with respect to teaching methods, proposal of learning objectives, prior knowledge usage, presenting lesson's content, concise descriptions, brief language usages, multimedia, and appropriate questions. However, they frequently used inappropriate expressions from their unconscious habits. Therefor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involved in well-structured microteaching training program with pre-service teachers, which in turn, help pre-service teachers to have more positive teaching competence.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A Study of Teaching-Learning Practices in Education Center for the Talented in Invention)

  • 박광렬;최호성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81-300
    • /
    • 2011
  • 최근 영재교육의 영역이 다양화되는 추세 속에서 발명영재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2010년부터 지역교육청에서는 기존의 16개 '발명교실' 시스템을 영재교육원의 '발명 영재학급'으로 전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렇지만 발명영재교육의 실천 역사가 일천한 탓에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체계적 분석 시도가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 산하 발명 영재교육원의 교수-학습 사태를 분석하여 영재아의 특성에 부합하는 발명영재교육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VanTassel-Baska의 수업관찰 분석(COS-R)기법을 활용하여 발명영재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행위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수 행위의 특징'은 교육과정 계획과 실행, 문제 해결력, 창의적 사고력 등이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연구방법, 비판적 사고력, 개인별 수준 고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교수 행위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정도'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이 같은 비율로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의적 사고력, 일반적 수업 활동, 연구 방법, 개인별 수준 고려 순이었다. 두 영역 모두 개인별 수준 고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발명 영재교육원의 발명 교수 학습 행위는 개인별 수준 고려와 발명 영재 탐구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교수 학습 환경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교과서와 그에 관련된 교수 학습자료의 활용 실태 조사 (On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 권치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8
    • /
    • 198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 new view of textbook which may contribute to the abolishment of the instruction mainly based on the only textbook and to the promotion of creativities of students. We first reviewed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foreign countries with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ractical use of them. In western countries the roles of traditional textbook has been changed. That is, various kinds of materials such as reading book, work-book, worksheet, experimental guidebook, filmstrips are used to raise effect of instruction besides of traditional type of textbook. Secondary, we identifi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ience textbook-view of textbook, textbook contents, practical use of textbook-through opinion survey administered to principals ak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Concerning the view of textbook, most teachers did not recognize textbook as an absolute materials. They thought that textbook contents could be taught reorganized according to their judgements. On the contr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follow contents of textbook as they are presented in it were approximately 30%. Further, more than 75% of them have seldom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except textbooks. In order to revise the problems of our present textbook as stated above, a new view of textbook should be established. We, above all, established 4 basic premises for searching a new view of textbook. 1) Textbook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only material but as being at the center of various teaching -learning materials. 2) The importance of textbook should be illustrated Among Curriculum, textbook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struction and evaluation. 3. Textbook contents should not be regarded as definitely fixed or absolute ones. 4. Human being can understand environment more fully by commanding his swnsory organ multilaterally. Under these premises we disscussed about curriculum and textbook, textbook, and instruction, akd evaluation method.

  • PDF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Predic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care Center)

  • 김민정;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7-114
    • /
    • 2015
  • 이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어린이집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는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하위변인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순으로 영향력을 가졌다. 영아반 교사는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적 태도의 순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많이 주었고 유아반 교사는 과학적 태도,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순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영아반, 유아반 교사 대상 맞춤형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컨텐츠 분석 및 교수지원 플랫폼이 나아갈 방향 (Content Analysis of the Teaching Support Program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and Direction of the Teaching Support Platform)

  • 조보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12
    • /
    • 2020
  •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컨텐츠 분석 및 교수지원 플랫폼이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20년 4월 문헌연구 실시, 타 대학 및 K대학의 교수지원 현황 분석, 교수자 인터뷰 분석, 전문가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4개 대학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수법 특강, 수업컨설팅, 교수법 연구모임, 교육자료실이 대표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플랫폼 기본 구조를 교원들간의 교수법에 대한 활발한 의견교환이 가능하도록 강의사례공유 게시판, 교수법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하도록 교수지원 프로그램 신청 게시판,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Edu-tech, 교수지원 메뉴로 구성하였다. 셋째, 교수지원 플랫폼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교수지원 플랫폼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지원 프로그램 컨텐츠를 분석하고 교수지원 플랫폼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교수지원 플랫폼 구축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국내 광역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과 이용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Teaching & Learning Aid Centers under the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91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 광역시 도 교육청 웹기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2006 년 7 월 3 일부터 7 월 15 일까지 직접 접속을 하여 참고봉사 제공관련 특성과 참고질문응답 기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전국의 16개 광역시 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 중 13 개 센터가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참고봉사 실시여부, 인터페이스 접근 수준, 디지털참고봉사 명칭, 디지털참고봉사 커뮤니케이션 도구, 참고질문수, 참고질문 유형, 응답비율, 질문 답변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현황과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디지털참고봉사가 확립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