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4초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from 2000 to 2016)

  • 탁병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269-289
    • /
    • 2017
  • 통계교육 연구는 통계교육의 현상을 기술, 예측, 설명함으로써 통계교육의 실제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이후 국내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통해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7년 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주요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9편을 찾아, 학술지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연도별로 그 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통계교육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그 편수가 많지 않아 특정 연구자들에 의한 연도별 변이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비대상 연구가 대체적으로 비슷했으며 대학생 대상의 연구가 거의 없고 교사 대상의 연구는 2010년 이후로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연구와 비실험 연구가 비슷하게 수행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2010년 이후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통계교육 연구 중에서는 교수 학습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추론 및 이해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계교육의 연구 동향을 2010년 전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확인하고 향후 통계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예측요인으로 선정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D대학교 1,2학년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B= -.351, p< .01), 사회적지지(B= .210, p< .05) 회복탄력성(B= .355, p< .01)이며 30.6%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으로는 생활만족도와 원인분석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스트레스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일 지역 간호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성 지식, 태도, 경험 및 교육 요구 비교 (Knowledge, Attitudes, Experiences in Sex and Needs for Sex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 이점숙;이가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5-55
    • /
    • 2003
  • This study was focused on compar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ces in sex and the needs for sex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3 female students who attended 4 universities in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002 to December,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variance, t-test and Chi-squ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ex knowledge of the nursing students was 13.29 and the non-nursing students's was 11.11. There was a difference(p=0.000)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in sex knowledge. 2. The mean score of sex attitude of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was 25.64, 26.65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3. 61.8% of the nursing students and 62.3% of the non-nursing students had experienced a relation with the opposite sex. Kissing experience was 59.9%, 61.8% and masturbation was 9.5%, 9.2% respectively. Sexual intercourse was 5.3%, 11.9% and contraception was 1.9%, 8.2% respectively. Among these experiences, sexual intercourse and contraception experience rate were different(p=0.017, p=0.002 respectively)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4. Of 19 sexual education contents, only 'the dignity of life' showed a difference. That is, more nursing students(92.9%) wanted to know about 'the dignity of life' than non-nursing students(85.7%). Among the respcndent's needs on the sexual education contents, 'Contraception' was rated first and followed by 'Sex psychology of men and women', 'Pregnancy', 'Prevention of sexual crime'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Most of the respcndents(95.8%) wanted sex education introduced in the :first year of university, and presented as a special class. Specifically, 50.0% of the students wanted the education to be more realistic and systemic. With the above results, when university faculties are sexual educating to university students, they have to aware of the difference of target students. And they need to stress more realistic and specific aspect of sexual education learning rather than theoretical teaching.

웹 로그에서의 Apriori 알고리즘 기반 사용자 액세스 패턴 발견 (User Access Patterns Discovery based on Apriori Algorithm under Web Logs)

  • 염종림;정석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81-689
    • /
    • 2019
  • 웹 사용 패턴 발견은 웹 로그 데이터를 사용하는 고급 수단이며 웹 로그 데이터 마이닝에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적용한 특정 응용이다. 교육 분야에서 데이터 마이닝 (DM)은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교육 데이터 (대학의 웹 로그, e-러닝, 적응형 하이퍼미디어 및 지능형 튜터링시스템 등)에 적용한다. 따라서 교육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웹 로그 데이터가 데이터 마이닝의 연구 대상으로 사용되어 진다. 데이터베이스 OLAP 기술을 사용하여 웹 로그 데이터가 데이터 마이닝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사전 처리되고 그 처리 결과가 MSSQL에 저장된다. 동시에 처리 된 웹 로그 레코드를 기반으로 기본 데이터 통계 및 분석이 완료된다. 또한 웹 사용 패턴 마이닝의 Apriori Algorithm 및 구현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Python 개발 환경에서 Apriori Algorithm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그런 다음 Apriori Algorithm의 성능을 보이고 웹 사용자 액세스 패턴의 마이닝을 실현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교육 시스템 개발에 패턴을 적용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의미를 갖는다. 다음 연구로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Apriori Algorithm의 성능 향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Literacy Therapy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riendship)

  • 백현기;강정화;하태현;김수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45-154
    • /
    • 2017
  • 본 연구는 문학의 다양한 매체와 활동을 이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교우관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학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담 종료 5주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교우관계 전체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우관계의 '친밀감' 하위 영역이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추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친밀감'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청소년들의 교우관계 하위영역 중 '관심도' 수준이 추후검사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문학치료는 청소년의 교우관계 증진에 즉시적 효과는 없었으나 시간이 지난 후에 효과가 있었다.

Analysis of news bigdata on 'Gather Town' using the Bigkinds system

  • Choi, Su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3-61
    • /
    • 2022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MZ세대와 메타버스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MZ세대에 부합되는 교수학습 방식으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 관점에서 언론사 뉴스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중의 하나인 게더타운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재단에서 제공하는 빅카인즈 시스템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COVID-19 팬데믹 이후에 나타날 미래교육에서 '게더타운'의 활용도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연관어와 워드크라우드 분석에서, '비대면'이나 '대학' 그리고 '신입생' 등 교육 관련 용어들의 가중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버스', '메타버스 플랫폼'을 포함하여, '코로나19'나 '아바타' 등의 용어도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 용어로는 '코로나19, 아바타, 대학생, 진로, 유튜브' 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본 연구 결과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하나인 게더타운의 향후 교육 영역에서의 활용이 보다 활성화 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식습관 분석 및 영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A Survey on Dietary Habits in Gyeongnam and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for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조민아;이경혜;허은실;김정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2호
    • /
    • pp.97-112
    • /
    • 2009
  • 본 연구는 경남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식습관,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비만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신체적 특징으로 신장은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체중은 남학생(55.0${\pm}$9.0 kg)이 여학생(52.0${\pm}$9.4 k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2. 전체 아동의 83.5%가 영양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으며 80.3%가 영양교육의 필요하다고 답하여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희망하는 영양교육 내용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식사조절법(64.7%)', '올바른 간식(12.2%)'으로 조사되었다. 희망하는 영양교육 방법으로 남학생은 '게임(35.4%)', '강의(18.8%)', '조리실습(16.7)', '개인상담(16.7%)' 순으로, 여학생은 '조리실습(25.6%)', '개인상담(25.6%)', '강의(11.6%)', '그림그리기(11.6%)'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4. 아동의 식사속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사속도가 유의적으로 빠른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5. 운동종목에서 남학생이 '가벼운 레포츠활동(27.0%)'과 '구기종목(25.4%)'을 여학생은 '가벼운 레포츠 활동(47.9%)'과 '걷기(25.4%)'를 선호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운동장소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운동장 등 활발한 장소를 선택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6. 영양교육 수업지도안 개발은 비만 개선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교육하기 위해 13차시 분량의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등학교 고학년용 영양교육 교수 학습지도안은 비만 정의 알기, 자신의 모습 사랑하기, 식사와 관련된 감각 익히기, 식품군 알기, 아침결식개선, 편식개선, 올바른 간식선택, 외식의 8개 대주제와 13개의 소주제로 구성된 13차시였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을 활용하여 실제로 수업하여 그 효과판정을 하지 못했으므로 그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비만인구는 점점 증가하고 세계적으로 문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교육방법 개발과 실제 교육은 학교에서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앞으로 비만문제를 단순히 가정에 맡기거나 의학적인 문제로 방치하기 보다는 그 예방차원이 우선시되어 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에서 식습관 관련 수업이 영양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자료 개발 (The development of resources for the application of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 황지윤;김양하;이행신;박은주;김정선;신상아;김기남;배윤정;김기랑;우태정;윤미옥;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21-35
    • /
    • 2022
  • 본 연구 결과, 식품군별 대표식품과 1인 1회 분량이 설정되었으며 생애주기별, 성별 1일 에너지필요추정량에 따른 식품군별 섭취횟수를 계산하여 제시한 권장식사패턴 및 이를 활용한 권장식사구성안 12종이 제시되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지·당류 섭취량의 감소를 위한 인지를 높이기 위해 1인 1회분량과 식품구성자전거에 유지·당류 식품군을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과 일반인 및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20 KDRIs 기반 생애주기별 영양문제 범주화 및 대국민 메시지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웹기반 영양 콘텐츠 개발 및 홍보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일반국민과 청소년 대상 카드뉴스 2종, 새로운 2020 식품구성자전거와 권장식사패턴을 홍보하기 위한 카드뉴스 2종과 5개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베트남어, 중국어) 포스터가 제작되었다. 또한 영양교육주제의 우선순위 선정 후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설계 후 교육목표에 따른 교수학습안과 교수자료, 평가도구 등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자료는 모두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 누리집을 통해 배포되었으니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적인 측면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일부 중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장윤정;나백주;김건엽;배석환;김철웅;김은영;이무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2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handwashing training of the students and help them to form a healthy habit.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a standard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Sep. 20 to Oct. 6 2006 with a total of 710 students in 1, 2, 3 grades at 6 middle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490 students from four schools situated in an urban center, 220 from 2 in a suburban district).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employing man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hi-square($x^2$) test, t-test, ANOVA analysis with post hoc 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tal number of handwashing tim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6.69 per day. 66.1% of the students used soap and most of the students washed hands for $6{\sim}10$ seconds(44.7%). Second, in the knowledge of handwashing, "both of the parents"(p<0.01), "catholic", "city"(p<0.05) were the highest and the practice of handwashing was active with "city", "high economic level"(p<0.05) and "both of the parents"(p<0.01). In the experience of teaching handwashing, "Yes" was 24.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handwashing knowledge(p<0.05), attitude and practice(p<0.01). Third, in the correlation of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nowledge(.534). The practice of handwashing has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shows positive co-relation in knowledge(.335) and attitude(0525). Fourth, based on the result for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s dependent variables, handwashing knowled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ith sex, type of school(p<0.05) and residential area(p<0.01). There were also statistical significancy between handwashing attitude and knowledge(p<0.01) and between handwashing practice and religion, knowledge(p<0.05) and economic level, attitude(p<0.01). Conclusion: There were consistent results with handwash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their attitude was more positive and if they had better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 their practice was activ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students who learned about handwash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learning handwashing. To enhance handwashing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andwashing environment should be maintained. The training plans should also be made according to sex, type of school, economic level, residential area, and the consistent study on handwashing training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