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wall

검색결과 1,891건 처리시간 0.03초

Nutrient Intake, Its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of Sheep Fed Urea Treated Mustard (Brassica campestris) Straw

  • Misra, A.K.;Karim, S.A.;Verma, D.L.;Mishra, A.S.;Tripathi,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74-1680
    • /
    • 2000
  • A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eeding value of urea treated and untreated mustard straw (MS) for sheep. Treated MS was prepared by adding urea-N at 1.84% and followed by packing in a pit silo for 21 days. Two groups of six empty Avikaline ewes were fed untreated (UTMS) and treated (TMS) mustard straw along with 200 g concentrate per head daily for 90 days. Untreated MS had 0.41% N and the urea treatment increased its N value to 1.58 %. The cell wall constituents were decreased in the TMS except for cellulose which remained unaffected. Dry matter intake of TMS was consistently higher than that of UTMS. Digestibility of DM, OM and fibre fractions of MS improved by the urea treatment. Ewes in both groups were in positive N balance while % N retention was lower in UTMS (26.30%) than in TMS (52.14%). The TMS fed group on average consumed 30.2 g DM, 2.9 g digestible crude protein and $0.2MJ\;DE\;per\;kg\;BW\;day^{-1}$ and maintained their weight whereas, the UTMS fed ewes lost weight. The VFA concentration in rumen liquor was higher in TMS than in UTMS. Total-N, ammonia-N and TCA-precipitable-N were also higher in TMS fed ewes.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in the two groups were similar at initiation of the study. However the glucose concentration of UTMS fed group was significantly (p<0.01) lower than those fed UTMS at the termination of the study. Urea-N concentration was also higher in TMS fed group after 90 days of feeding period. It is concluded that urea treatment of MS improved N value of MS from 0.41% to 1.58% along with sizable improvement in nutritive value and in conjunction with 200 g concentrate, TMS can serve as maintenance ration for sheep. ($ME_{lakt}/ME_{m}=1.46$).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배우자 형성 및 생식소 발달 (Gametogenesis, Gonadal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김봉석;방종득;류호영;홍정표;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37-144
    • /
    • 2001
  • 본 연구는 동해남부해역의 수하식 우렁쉥이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2년산 우렁쉥이, Halocynrhia roretzi의 생식세포 및 생식소 발달과 성숙 조사를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7년 4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우렁쉥이는 자웅동체형으로 난생이었다. 난소는 체벽에 평행하게 붙어 좌측에 6~8개, 우측에 8~10개의 가는 생식수관을 가진 구조이며, 정소는 난소 사이에 불규칙 한 많은 낭상 구조를 가진 복합 생식소이었다. 난원세포는 직경이 11.7~15.6 ${\mu}m$이었고, 초기성장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39.6~47.6 ${\mu}m$이었으며, 핵경은 10.0~25.0 ${\mu}m$이었다. 난소를 대부분 차지하는 난황형성중인 난모세포는 158.6~210.0 ${\mu}m$에 이르렀다. 성숙 난모세포는 210.0~230.9 ${\mu}m$로 피질부에서 test cell들이 관찰되었다. 정소는 한 개의 정소낭에 여러 개의 곡정세관이 밀집되어 그 내부 생식상피를 따라 일반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고 있었다. 첫 산란은 수온이 1$0^{\circ}C$이하로 떨어진, 3년생이 되는 1997년 1월에서 2월에 주로 이루어졌다.

  • PDF

고압균질처리에 따른 산지별 밀기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in Different Areas Prepared by a High-pressure Homogenizer Process)

  • 안은미;이재강;최용석;김영화;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4-40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영양적으로 우수한 밀기울의 식품 소재화를 위해 산지별 밀기울의 고압균질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고압균질처리로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이러한 미세화 처리에 의해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입자 크기와 용적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보수력, 팽창력, 보유력 및 양이온치환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p<0.05). 이는 고압균질기의 노즐 지름이 작을수록, 통과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IC 200으로 1회 및 IC 100 2회 처리한 시료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IC 100 5회 처리한 시료는 IC 100 2회 처리한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고려할 때 IC 100 2회 처리한 시료가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지별 밀기울 간에는 이화학적 특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밀과 수입밀의 밀기울 특성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의 고압균질처리에 의해 불용성 식이섬유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섬유소를 강화하고 유지와 수분의 보유를 필요로 하며 지질 흡수를 저해하는 식품에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화 처리를 통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韓國産) 바위솔속(屬) 엽육조직(葉肉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Foliar ultrastructure of Korean Orostachys species)

  • 김인선;박재홍;서봉보;송승달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52-61
    • /
    • 1995
  • CAM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산 바위솔속식물 3종(난장이바위솔, 바위솔, 둥근바위솔)의 엽육조직이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되었다. 다육질성의 이들 엽육조직은 주로 세포의 크기가 큰 수분저장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간극이 잘 발달되어 있다. 세포내 또는 세포간극에는 점액성 분비물질들이 분포하였다. 수분저장 세포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큰 액포가 있고 이들이 세포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세포질은 세포벽 주위에서 매우 적게 분산되어 나타났다. 세포질내에는 다수의 엽록체, 미소체,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골지체 등의 전형적인 세포소기관외에 엽록체주변에서 관찰되는 세포질의 특이한 분포양상을 비롯하여 세포벽과 분리되어 나타나는 파상(undulation or invagination)의 세포막과 이중막으로 둘러싸인 원형질막 기원소포(plasmalemmasome)및 수초상구조(myelin-like structure), 액포상구조(vacuole-like structure) 또는 낭상구조(bladder-like structure)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파상의 세포막 및 액포막의 신장으로 형성된 액포상 또는 낭상구조와 엽록체주변 세포질의 특이한 분포양상 등은 주목할 만한 것으로 이들의 특성 및 구조는 CAM대사와 연계되어 자세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엽육조직의 구성 및 미세구조적 특성으로 보아 본 바위솔속 식물들은 CAM대사를 수행하는 식물군으로 사료된다.

  • PDF

진동롤러에 의한 다짐방법이 인접구조물의 다짐토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action Method on Induced Earth Pressure Using Dynamic Compaction Roller)

  • 노한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27-136
    • /
    • 2001
  • 콘크리트 암거와 같은 지중구조물의 뒷채움시에 부등침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양질의 뒷채움 재료사용과 대형진동 다짐장비를 이용한 정밀한 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정밀 다짐은 진동 롤러의 강한 진동을 함께 구조물부에 근접하여 다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짐방법은 과도한 충격하중 발생으로 구조물의 벽체균열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암거의 뒷채움 시공을 위하여 충격완화재의 종류와 다짐방법을 변화하여 다짐시의 구조물에 발생하는 다짐토압을 현장계측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타이어칩과 발포 폴리 스틸렌을 사용한 패널들을 뒷채움 다짐시공전 암거 벽면에 부착하였다. 충격완화재 Type A(Rubber)와 Type B(EPS)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내시험 결과 Type A는 Type B보다 작은 탄성계수와 큰 재료감쇠를 가지고 있어 보다 큰 충격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짐장비는 대부분 큰 다짐에너지를 위하여 고주파수인 30Hz를 적용하였다. 현장계측 결과로부터 다짐하중에 의한 동적 수평토압의 크기는 다짐장비의 가진여부, 측정깊이, 다짐장비 이격거리 및 다짐방향에 의존하고 있었다. 암거의 동적 수평토압 측정결과로부터 롤러 다짐장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각방향으로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수평방향으로 다짐하는 것 보다 다짐효과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재선충 감염 소나무의 목재해부학적 특성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d Pine (Pinus densiflora) Infested by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안세희;전문장;엄영근;오세창;이미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15-20
    • /
    • 2011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의 대표 수종인 소나무를 괴사시키는 주요 산림병의 하나로 재선충의 침입과 수체내에서의 이동 경로 파악은 이들의 서식 형태를 구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목 내에서의 재선충 주요 서식 부위와 이동 경로를 명확히 구명하기 위해 재선충 피해목에 대한 현미경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피해목의 특징으로는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 모두에서 주로 방사조직이 감염을 통해 진하게 착색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수지구에서도 집중적인 피해가 관찰되었다. 또한 형성층과 가까운 변재 부위에서는 연륜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상해수지구로 보이는 특징이 관찰되었다. 재선충은 방사가도관보다는 방사유세포에서 그리고 수평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단열방사조직보다는 수평수지구를 지니는 방추형방사조직에서 훨씬 더 많은 재선충이 발견되었으며 방사조직에서 가도관으로 이동하는 선충도 관찰되었다. 방사조직에서 가도관으로의 이동 시 가도관의 벽을 천공한 다음 이동하거나 크기가 작은 개구부인 측벽의 유연벽공을 통해 이동하기보다는 크기가 큰 개구부인 창상 직교분야벽공을 이동 통로로 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악성간엽종의 외과적 치료 -1례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Malignant Mesenchymoma of the Lung in an Adult -A Case Report-)

  • 양수호;전양빈;전순호;김혁;정원상;최요원;전석철;전석훈;박문향;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86-189
    • /
    • 1998
  • 악성 간엽종은 유아와 태생기에서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간엽종은 성인에서 극히 드물고 섬유조직이외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간엽성분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결체조직의 어떤 형태로도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태생기 간엽에서 기원한다고 생각된다. 환자는 61세 남자로 2개월 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검사를 받던 중 우폐상부에 매우 큰 종괴를 보이는 암종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우폐상부 미세침윤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 의심하에 우전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종괴는 흉벽과 심하게 유착되었으며 우폐하부까지 침습된 소견을 보이는 악성간엽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5,000rad의 방사선 조사를 받고 수술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재발징후없이 경과 관찰중이다.

  • PDF

성견 치주질환 발치와에 이식된 구연산 처리 치근의 치유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CITRIC ACID ON THE REPAIR OF THE DENUDED ROOTS TRANSPLANTED IN PERIODONTALLY INVOLVED EXTRACTION SOCKETS IN DOGS)

  • 지준순;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261-281
    • /
    • 1993
  • The author transplanted periodontally-diseased teeth which had been treated with citric acid into a clinically healthy extraction sockets and periodontally-affected extraction sockets, and compared with the healing processes within these tissues. Recipient sites were prepared by surgically removing a part of alveolar bone of premolars of adults dogs, placing elastic orthodontic ligatures for 8weeks, thereby inducing periodontal disease. The diseased roots were extracted and transplanted into healthy extraction sockets, and these were designated as control group 1. Diseased roots transplanted into diseased sockets were designated as control group 2. Diseased roots which had been root planed, treated with citric acid and transplanted into healthy sockets were designated as experimental group 1, while identically treated roots which had been transplanted into diseased sockets were designated as experimental group 2. Observations were made at weeks 2, 8 and 12, with following results. 1. At week 2, experimental group 2 showed som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onnective tissue above the extraction sockets, while control groups showed less inflammatory or foreign body reactions throughout the experiment. 2. In both control groups, root surface resorption was observed throughout the experiment, whil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little resorption. 3. Control group 1 & 2 showed ankylosis by newly-formed bone ground the resorbed root surfaces, while experimental group 1 & 2 displayed collagen fibers which are not functionally-arranged, with random, loose arrangement or parallel orientation to root surfaces, and newly-formed bone outside of them. 4. In both control groups & experimental groups which had been transplanted into a clinically healthy extraction sockets & periodontally affected extraction sockets groups, histologic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5. Root resorption or ankylosis in control group 1 & 2 had increased quantitatively as experiment progressed. 6. New bone formation developed from the base and lateral wall of extraction sockets. In both control groups & experimental groups, root surfaces lying next to the upper portion of extraction sockets showed little alveolar bone formation and surrounded by connective tissue fiber at weeks 2 & 8, while at weeks 12, they did show alveolar bone formation. 7. At week 12, experimental group 2 showed numerous cells which appeared to be periodontal ligament cells, with functionally arranged connective tissue fibers between the roots and alveolar bone.

  • PDF

겨우살이 엽의 계절별 수분특성 (Seasonal Changes of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he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Leaves)

  • 이경철;김철우;이재선;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61-468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산 겨우살이 엽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P-V 곡선법에 의한 계절별 수분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장시기에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Psi}_o^{sat}$)과 초기원형질분리시의 삼투포텐셜(${\Psi}_o^{tlp}$)은 감소한 반면 최대 탄성계수($E_{max}$)와 상대함수율($RWC^{tlp}$)은 증가하였다. 11월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겨우살이는 가장 높은 최대팽압 (${\Psi}_{P,\;max}$)을 보였고, 신갈나무의 압포텐셜(${\Psi}_P$)과 수분포텐셜(${\Psi}_L$)은 상대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11월의 상대함수율($RWC^{tlp}$)은 모두 84% 이상을 보여 삼투조절기능이 다소 좋았으며, 건중당 삼투수(Vo/DW)와 건중당 총수분함량(Vt/DW)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신갈나무의 굴참나무 겨우살이의 ${\Psi}_o^{sat},\;{\Psi}_o^{tlp},\;E_{max},\;{\Psi}_{P,\;max},\;RWC^{tlp}$와 같은 수분특성인자는 엽령의 증가에 따라 내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enetic Variability in the Fodder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Disappearance of Nutrients in Brown Midrib and White Midrib Sorghum Genotypes

  • Singh, Sultan;Prasad, S.V.Sai;Katiyar, D.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303-1308
    • /
    • 2003
  • Samples of eleven brown midrib (ICSU 96031, ICSU 93046, ICSU 96082, ICSU 96078, ICSU 96075, ICSU 95101, ICSU 96034, ICSU 96063, ICSU 45116, ICSA 93-3 and ICSA 3845 X 3816) and nine white midrib genotypes (ICSU 96050, ICSU 96030, ISU 95082, SSG 59-3, FSHI 93-1, FSHI 2219A X 3211, HC 171, ICSA 93-2 and ICSA 93-1) based on their phenotypic appearance were collected at 50 per cent flowering from the sorghum germplasm grown at Research farm of IGFRI, Jhansi. These genotype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crude protein, fiber composition, in-sacco dry matter, OM, cell wall components disappearance/digestibility besides the fodder yield, total phenolic and availability index values. Brown midrib genotypes were lower (p<0.05) in NDF, ADF, cellulose and acid detergent lignin concentration than white midrib genotypes. Mean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were 69.4, 42.1, 35.4 and 5.7% in brown mid rib vis-a vis 75.8, 47.5, 39.6 and 7.3% in white mid rib genotypes. Nonsignificant (p>0.05)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organic matter contents between brown midrib and white midrib genotypes. Phenoli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browm mid rib (0.2) than white mid rib (0.3%) sorghum. Brown midrib genotypes exhibite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sacco DM, OM and CP disappearance than normal (white midrib) genotypes. The mean degradability of DM, OM and CP was 64.1, 62.6 and 79.6% in brown mid rib and 53.1, 54.0 and 76.6% in white mid rib genotyp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genotypes in extent of fiber fraction degradability though in-sacco NDF and ADF degradability was more by 5 and 4 units, respectively in brown midrib genotypes vis-a-vis white midrib genotypes. Average fodder yield (green and dry g/plant) and availability index (%)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brown midrib (474.2, 129.8 and 80.4) genotypes than white midrib (375.0, 104.8 and 69.2) genotypes. Lignin content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M, OM, NDF and ADF degrad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rown midrib genotypes are superior not only with regard to chemical entities and disappearance of DM and fiber fractions but also better in respect of fodder yield and availability index values. Thus, brown midrib sorghum strains may be useful in increasing digestibility, intake, feed efficiency and animal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