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preservation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3초

유근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L. Extracts)

  • 정광열;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4-109
    • /
    • 2012
  • 본 연구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유근피(Ulmuspumila L.)추출물을 기능성식품에 활용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암세포 증식 억제능의 기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12.7%와 12.0%였으며,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23.5{\pm}2.4$ mg/100g 및 $710.5{\pm}2.1$ mg/100g이었고, 전자공여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아, 1,000 ppm에서 물추출물은 76%, 에탄올 추출물은 64%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다. SOD유사활성능은 전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아 1,000 ppm에서는 물 추출물이 53%, 에탄올 추출물이 38%이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1,000 ppm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47%, 물 추출물이 43%로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다소 높았다. 항암성은 MDA cell에서 1,000 ppm의 경우 물 추출물은 62%, 에탄올 추출물은 42%이었으며, A549 cell에서 1,000 ppm의 경우 물 추출물은 60%, 에탄올 추출물은 45%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암세포증식 억제력이 월등히 높았다.

녹차가루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및 저장성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여수빈;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76-5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녹차가루의 첨가량을 0.5, 1, 2, 3%를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성을 평가하였다. 녹차가루를 첨가한 발효유에서 발효가 진행될수록 pH는 낮아졌으나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정산도 역시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나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정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산균 수는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며 당도는 낮아졌다. 색도의 경우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a 값은 낮아졌고 b값은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FRAP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가 완료된 발효유를 $4^{\circ}C$에서 30일간 저장한 결과, pH와 적정산도, 유산균 수 모두 적정 발효유의 범위 내에 속하였으며 색도는 녹차의 갈변에 의한 적색도 값이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발효유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발효유의 발효 및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건강기능성을 향상시켜 새로운 기능성 발효유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귀리 수용성 $\beta$-glucan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r oat soluble $\beta$-glucans)

  • 강태수;정헌상;박희정;이명렬;공영준;정익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7-553
    • /
    • 2003
  • 귀리를 건강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귀리 겉겨(OBC)로부터 수용성 $\beta$-glucan을 중심합성실험계획에 의해 분리하고, 생물활성(항균, 항산화, 암세포 생육저해능)을 검토하였다 귀리 수용성 $\beta$-glucan 시료는 250, 500$\mu\textrm{g}$/disc농도에서 항균활성을 paper disc method로 검토한 결과 항균력이 없었으며, 5%농도에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도 없었다. 귀리 수용성 $\beta$-glucan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저해능은 제 7번 시료(추출온도 45$^{\circ}C$, 에탄올농도 15%, pH 6)가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1mg/$m\ell$의 시료농도에서 위암(AGS), 간암(Hep3B) 및 폐암세포주(A549)에 대하여 각각 59%, 58% 및 54%의 생육저해능을 보였다 또 제 1번 시료(추출온도 55$^{\circ}C$, 에탄올농도 5%, pH 6)의 경우도 3종의 암세포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생육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의 값의 변화에 따라 암세포의 생육저해능은 영향을 받았다.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mmercial Buckwheat Tea)

  • 정창호;정희록;최성길;심기환;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8-3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및 MDA 생성 저해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또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의한 ROS 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H_2O_2$ 단독 처리구보다 메밀차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낮은 ROS 축적량을 나타내었다. MTT 및 LDH 분석을 통한 PC12 세포 중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분석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분석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세포질 효소 (LDH)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rutin 및 quercitrin의 함량은 각각 9,608.10 mg/g, 13.42 및 0.90 mg/100 g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rutin 및 quercitrin과 같은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시판 메밀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erb))

  • 정희록;곽지현;김지혜;최귀남;정창호;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20-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결과 높은 총 페놀 화합물 함량(17.71 mg/g)을 나타낸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성초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MTT, LDH assay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실험에서는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positive control로서의 vitamin C와 유사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실험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효소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LDH 실험에서 나타난 신경세포막 파괴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의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의 과산화가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질의 과산화는 신경세포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quercitrin 및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나타나는 지질의 과산화로 인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한국에서 수집된 케퍼 그레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efir Grains Collected from Korean)

  • 박선정;주영철;장윤현;차성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8
    • /
    • 2003
  • Locals 케퍼 그레인은 코카서스 지방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발효유이며, 주로 젖산균과 효모로 우유를 발효시켜서 만든다. 국내에서 수집한 10종류의 케퍼 그레인 중에서 6종류가 포도송이 형태나 융털, 나뭇잎, 좁쌀, 수건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젤라틴같이 끈적한 조직감을 나타냈다. 케퍼 그레인에서 우점하는 미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SPC, MRS, Ml7, Rogosa와 APT 한천배지와 petrifilm을 사용하여 일반세균과 효모를 계수하였다. 5종류의 한천배지 중에서 가장 검출률이 좋았던 것은 SPC, MRS와 Rogosa 한천배지였으며, Ml7과 APT 한천배지에서는 균락의 수가 매우 적었는데, 이는 케퍼 그레인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대부분 젖산간균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각 케퍼 그레인당 50여개 정도의 균락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과 Lb. brevis가 각각 41∼88%와 2∼54%의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균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가 소수로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전체적으로 $10^{8}$ cfu/g 수준이었고, 효모는 $10^{6}$$10^{7}$ cfu/g수준이었다. 케퍼 그레인의 효과적인 보존방법을 찾기 위하여 멸균된 10%환원탈지유와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것, 3개월간 냉장보존한 것, 그리고 6개월간 냉동보존한 것, 그리고 케퍼 그레인 자체로 냉동보존한 것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냉동보존한 케퍼 그레인의 복원시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으나 15개월 냉동건조한 케퍼 그레인이 냉장 또는 냉동보관한 케퍼 그레인에 비하여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와 이취도 거의 없어 가장 좋은 보존방법으로 평가되었다.

동종동맥판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 평가에 관한 연구 (Flow Cytometric Analysis of Endothelial Cell Viability in Arterial Allograft)

  • 임창영;홍은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53-558
    • /
    • 1997
  • 동종동맥판은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심기형 및 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판막도관으로 사용 되고 있다. 이 때 동종동맥 판의 장기성적을 좌우하는데 있어서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이 중요한 역활을 할 것이다.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보존방법으로 보존처리된 성돈의 대동맥판 및 대동맥 벽을 collagenase로 분해시켜서 순수한 내퍼세포군을 획득한 뒤, 혈관내피세포에 특이한 친화성을 갖는 GSA-FTTC(Criffonia simplicifolia agglutininfluorescein isothiocyanate)와 반응시켰다. 이 내피세포군을 세척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에는 침착되지 않는 Pl(Ropidium iodide)와 반응시켰다. 이렇게 처리된 내피세포군을 Row Cytometry 로 분석하여 GSA-FTIC(+), Pl(-) 인 세포를 생육성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동종동맥판은 $4^{\circ}C의$ 멸균용액에 24시간 담궈 멸균처리를 한 후, 2개군으로 나누어 (1군)은 $4^{\circ}C$ RPM 1640 with HEPES buffer cultlue medium with 10% fetal bovine uTm 용액에 1~14일간 보존하였고 (2군)은 냉동보존을 하였다. 조직의 획득과정과 멸균과정에서 각각 22.8%와 24.4%의 생육성이 소\ulcorner되었다. (1군) 에서는 14일의 보존기간 동안 11.9%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고 (2군) 에서는 13.7%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다. 이 실험의 결과로 동종동맥 판의 보존처리과정 초기에 대부분의 생육성소실이 일어나며, 14일간의 냉장보존이나 냉동보존 후에도 약 40%의 생육성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혈관내피세포가 판막에서 얻어진 경우나 동맥벽에서 얻어진 경우에서 생육성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for the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 한정수;유명철;정덕환;남기운;박보연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권1호
    • /
    • pp.31-38
    • /
    • 1992
  • The management of giant cell tumor involving juxta-articular portion has always been a difficult problem. In certain some giant cell tumors with bony destruction, a wide segmental resection may be needed for preventing to recur. But a main problem is preserving of bony continuity in bony defect as well as preservation of joint function. The traditional bone grafts have high incidence in recurrence rate, delayed union, bony resorption, stress fracture despite long immobilization and stiffness of adjuscent joint. We have attemp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by using a microvascular technique to transfer the fibula with peroneal vascular pedicle as a living bone graft. From Apr. 1984 to Nov. 1990, we performed the reconstruction of wide bone defect after segmental resection of giant cell tumor in 4 cases, using Vascularized Fibular Graft, which occur at the distal radius in 3 cases and at the proximal tibia in 1 case. An average follow-up was 2 years 8 months, average bone defect after wide segmental resection of lesion was 11.4cm. These all cases revealed good bony union in average 6.5months, and we got the wide range of motion of adjacent joint without recurrence and serious complications.

  • PDF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phenolics in carrot cell walls

  • Kang, Yoon-Ha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34.1-1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ease of p-hydroxybenzoic acid and other compounds from cell wall materials(CWM) and their cellulose fraction from carrot with chemical and enzymatic hydrolysis. To investigate this effect on cell wall chemistry of carrot, alcohol insoluble residue(AIR) of CWM were prepared and were extracted sequentially with water, imidazole, CDTA(-1, -2), Na$_2$CO$_3$(-1, -2), KOH(0.5, 1.0 and 4M), to leave a residue. These were analysed for their carbohydrate and phenolic acids composition. Arabinose and galactose were the main noncellulosic sugars. Phenolics esterified to cell walls in carrot were found to consist primarily of p-hydroxybenzoic acid with minor contribution from vanillin, ferulic acid and p-hydroxybenzaldehyde. p-Hydroxybenzoic acid was quite strongly bound to the cell wall. The contents of p-hydroxybenzoic acid in 0.5M KOH, Na$_2$CO$_3$-2, IM KOH, and ${\alpha}$-cellulose were 2,097, 1,360, 1,140, and 717 $\mu\textrm{g}$/g AIR from CWM, respectively. Alkali labile unknown aromatic compound(C$\sub$7/H$\sub$10/O$_2$) was found in ${\alpha}$ -cellulose hydrolyzate digested with driselase and cellulase. This compound was also found in hydrolyzate of 2 M trifluoroacetic acid at 120$^{\circ}C$ for 2 hours. Driselase treatment solubilized only 46.6 $\mu\textrm{g}$/g of the p-hydroxybenzoic acid from carrot AI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droxybenzoic acid was associated with neutral polysaccharides, long chain galactose and branched arabinan from graded alcohol precipitation.

  • PDF

Preliminary Study on Effect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on Osteoporosis in the Ovariectomized Rat

  • Eun-Sun Jin;Ji Yeon Kim;JoongKee Min;Sang Ryong Jeon;Kyoung Hyo Choi;Shehzad Abid Khan;Gi-Seong Moon;Je Hoon Je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12-720
    • /
    • 2023
  • Osteoporosis is a growing global health concern primarily associated with decreased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Recently, some strains of probiotics were examined for potential anti-osteoporotic effects.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the impacts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MGE 3038 strain (MGE 3038) in ovariectomized rats. For this purpose, twelve weeks old female Wistar rats (n=21; 250-300 g) were divided into 3 groups; ovariectomy (OVX) group, OVX/MGE 3038 group and Sham group (control). In these groups; two went through respective OVX and one had daily MGE 3038 administration through oral gavage. Prior to 16 weeks after OVX, we collected blood samples and extracted the tibiae. We scanned the extracted tibiae by in-vivo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evaluated pathology by hematoxylin and eosin (H&E)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The serum levels of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CTX), osteocalcin (OC), and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were examined. The OVX/MGE 3038 group showed increases in bone mineral density, trabecular bone volume, trabecular number, and trabecular thickness (Tb.Th), and a decrease in trabecular spacing than the OVX group. However, OVX/MGE 3038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measurably comparable in Tb.Th. Micro-CT, H&E, and Masson's trichrome findings exhibited increased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rabecular bone structure in the OVX/MGE 3038 group in comparison to the OVX group. In serum, the levels of CTX, OC and RANK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VX and OVX/MGE 3038 groups. Taken together, L. plantarum MGE 3038 could be helpful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