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labeling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3초

감마선에 조사된 생쥐 난포 과립세포의 세포주기 분석 (Cell cycle evaluation of granulosa cells in the $\gamma$-irradiated mouse ovarian follicles)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7-22
    • /
    • 1999
  • 이온화방사선이 동물 생식세포에 미치는 생화학적 및 형태학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미성숙 생쥐 (ICR, 3 주령)에 $\gamma$선을 선량 $LD_{80(30)}$으로 전신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6 시간, 12 시간, 1 일, 그리고 2 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였다. 난소에서 추출한 과립세포의 세포주기를 DNA에 대한 유세포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세포자연사를 확인할 수 있는 $A_0$ 세포주기는 이온화방사선이 조사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다. 이온화방사선을 조사한 후 6 시간 군에서 TUNEL 면역조직화학 염색도를 나타낸 난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난포의 퇴화는 6 시간 이내에 급성으로 진행되는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에 의해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세포주기 평가는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자연사 기작의 이해와 퇴화난포의 정량화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 PDF

시판 중인 구강청결티슈의 세포 독성 관찰 (The Cytotoxic Effect of Oral Wet Wipes on Gingival Cells)

  • 정임희;박지현;이민경;황영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4
    • /
    • 2018
  • 구강위생을 위한 간편성과 편리성 때문에 영유아에서 건강취약자 및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구강청결티슈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본 성분인 정제수 외에도 구강위생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다양한 기능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결티슈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함유 성분에 대한 제공정보가 부족하고 함유량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제품에 대한 연구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도가 높은 시판 구강청결티슈 5종에 대한 구강세포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은 구강미생물 S. mutans 및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냈지만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냈다. 항균작용이 제한적인 궁중비책, 마이비, 아이수 제품 성분은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 대한 독성도 낮았다.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에 의한 구강세포 독성은 G2/M phase에서 세포주기 진행 억제와 세포자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한 반복적이고 빈번한 사용은 구강세포 독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흰쥐의 활성화된 신경아교세포에서 증가된 osteopontin의 발현 (Increased osteopontin expression in activated glial cells in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 박석재;황인선;김규범;신태균;지영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7-184
    • /
    • 2006
  •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is a disease model of multiple sclerosis (MS) that is characterized by remittance and relapse of the disease and autoimmune and demyelinating lesio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utoimmune inflammation is maintained by secretion of a large number of protein.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ranscripts encoding osteopontin (OPN) a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mRNA population of MS plaques. To elucidate the functional role of OPN in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EAE, we examined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OPN in the spinal cord during acute EAE. We demonstrated that OPN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EAE and slightly declined thereafter by western blot analysi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revealed that OPN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some glial cells (microglia, astrocytes) of white matter and neurons in the CNS of control rats. OPN expression was shown to be increased in the same cells at the early and peak stage of EAE. To identity cells expressing OPN by double-immunofluorescence labeling, we labeled rat spinal cord sections for OPN with a monoclonal OPN antibody and with mAbs for astrocyte (GFAP), microglia/macrophage (OX42)-specific markers. The major cell types of OPN-expressing cells were activated astrocytes and microglia in the adjacent inflammatory lesions. Interestingly, OPN was mainly expressed in the end feet of astrocytes aroun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expressing endothelial cells of CNS blood vess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levels of OPN in activated glial cell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cruitment of inflammatory cells into the CNS parenchyma during EAE.

Bioactivity-guided isolation of ginsenosides from Korean Red Ginseng with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lung adenocarcinoma cells

  • Yu, Jae Sik;Roh, Hyun-Soo;Baek, Kwan-Hyuck;Lee, Seul;Kim, Sil;So, Hae Min;Moon, Eunjung;Pang, Changhyun;Jang, Tae Su;Kim, Ki 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562-570
    • /
    • 2018
  • Background: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In this study, we used a bioactivity-guided isolation technique to identify constituents of Korean Red Ginseng (KRG)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human lung adenocarcinoma cells. Methods: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preparative/semipreparative HPLC purification were used with LC/MS analysis to separate the bioactive constituents.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A549, H1264, H1299, and Calu-6) after treatment with KRG extract fractions and constituents thereof were assessed using the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WST-1) assay and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staining, respectively. Caspase activation was assessed by detecting its surrogate marker, cleaved poly adenosine diphosphate (ADP-ribose) polymerase, using an immunoblot assay. The express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apoptosis-inducing factor were assessed using immuno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respectively. Results and conclusion: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KRG extract revealed that its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exerts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all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tested by inducing apoptosis.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led to the isolation of six ginsenosides, including ginsenoside Rb1 (1), ginsenoside Rb2 (2), ginsenoside Rc (3), ginsenoside Rd (4), ginsenoside Rg1 (5), and ginsenoside Rg3 (6). Among the isolated ginsenosides, ginsenoside Rg3 exhibited the most cytotoxic activity against all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examined,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161.1{\mu}M$ to $264.6{\mu}M$. The cytotoxicity of ginsenoside Rg3 was found to be mediated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a caspase-independent manner. These findings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for a novel biological activity of ginsenoside Rg3 against human lung cancer cells.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MCM3, Ki-67 그리고 HH3)의 발현율과의 연관성 (Association with Recurrenc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Between Immunohistochemical Marker (MCM3, Ki-67 and HH3) Expression Rate)

  • 하종경;정훈;김용주;이관희;최경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7
  •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에서 유발된 거대세포종양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생검을 통해 확진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분류는 Enneking grading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해 MCM3, Ki-67 그리고 HH3 표지자가 사용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Microarray block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10례 중 3례(30%)에서 같은 위치에서 재발되었다. 재발된 3례 중 2례는 방사선학적 단계 상 단계 2였고, 1례는 단계 1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의 발현율이 방사선학적 단계 1보다 2, 3에서 증가되었다. 하지만 결과의 일관성이 없어 세포 증식율과 방사선학적 단계의 연관성은 판별하기 어렵다. 평균 MCM3 표지자의 발현율은 재발하지 않은 종양에서 11.2%, 재발한 종양에서 7.2%였다. Ki-67은 12%, 8.9% 였고, HH3는 66.9%, 75.4%였다. MCM3 와 Ki-67 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오히려 감소된 결과를 보여 재발율과는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HH3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 중 HH3표지자가 거대세포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방사선에 의해 흰쥐 소장에서 발생되는 세포고사 및 유사분열사 (Radiation-Induced Apoptosis and Mitotic Death in the Small Intestinal Crypts of Rat)

  • 최영민;이지신;조흥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59-264
    • /
    • 2001
  • 목적 : 방사선에 의한 급성 손상으로 소장 음와에서 발생되는 세포고사와 유사분열사의 발생 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웅성 $200\~250\;g$ Sprague Dawley 쥐를 대상으로 6 MV선형가속기로 2 Gy 전신 방사선조사를 한 후, 2, 4, 8, 24, 48시간에 희생하였다. 소장 음와당 평균 세포고사 수와 유사분열 중인 세포 수의 평균을 정상 대조군과 방사선조사 후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세포고사가 가장 현저하였던 시간대를 대상으로 In Situ End Labeling (ISEL) 법으로 염색하여 헤마톡실린 에오진 염색법과 비교하였다. 결과 : 음와당 세포고사의 평균 빈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0.14였고 방사선조사 후 2, 4, 8, 24, 48시간에 각각 1.43, 3.19, 1.15, 0.26, 0.17로, 방사선조사 후 4시간 경에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가 점차 감소되어 24시간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정상 대조군에서 1.29였던 음와당 유사분열 세포 수의 평균은 방사선조사 후 2, 4, 8, 24, 48시간에 각각 0.56, 0.47, 0.23, 0.65, 1.19로 측정되어서, 방사선조사 후 8시간까지 감소되었다가 48시간 경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세포고사의 발생이 유사분열 세포 수의 감소보다 변화의 정도도 크고, 조기에 발생되었다. ISEL법에 의한 세포고사의 검출은 발색 시간의 조건에 따라서 위양성이 발생되었다. 결론 : 방사선에 의한 소장의 급성 손상으로 유발되는 세포 사망은 방사선조사 후 대개 $24\~48$시간 내에 정상치로 회복되었고, 유사분열사보다는 세포고사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aricalcitol attenu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proximal tubular cells through the prostaglandin E2 receptor EP4

  • Hong, Yu Ah;Yang, Keum Jin;Jung, So Young;Chang, Yoon Kyung;Park, Cheol Whee;Yang, Chul Woo;Kim, Suk Young;Hwang, Hyeon Seok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6권2호
    • /
    • pp.145-157
    • /
    • 2017
  • Background: Vitamin D is considered to exert a protective effect on various renal diseases but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remain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paricalcitol attenuates inflammation and apoptosis dur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enal proximal tubular cell injury through the prostaglandin $E_2$ ($PGE_2$) receptor EP4. Methods: Human renal tubular epithelial (HK-2) cells were pretreated with paricalcitol (2 ng/mL) for 1 hour and exposed to LPS ($1{\mu}g/mL$). The effects of paricalcitol pretreatment in relation to an EP4 blockade using AH-23848 or EP4 small interfering RNA (siRNA)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PGE_2$, and EP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S-exposed HK-2 cells treated with paricalcitol compared with cells exposed to LPS only. Paricalcitol prevented cell death induced by LPS exposure, and the cotreatment of AH-23848 or EP4 siRNA offset these cell-protective effects. The 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p65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were decreased and the phosphorylation of Akt was increased in LPS-exposed cells with paricalcitol treatment. AH-23848 or EP4 siRNA inhibited the suppressive effects of paricalcitol on p65 $NF-{\kappa}B$ nuclear translocation and the activation of Akt.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number of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positive cells were attenuated by paricalcitol in LPS exposed HK-2 cells. The cotreatment with an EP4 antagonist abolished these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tic effects. Conclusion: EP4 plays a pivotal role in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tic effects through Akt and $NF-{\kappa}B$ signaling after paricalcitol pretreatment in LPS-induced renal proximal tubule cell injury.

국산 항 CEA 항체의 I-131, Tc-99m 표지법 확립 및 면역학적 특성 분석 (Establishment of I-131, Tc-99m Labeling Methods to In-house Anti-CEA Antibodies and Evaluation of the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 정준기;이동수;이명철;정홍근;고창순;홍미경;최석례;서일택;정준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46-354
    • /
    • 199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개발한 항 CEA항체에 대한 방사성옥소 및 $^{99m}Tc$의 표지법을 개발하고 이런 표지항체의 면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 8가지의 항 CEA의 단세포군 항체중 CEA-79항체와 CEA-92항체가 가장 좋은 면역학적 특성을 보였다. 표지항체의 면역반응성은 60% 정도이었고, 항원/항체 친화상수는 $1\sim2\times10^9l/m$ 이었다. 2) CEA-79항체는 chloramine-T법으로, CEA-92항체는 iodogen 법으로 방사성옥소를 표지 하는 것이 가장 좋은 표지효율 및 면역 반응성을 보였다. 3) CEA-79항체는 0.5 mCi/mg에서부터 100mCi/mg까지 비방사능을 변화시켰을 때 표지효율이나 면역 반응성에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4) Glucarate를 이용한 pretargeting transchelation법으로 CEA-79항체를 $^{99m}Tc$로 표지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표지효율은 $60\sim70%$ 이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적절한 조건의 $^{131}I$$^{99m}Tc$표지방법의 확립은 앞으로 방사면역신티그라피와 방사면역치료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우(牛)심근조직의 mitochondria에서 cytochrome-c-oxidase의 형성과 변화 (The Formation and Change of Cytochrome-c-oxidase in the Mitochondria of the Bovine Cardiac Muscle)

  • 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125-133
    • /
    • 2008
  • Mitochondria 내막의 cytochrome-c-oxidase는 세포의 에너지 생합성에 중요한 요소이며, 세포자멸사와 각종세포의 병리학적 현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전자전달계효소로 알려져 있다. Porin 단백은 mitochondria 내막과 외막에 분포하는 효소단백으로 전자전달계효소 형성과 ATP 운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면역현미경법을 사용하여 cytochrome-c-oxidase의 분포와 porin 단백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mitochondria의 cristae에 분포하는 cytochrome-c-oxidase의 형성과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Cardiac muscle tissue의 sarcoplasm에는 많은 수의 mitochondria가 분포하며, cytochrome-c-oxidase가 풍부한 mitochondria와 porin 단백이 풍부한 mitochondria로 구별되었다. Cytochrome-c-oxidase가 풍부한 mitochondria는 porin 단백이 빈약하고 porin 단백이 풍부한 mitochondria는 cytochrome-c-oxidase가 소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근조직의 부위에 따라 근형질에 분포하는 mitochondria에 cytochrome-c-oxidase가 풍부한 mitochondria와 porin 단백이 풍부한 mitochondria가 각각 상이하게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성숙 mitochondria는 많은 양의 porin 단백을 함유하여 근형질로부터 단백질 소단위를 mitochondria 막내로 운반하여 cytochrome-c-oxidase를 형성시키고 mitochondria가 성숙하면서 ATP를 운반할 최소한 양의 porin 단백만을 남기고 소멸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Evaluation of 99mTc-MAG3-2-nitroimidazole for hypoxic tumor imaging

  • Lee, Yun-Sang;Kim, Young Joo;Jeong, Jae Mi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25
    • /
    • 2019
  • 2-Nitroimidazole derivatives have been reported to accumulate in hypoxic tissue. We prepared a novel $^{99m}Tc-MAG_3$-2-nitroimidazole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for hypoxia imaging agent. $Bz-MAG_3$-2-nitroimidazole was synthesized by direct coupling of $Bz-MAG_3$ and 2-nitroimidazole using dicyclohexylcarbodiimide. $Bz-MAG_3$-2-nitroimidazole was labeled with $^{99m}Tc$ in the presence of tartaric acid and $SnCl_2-2H_2O$ at $100^{\circ}C$ for 30 min. And the reaction mixture was purified by $C_{18}$ Sep-pak cartridge. The labeling efficiency and the radiochemical purity were checked by ITLC-SG/acetonitrile. The tumor was grown in balb/c mice for 8~13 days after the subcutaneous injection of tumor cells, CT-26 (murine colon adenocarcinoma cell). Biodistribution study and tumor autoradiography were performed in the xenografted mice after i.v injection of 74 kBq/0.1 mL and 19 MBq/0.1 mL of $^{99m}Tc-MAG_3$-2-nitroimidazole, respectively. In vivo images of $^{99m}Tc-MAG_3$-2-nitroimidazole in tumor bearing mice were obtained 1.5 hr post injection. The labeling efficiency was $45{\pm}20%$ and the radiochemical purity after purification was over 95%. Paper electrophoresis confirmed negative charge of $^{99m}Tc-MAG_3$-2-nitroimidazole. $^{99m}Tc-MAG_3$-2-nitroimidazole was very stable at room temperature and its protein binding was 53%. The $^{99m}Tc-MAG_3$-2-nitroimidazole exhibited high uptake in the liver, stomach and intestine. In biodistribution study using tumor bearing mice, the uptakes (% ID/g) of the tumor were $0.5{\pm}0.1$, $0.4{\pm}0.0$, $0.2{\pm}0.1$ and $0.1{\pm}0.1$ at 5, 15, 30 min and 4 hrs. Tumor/muscle ratio were $1.4{\pm}0.1$, $2.2{\pm}0.83$, $3.0{\pm}0.9$, and 3.7 (n=2) for 5, 15, 30 min and 4 hrs. The uptake in hypoxic area was found higher than in non-hypoxic area of tumor tissue by autoradiography. In vivo images showed the relatively faint uptake to the hypoxic tumor region. $^{99m}Tc-MAG_3$-2-nitroimidazole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and found feasible for imaging hypox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