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gory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방역수준비교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by Comparison of Biosecurity Level in Domestic Poultry Farms)

  • 소현희;배연지;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3-325
    • /
    • 2019
  • 일반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가 발생을 하면 일정한 방역지역을 선정하여 그 범위 내의 농장에 대해서는 일괄적 살처분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살처분은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줄 수 있지만, 방역 범위를 줄이게 되면 수평전파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과 HPAI 발생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HPAI가 발생 시 방역지역에 포함된 농장들을 선별적으로 살처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가금농장의 계종, 규모, 지역에 따라 전국적으로 8개의 농장을 선정하였으며, 일반관리 51항목, 방역관리 106항목, 위생관리 26항목으로 총 183 항목으로 나누어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산란계 농장인 5개 농장(JS, GE, CS, HS, OE)이 복지농장 (CH), 육계농장(JG, LB)보다 종합적으로 높은 수준의 점수를 획득하였다. 산란계 농장은 대부분 130점에서 157점 사이에 있는 반면, 육계농장은 45점과 75점이었으며, 복지농장은 70점 수준으로 농장간 차단 방역 수준 편차가 심하였다. 평상시 가금농장의 HPAI 발생의 위험도도 일반관리, 방역 관리, 위생관리로 나누어 평가한 후 기존의 각 농장별 현재의 차단 방역수준과 서로 비교하였다.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이 HPAI 발생 위험도보다 높은 수준의 농장의 경우 대부분이 3개 관리 분야 중 방역 관리가 뛰어나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HPAI 발생 위험도가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을 능가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3개 분야의 관리가 전반적으로 취약하였지만, 특히 방역 관리수준이 매우 낮은 점수를 취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 평가를 위한 항목들을 활용을 하면 현재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HPAI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도 평가를 HPAI 발생시 방역 지역 내 농장에 다른 요소들과 함께 적용을 한다면 선택적 살처분의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감염병 발병에 따른 의료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cal Waste Generation Analysis during Outbreak of Massive Infectious Diseases)

  • 김상민;박진규;고인범;이병선;신상룡;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4호
    • /
    • pp.29-3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의료폐기물에 대해 평상시 상황과 대규모 감염병 발병 상황으로 구분하여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상시 상황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의료폐기물 종류별 발생량 예측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유의값(p)은 모두 < 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각 분류별 예측 모델식의 결정계수(R2) 값은 I-MW(R2=0.9943) > G-MW(R2=0.9817) > H-MW(R2=0.9310)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문헌과 유사한 결과로 영향인자로 사용된 GDP(G-MW), 의료기관 수(H-MW), 고령 인구비(I-MW)는 모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각 모델식을 종합한 총 의료폐기물 발생량의 MAE는 2,615, RMSE 3,353로 평가되어 H-MW(2,491, 2,890)와 I-MW(2,291, 3,267) 의료폐기물 모델식과 유사한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기간 내 대량 발생하는 감염병 사태 시기의 의료폐기물 발생 특성은 정확한 추정이 제한적이므로 격리의료폐기물의 발생원단위를 분석하였다. 감염병 초기인 불안정기 8.74 kg/인·일, 안정기 2.69 kg/인·일, 감소기 시기 평균 0.08 kg/인·일의 발생원단위를 나타내었다. 격리의료폐기물 발생원단위와 치명률 간의 상관분석 결과, 불안정기 +0.99, 안정기 +0.52, 감소기 +0.96으로 나타났으며, 감염병 발병 전체시기에서 +0.95 이상의 매우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보건 의료상에 적절한 의료폐기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유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존유적 현황과 문제 인식을 통한 보존조치 제도 연구 (A Study on Policies for Conservation Measures Based on the Status and Issues of Conserved Remains)

  • 소재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10-127
    • /
    • 2020
  • 보존유적이라 함은 건설 공사에 따른 구제 발굴로 인하여 중요 유적이 확인될 경우 매장문화재 가치 평가에 따라 보존조치되는 유적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토지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구제 발굴 건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보존유적도 자연히 급증하게 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보존유적의 증가로 토지 수용부터 관리·활용 등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 보존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보다 주로 제도상의 문제점 인식을 통해 보존유적 관리와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정된 재원과 인력으로 보존유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미비점을 먼저 확인하고 검토하는 것이 우선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제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여러 안들이 있겠지만 현 제도상에서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보존유적에서 지정문화재로 신속한 전환 혹은 검토라 할 수 있다. 보존유적은 조치 이후 관련 후속 법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정문화재와 달리 임시적인 보존 방편에 불과하다. 이를 장기간 유지하게 될 경우 당연히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존유적을 지정문화재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제도를 마련하든지 아니면 현 제도상에서 개선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문제의 최소화를 꾀하는 방법이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지정문화재로의 신속한 전환 방법 외에도 제도적 개선이 가능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현재의 보존조치 유형은 현지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이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를 다시 두 개의 조치 유형과 그 하위의 네 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해 보았다. 현지보존은 보존유적과 새롭게 제시한 복토유적 두 가지만 포함시키고, 나머지 이전활용유적과 기록보존유적은 사업 시행이 가능한 보존조치 유형으로써 현지보존과 대비되는 대체보존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복토유적도 보존유적과 다르게 사업 시행이 가능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오픈마켓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혁신 위임: 참여적 게임 커뮤니티에 대한 사례연구 (User Innovation Empowerment in Open Market Systems: A Case Study on Participatory Game Communities)

  • 권희정;김진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75-88
    • /
    • 2010
  •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에서 오픈마켓운영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의 몇가지 중요한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첫째, 효과적인 기술기반 플랫폼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영역 이외의 개발자들이 쉽게 익히고, 응용하고,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한다. 둘째, 첫째 조건에 의해서 많은 재능 있는 개발자들이 특정 플랫폼의 오픈마켓에 참여하게 되면, 이들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층이 충분히 확보되고, 따라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개발참여자들을 유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수익시장이 성장한다. 셋째, 플랫폼 제공자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신뢰관계가 구축될 수 있는 평가시스템 및 사용자 커뮤니티 시스템이 앞 선 수익시장의 성장을 지속시키고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오픈마켓 기반 비즈니스 모텔의 요건을 검토하고, 특히 세 번째 단계의 현상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봄으로써 오픈마켓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자 혁신의 역할과 그 위임적 특성의 중요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특히 사용자 평가시스템 및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 스마트폰 소셜게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소셜게임 네트워크의 사용자 참여적 기제에 대한 역할과 유용성을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서 복수 내재형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소셜게임 네트워크구조의 사용자 혁신 위임 모형은 오픈마켓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의 역할과, 그 특성에 의한 미래 ICT의 발전양상을 가늠하는 연구문제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클로로프렌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관리 (Hazards of Chloroprene and the Workplace Management)

  • 김현영;임철홍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
    • /
    • 2015
  • 본 연구는 신발, 타이어, 접착제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클로로프렌(chloroprene)에 대해 취급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유해성을 조사하고, 취급사업장에 대해 작업환경을 측정 노출농도 및 용량반응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클로로프렌은 국제암연구소(IARC)로부터 발암추정물질(2B), 표적장기 전신독성 및 생식독성물질로 국내 취급 사업장은 27개소, 연간 약 1,300톤이 사용되었으며, 노출 위험성은 노출환경에 따라 Monte-carlo simulation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국소배기장치가 없으며 1일 4시간 초과 작업시 발암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의 평균값은 26,404로, 국소배기장치가 있으며 15분 미만의 단시간 작업 경우 2,199에 비교해 매우 높은 위험성을 보였다. 그리고 표적장기 전신독성의 경우도 169.06으로 단시간 작업 경우 4.10에 비교해 표적장기 전신독성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물질의 노출시간 및 환기방식에 깊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클로로프렌 노출에 의한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하기 위해 국소배기장치의 가동과 방독마스크의 착용 등 노출저감을 위한 작업환경 관리의 필요성이 있었다. 특히 클로로프렌은 발암성, 생식독성 물질로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에서는 TWA를 5 ppm($18mg/m^3$)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본 유해성조사 결과에서도 현행 노출기준 10 ppm이하에서 표적장기독성, 생식기 장해 등 생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어, 위험성이 강하게 예측되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작업환경 노출기준(TWA 10 ppm)도 5 ppm 수준으로 강화하여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청소년기의 건강증진과 학교보건교육의 발전방향 (Adolescent Health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 유재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50
    • /
    • 1998
  • Adolescent health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in the home and community in the near future as well as individual health. However, adolescent health has been neglected from education field because of competitive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at's why I suggest in this study that we should pay much more attention to adolescent health condition and try to make It better, in terms of man-power development and life-health promotion for nation develop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look into a variety of adolescent health problems Second, to find out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current adolescent health promotion and school health education Third, to make an effort to fin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various developments of adolescent health promotion and school health education in terms of practic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change There are used study methods as adolescent-related, school heath-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anlysis of statistical data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Teenagers have a great variey of health problems including most Important physical, mental and social developments Recently, chronic diseases, emotional problems, health-risk behaviors linked With adolescents are on increase The complicated disorders of physical, mental, social health rather than paricular aspects of health or health-behavior problems influence adolescent health problems adolescence is regarded as the period when most health-related behaviors are formed. Therefore, adolescent health promotion would he assured by developing the ability of controlling multi-dimensional health determinants in the early stage. Health promotion is a positive concept that each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makes real efforts to improve their health To achive this, we need health educational, organization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s. Adolescent health promotion in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treated in the category of school health Current school health services have had lots of systemic, constitutional,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flaws Accordingly, I'm concerned that we can afford to accept a variety of adolescent health needs However, I would say that if were not to make those flaws better, it's certain that Korean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he quality of the lives of most Koreans Will he threatened someday We have to develop Comprehensive School Health Crriculum(CSHC) and set up its standards to Improve adolescent health. CSHC is an organizational and costant process. CSHC means an Important part of overall curriculums. In addition, I could say that it's an Important school health education acivity including current school health services-health care service and school health environ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CSHC, we require school nurse's role change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intergrated subject of health education, striking revision of school health law(or legislation of school health promotion law),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on system, big changes in curriculum for school health educators.

  • PDF

병원마케팅 실태와 전략방안 -지역사회의 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Hospital Marketing Condition and Strategy -Of a General Hospital-)

  • 백명;노소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3-24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 of hospital marketing and concrete strategy on medical consumers need fo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hospital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7 to February 3, 2000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M city to 205 in-patients and out-patients by questionnaires. The research tool was based on literatures.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percentage, mean, t-test and ANOVA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Mean score of the marketing mix (4P 's) was 3.1 in total and each mean score was 3.6 in product, 2.5 in prices, 3.3 in place and 3.1 in promotion. The following are the items which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each: 'The hospital is clean' in service category; 'the prices of meals at the restaurant the patients' families use are reasonable ' in price sphere. In distribution, 'it is easy to locate the hospital' and in promotion,'we'll use this hospital again' and 'we'll recommend this hospital to others'. 2. Marketing mix factors(4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arriage status, occupations and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3.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this hospital was 'This is a general hospital with good facilities' and the next were 'The hospital staffs are kind and the hospital is clean' and 'The traffic is convenient to 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a good image formation of the hospital were 'this is a clean hospital', 'This is a hospital with kind people' and 'this hospital is equipped with good medical facilities'. 4. The factors for making a good image concerning the nursing service were professional knowledge, good nursing skills and kindness. After grasping the marketing conditions of the hospital aided by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stitutionalized service strateg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the patients feel about the hospital facilities and kindness of the staff and as a result,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medical institutions.

  • PDF

Korea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organic labels and country-of-origin of organic foods

  • Lee, Hye-Kyoung;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49-59
    • /
    • 2011
  • Although the South Korean organic food market is in the infancy compared to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Korean consumers'interest in organic food and retail stores devoting space to organic product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Despite the fact of organic food popularity, the term "organic"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individuals. As opposed to the US, Japan and the EU where have operated an integrated organic food labelling system, Korea has adopted complex organic labelling systems regulated by several different government bodies. As a result, complicated food labelling standards make consumers confused when purchasing organic foods. Furthermore, in terms of country of origin (COO), it is argued by a lot of researchers that COO effects vary from product to product and from country to country; moreover, other informational cues such as brand and price can influence COO effects. In modern society, COO labelling has been complicated, due to the sourcing, manufacturing and market locations of merchandise spread over the world. Accordingly, the evaluation of COO effects has become complex. In order to examine these issues, a quant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to classify the commonfeatures of organic food consumers and construct statistics such as the extent to which people are aware of organic food and COO labellingvia a questionnaire which took place in two cities in Korea with a cluster sample of 161 organic food purchasers. As for the data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s, bivariate crosstatulations with Cramer's V were conducted,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he assumptions the research data need to fit.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 general, Korean organic consumers comprehend the term "organic"in a closer way to the general concept rather than technical term, thus people do not appreciate environmentally labels which include organic food labels, although marital status influence the degree of label awareness, regardless of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so on. Regarding COO effects on organic food, home organic products were Korean consumers'first choice over those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developing nations. Specifically, in processed organic product category, domestically cultivated and processed organic products were absolutely preferred to leading national brands produced with imported ingredients and international brands. However, due to a lack of checks of ingredients' COO, consumers tend to purchase a leading national organic food brand, believing that it is a pure organic food sourced domestically.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has suggested som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when buying organic foods, it should be noted that consumers do not comprehend the organic food certifications, due to complicated labelling systems for organic produce and processed organic foods. Therefore, government bodies related to organic food distribution have to know consumers' perception of organic food labels and the significance of customer-oriented labels and reestablish labelling standards. Similarly, public advertising should be followed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labelling to enable customers to have the correct information. In addition, not only international marketers but also domestic marketers need to understand COO images and also the influence COO of ingredients has on the image of an organic product.

  • PDF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응급구조학 교육의 나아갈 방향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Direction of Emergency Rescu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New 119 Paramedics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 김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07-220
    • /
    • 2021
  • 본 연구는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응급구조학 교육의 현장 적용 및 효용성을 파악한 후 대학교육의 한계점과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도출해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응급구조학과를 졸업한 119 구급대원으로 구급활동을 시작한 지 3년 이내의 신임구급 대원 6명이다. 내러티브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방식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현상학적 방법 중 하나인 Colaizzi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의미있는 진술에서 82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구성된 의미로 부터 23개의 theme, 4개의 theme cluster, 2개의 category가 확인되었다. 4개의 주제모음은 '대학교육의 효용성', '대학교육의 한계점', '교육방법론에서의 개선방향', '교육내용에서의 개선방향'으로 신임구급대원들은 대학교육이 전반적으로는 도움이 되었으나 소방 현장보다는 병원 쪽에 치우친 이론교육이 주입식 강의로 이루어진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신임대원들은 사례중심의 학습, 현장사례리뷰, 역할극방식 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의 확대와 함께 실습위주로 장비를 활용한 술기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임대원들은 대학교육과 현장사이에서 이론과 실제사이의 괴리감을 토로하며 소방현장에 맞는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고 다양한 시각을 위한 다양한 지도를 언급하였다. 응급구조학 대학교육은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나 제한점이 동시에 관찰되므로 교육방법론과 교육내용의 개선을 통해 발전해가야 한다.

딥러닝기반 건축폐기물 이미지 분류 시스템 비교 (A Comparison of Image Classification System for Building Waste Data based on Deep Learning)

  • 성재경;양민철;문경남;김용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99-206
    • /
    • 2023
  • 본 연구는 건축시 발생되는 폐기물의 자동분류를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건출 폐기물 데이터를 각각 목재 폐기물, 플라스틱 폐기물, 콘크리트 폐기물로 분류하는 두 모델들을 통해서 성능 비교를 한다. 건축 폐기물의 분류를 위해 사용된 딥러닝 알고리즘은 합성곱 신경망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 VGG-16과 NLP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시퀀스화 시킨ViT, Vision Transformer 모델을 사용했다. 건축 폐기물 데이터 수집을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전 세계 검색엔진에서 크롤링 하였고, 육안으로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거나, 중복되는 등 실험에 방해되는 이미지는 전부 제외하여 각 분류당 1천장씩 총 3천장의 이미지를 확보했다. 또한, 데이터 학습시에 모델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데이터 확대 작업을 진행해 총 3만장의 이미지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수집된 이미 데이터가 정형화 되어있지 않은 데이터 임에도 불구하고 실험 결과는 정확도가 VGG-16는 91.5%, ViT 는 92.7%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실제 건축폐기물 데이터 관리 작업에 실전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에 객체 탐지 기법이나 의미론적 분할 기법까지 활용한다면, 하나의 이미지 안에서도 여러 세밀한 분류가 가능해 더욱 완벽한 분류가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