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pase-3

검색결과 1,742건 처리시간 0.035초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aspase 3 and Its Relationship with p53 Expression in Endometrial Cancers

  • 이경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7-310
    • /
    • 2010
  • Apoptosis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pathogenesis of cancer. Caspase 3 and p53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members of the apoptosis related protei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roles of caspase 3 ex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p53 expression in endometrial cancers by immunohistochemistry. Immunoreactivity for caspase 3 was found in 13 (65.0%) out of 20 endometrial hyperplasia cases and 8 (36.4%) out of 22 endometrial cancers. Seven (87.5%) of the 8 cases with a positive caspase 3 immunoreactivity showed a positive p53 expression in 22 endometrial canc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caspase 3 and p53 expres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spase 3 expression might be associated with carcinogenesis of endometrial canc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spase 3 and p53 and apoptosis for examining the mechanisms of tissue-specific apoptosis related protein.

RADIOPROTECTIVE EFFECT OF ALGIN-OLIGOSACCHARIDE THROUGH MEASURING CASPASE-3 AND CASPASE-9 IN MICE

  • Choi, Seong-Kwan;Jung, Woon-Kwan;Lee, Kyu-Soo;Jang, Young-Il;Dong, Kyeong-Ra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34-139
    • /
    • 2007
  • In order to find out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algin-oligosaccharide(AOS), this study, with a mouse of which whole frame irradiated by 3 Gy radiation once, measured caspase-3 and caspase-9 amid cell signaling connected to apoptosis in order to observe cell activation. In Caspase-3 and Caspase-9 test for observing cell activation, both of Caspase-3 and Caspase-9 showed highly increased O.D. value in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while the whole groups treated with algin-oligosaccharide before or after irradiation indicated lower O.D. value than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especially showed big difference in 7 day's treatment group of before irradiation (P<0.001). It confirmed that Caspase generation was restrained in AOS treatment group. Consequentl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fact that algin-oligosaccharide with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performed radiation protection by inducing restraint of Caspase generation and confirmed that natural product with less chemical toxicity was able to be applied as radioprotector.

저산소 상태에서 조골세포 고사의 신호전달 기전 (Effect of Hypoxia on the Signal Transduction of Apoptosis in Osteoblasts)

  • 박영주;오소택;강경화;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3-463
    • /
    • 2003
  • 본 연구는 MC3T3El 조골세포가 저산소증에 반응하여 유발될 수 있는 세포 고사조절 기전을 구명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2\%$ 저산소증의 조건하에서 MC3T3El 조골세포는 DNA 사다리 분절 헝성을 보였으며 형광성 염료인 Hoechst 33258로 염색된 핵 구조 형태 관찰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고사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Pancaspase 억제제인 Z-VAD-FMK나 특정한 caspase-3 억제제인 Z-DEVD-CHO로 사전 처치하였을 경우에는 저산소증에 의한 DNA 사다리 분절형성이 농축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caspase-3류의 프로테아제(DEVDase) 활성 증가가 세포고사 중에 관찰되었으나 caspase-1 (YVADase)의 활성은 없었다. 어떤 caspase가 세포고사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nti-caspase-3 또는 anti-caspase-6의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ting이 시행되었다. caspase-3의 활성산물에 해당하는 17-KDa단백질과 caspase-6의 활성산물인 20-KDa 단백질이 세포용해물에서 발생되었다. 또한 시간 경과와 더불어 caspase-6의 활동의 상징인 Lamin A의 분열을 일으켰으며, 사이토크롬 C를 cytosol로 방출하였다. 이로써 저산소증에 의한 조골세포의 고사 과정에 사이토크롬 C의 방출이 포함된 caspase의 활성이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spase-2 mediates triglyceride (TG)-induced macrophage cell death

  • Lim, Jaewon;Kim, Hyun-Kyung;Kim, Sung Hoon;Rhee, Ki-Jong;Kim, Yoon Suk
    • BMB Reports
    • /
    • 제50권10호
    • /
    • pp.510-515
    • /
    • 2017
  • Triglyceride (TG) accumulation causes macrophage cell death, which affects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Here, we examined whether caspase-2 is implicated in TG-induced macrophage cell death. We found that caspase-2 activity is increased in TG-treated THP-1 macrophages, and that inhibition of caspase-2 activity drastically inhibits TG-induced cell death.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G-induced macrophage cell death is triggered by caspase-1, and thu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spase-2 and caspase-1 in TG-induced macrophage cell death. Inhibition of caspase-2 activity decreased caspase-1 activity in TG-treated macrophages. However, caspase-1 inhibition did not affect caspase-2 activity, suggesting that caspase-2 is upstream of caspase-1. Furthermore, we found that TG induces activation of caspase-3, -7, -8, and -9, as well as cleavage of PARP. Inhibition of caspase-2 and -1 decreased TG-induced caspase-3, -7, -8, and -9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G-induced macrophage cell death is mediated via the caspase-2/caspase-1/apoptotic caspases/PARP pathways.

S-allylcysteine 매개 caspases의 활성화 및 PARP의 불활성화를 통한 HeLa 세포주의 증식 억제효과 (S-allylcysteine-mediated Activation of Caspases and Inactivation of PARP to Inhibit Proliferation of HeLa)

  • 김현희;공일근;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4-1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주에서 S-allylcysteine (SAC)이 세포자멸경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initiator caspase의 하나인 caspase-9와 effec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 및 caspase-7 그리고 DNA 복구에 관여하는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의 발현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SAC에 의한 이러한 세포자멸 및 DNA 복구 관련 단백질의 발현변화가 세포증식억제를 통한 기능적 작용을 유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발현분석 결과, 특히 50 mM의 SAC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procaspase-3, -7, -9 및 PARP의 발현은 각각 94%, 38%, 95% 및 64% 감소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caspase-3, -7, -9 및 cleaved-PARP의 발현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cell proliferation assay 결과, 20 mM 이상의 SAC 처리는 6, 12, 24 및 48시간에서 농도 및 시간 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SAC 처리가 자궁경부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이에 대한 가능한 분자적 작용기전들 중의 하나로 세포자멸과정 중 initiator caspase의 하나인 caspase-9의 활성을 유도하고 이에 따른 effector caspase인 caspase-3과 caspase-7의 활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DNA 복구에 관여하는 PARP의 불활성화를 초래함으로써 세포자멸 유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 Possible Physiological Role of Caspase-11 During Germinal Center Reaction

  • Kang, Shin-J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127-136
    • /
    • 2008
  • Caspase-11 has been known as a dual regulator of cytokine maturation and apoptosis. Although the role of caspase-11 under pathological conditions has been well documented, its physiological role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 possible physiological function of caspase-11 during immune response. In the absence of caspase-11, immunized spleen displayed increased cellularity and abnormal germinal center structure with disrupted microarchitecture. The rate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the immunized spleen was not changed in the caspase-11-deficient mice. Furthermore, the caspase-11-deficient peritoneal macrophages showed normal phagocytotic activity. However, caspase-11-/-splenocytes and macrophages showed defective migrating capacity. The dysregulation of cell migration did not seem to be mediated by caspase-3, interleukin-$1{\alpha}$ or interleukin-$1{\beta}$ which acts downstream of caspase-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rect regulation of immune cell migration by caspase-11 is critical for the formation of germinal center microarchitecture during immune response. However, humoral immunity in the caspase-11-deficient mice was normal, suggesting the formation of germinal center structure is not essential for the affinity maturation of the antibodies.

Ginsenoside Rh2 Induces Apoptosis via Activation of Caspase-1 and -3 and Up-Regulation of Bax in Human Neuroblastoma

  • Kim, Young-Soak;Jin, Sung-H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8호
    • /
    • pp.834-839
    • /
    • 2004
  • In human neuroblastoma SK-N-BE(2) cells undergoing apoptotic death induced by ginsenos-ide Rh2, a dammarane glycoside that wa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caspase-1 and caspase-3 were activated. The expression of Bax was in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h2, whereas Bcl-2 expression was not altered. Treatment with caspase-1 inhibi-tor, Ac-YVAD-CMK, or caspase-3 inhibitor, Z-DEVD-FMK, partially inhibited ginsenoside Rh2-induced cell death but almost suppressed the cleavage of the 116 kDa PARP into a 85 kDa fragment. When the levels of p53 were examined in this process, p53 accumulated rapidly in the cells treated early with ginsenoside Rh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caspase-1 and -3 and the up-regulation of Bax are required in order for apoptotic death of SK-N-BE(2) cells to be induced by ginsenoside Rh2, and p53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ways to promote apoptosis.

Caspase-8의 양성 피드백 방식을 통한 중성지방-유도 THP-1 대식세포 사멸 증가 (Caspase-8 Potentiates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THP-1 Macrophages via a Positive Feedback Loop)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8-164
    • /
    • 2021
  • 고중성지방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주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중성지방은 대식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죽상동맥경화증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대식세포의 중성지방-유도 세포 사멸이 pannexin-1 활성화에 의한 세포 외 ATP 농도 증가, caspase-2와 caspase-1 활성화, caspase-8을 포함한 apoptotic caspase 활성화 경로로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한편 다른 연구들에서는 세포 내 다른 여러 기전에서 caspase-8이 caspase-1과 -2의 상위 단백질이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상위단백지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진은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spase-3 활성화 및 PARP 절단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중성지방이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caspase-8 억제 시, caspase-8의 상위 단백질로 보고한 caspase-1 및 -2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P 처리 시 caspase-8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감소된 caspase-2의 활성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세포 외부 ATP 농도 증가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그 상위 기전에 양성피드백 방식으로 영향을 미쳐 caspase-1과 -2를 활성화하여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완전 절제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 예후 (The Caspase-3 and c-myc Expressions in Complete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 조덕곤;조규도;강철웅;조민섭;유진영;안명임;김치홍;심병용;김성환;김훈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47-456
    • /
    • 2008
  • 배경: 인체에서 세포증식과 세포자멸사(apoptosis)과정에서의 불균형은 악성 종양의 발생과 그 예후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세포자멸사에 관계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cysteine protease의 일종인 caspase-3 단백과 많은 종류의 암에서 세포분열 혹은 세포자멸사 모두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myc oncogene 단백의 발현과 폐암과의 연관성을 관찰하고, 완전 절제된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과 임상적인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발성 비소세포 폐암으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적 조사 기간은 중앙값 50개월($3{\sim}128$개월)로 연구시점에서 수술후 최소 3년 이상 경과 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암조직에서 caspase-3과 c-myc 단백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관찰하고 환자의 임상 및 병리 정보를 후향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결과: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은 각각 68% (88/130)과 59% (77/130)으로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25). Caspase-3와 c-myc 단백의 발현 여부가 전체 수술 환자와의 생존율과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의 발현과 생존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중앙생존기간 35 vs. 10개월, p=0.021). 다변량 분석에 의한 예후인자로 전체 대상환자에서 병리조직학적인 병기(p=0.024), IIIa군 환자에서 caspase-3 단백발현(p=0.005), 암세포 분화도가 좋은 경우(p=0.003), 그리고 암세포가 현미경학적으로 신경침습이 얼는 경우(p=0.004)에 좋은 예후를 보였다. 걸론: 비소세포 폐암에서 caspase-3와 c-myc 단백은 비교적 흔히 발현하고 폐암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완전 절제된 진행성 병기(IIIa군)의 폐암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한 caspase-3 단백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예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Sanguinarine에 의한 Hep3B 인체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에 관한 연구 (The Sanguinarine Apoptosis Induction of Hep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s Dependent on the Activation of Caspase)

  • 한민호;최성현;홍수현;박동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40-1348
    • /
    • 2017
  • Sanguinarine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anguinaria canadensis L.의 뿌리에서 유래된 benzophenanthridine alkaloid 계열 물질중의 하나이다. 그동안 sanguinarine의 다양한 약리학적인 효능이 알려져 왔고, 항암활성에 대한 연구도 여러 암세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sanguinarine에 의한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에 대한 현상은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Hep3B 인체 간암세포를 대상으로 sanguinarine의 항암활성에 대한 추가적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Hep3B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Sanguinarine은 두 가지 apoptosis 경로인 extrinsic 및 intrinsic 경로의 개시 initiator caspase인 caspase-8 및 caspase-9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effector caspase인 caspase-3의 활성을 증가시켰고, caspase-3의 기질인 PARP의 분절을 유발하였다. 아울러 sanguinarine은 DR-related 유전자들의 발현을 부분적으로 증가시켰으며, Bcl-2 family에 속하는 pro-apoptotic Bax의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anti-apoptotic Bcl-2의 발현은 억제시켰다. 또한 sanguinarine은 Bid의 truncation을 촉진하였고, MMP의 소실에 따른 cytochrome c를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 및 세포 증식율 억제 현상이 caspase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억제하였을 경우, 모두 사라졌다. 따라서 sanguinarine에 의하여 유도하는 Hep3B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caspase 의존적으로 extrinsic 및 intrinsic 경로가 모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