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otenoid content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5초

미꾸리아과에 속하는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the Subfamily Cobitidae)

  • 박은숙;강동수;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5-271
    • /
    • 1994
  • 천연산 및 양식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을 thin-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I_2$에 의한 이성화 반응 및 용매에 따른 가시부 흡수 spectrum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꾸라지 표피의 총 carotenold함량은 천연산 $4.76mg\%$인데 비하여 양식산 $3.43mg\%$로서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 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0.5\%$, ${\beta}$-cryptoxanthin $24.6\%$, ${\beta}$-carotene $20.6\%$, cynthiaxanthin $11.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4.7\%$,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1.0\%$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35.4\%$, ${\beta}$-cryptoxanthin $17.9\%$, cynthiaxanthin $16.0\%$, ${\beta}$-carotene $12.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8.2\%$, tunaxanthin $5.0\%$, a-cryptoxanthin $0.9\%$순으로 함유되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미꾸리 표피의 총 carotenoid함량은 천연산 $4.00mg\%$인데 비하여 양식산 $2.99mg\%$로서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2.9\%$, ${\beta}$-cryptoxanthin $18.8\%$, cynthiaxanthin $17.0\%$, ${\beta}$-carotene $15.1\%$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6.5\%$, tunaxanthin $6.0\%$, a-cryptoxanthin $1.5\%$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51.8\%$, cynthiaxanthin $19.9\%$, ${\beta}$-cryptoxanthin $10.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arotene $5.0\%$, zeaxanthin $4.8\%$,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0.2\%$의 순으로 함유되어,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상이 하였으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함유비는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조성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 PDF

추출 조건에 따른 고추 수용액의 가용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Soluble Solid Content in Red Pepper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이현덕;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5-392
    • /
    • 1996
  • The soluble solid of red pepper was extracted by water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of soluble solid content by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 $(4{\sim}90^{\circ}C)$ and time $(1/2{\sim}3\;hrs)$, and the contents of carotenoid, capsaicinoids, free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in soluble solid were measured. Most of soluble solid in red pepper was extracted within the first 2 hrs and $93{\sim}98%$ of total soluble solid was extracted during the first 30 min. The contents of carotenoid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but de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ime at $60^{\circ}C$ and $90^{\circ}C$. ${\beta}$-carotene content was sharply decreased after 2 hrs at $90^{\circ}C$. The content of capsaicinoid was sharply increased between 1 hr and 2 hr. Fructose and glucose in red pepper were extracted in the range of $83.8%{\sim}96.4%$ and the contents of free sugar gradually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The content of organic acid was gradually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and the greatest amount of organic acid was extracted during the first 30 min of extraction time.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de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 PDF

관수량에 따른 왕벚나무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unus × yedoensis Matsum. by Irrigation Level)

  • 구남인;송영근;윤경규;이경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2호
    • /
    • pp.5-11
    • /
    • 2022
  • Prunus × yedoensis is a representative tree species in residential areas often used as a street tree or park tree, with its popularity due to splendid flowers in the spring. We investigated plant growth, photosynthesis,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centrations of Prunus yedoensis at 400ml/pot, 1,000ml/pot, and 2,000ml/pot Irrigation treatments. Overall growth indices such as tree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DRC), and total dry weight could be ranked in the decreasing order "2,000ml/pot > 1,000ml/pot > 400ml/pot.". However, 2,000ml/pot featured decreased photosynthesis and total chlorophyll carotenoid contents than 1,000ml/pot treatment after July. And also, The 1,000ml/pot treatment showed relatively high photosynthetic activity and chlorophyll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ultivation of Prunus yedoensis under 1,000ml/pot Irrigation treatment(soil water contents 25~35%) showed the best condition in growth.

지질 고 생산성 Chlorella vulgaris 변이주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of Chlorella vulgaris Mutants Producing High Lipid and their Characterization)

  • 최수정;박현진;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6권5호
    • /
    • pp.533-537
    • /
    • 2015
  •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는 다른 미세조류에 비해 다량의 지질을 함유한다. 본 연구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변이주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C. vulgaris에 자외선을 1, 2, 3, 4, 5 min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조사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율 및 색소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C. vulgaris의 변이주를 유도하였으며, 지질 축적량을 기준으로 두 개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한 변이주는 UM10, 15로 명명하였으며, 야생균주와 동일한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변이주의 특성 분석을 위해 21일간 배양 후 세포 생장률, 건조 중량, 색소 함량,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의 변이주는 야생균주에 비해 약 1.4배 높은 세포 생장률을 보였으며, 건조 중량은 약 1.5배 증가하였다. 광합성을 통한 미세조류 내 색소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변이주의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모두 야생균주에 비해 약 1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변이주의 지질 함량은 야생균주에 비해 약 1.2, 1.5배 증가하였다.

배추 유전자원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using Different Genotypes)

  • 황병순;김지영;권수현;김기창;강해주;이주희;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2-543
    • /
    • 202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varieti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from the 55 access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cabbage were determined by the TPC, TFC, DPPH, ABTS, and chlorophyll, carotenoid contents. The TPC and TFC showed a range of 1.21~4.61 mg GAE/g DW, 0.18~3.09 mg CE/g DW. The DPPH and ABTS assay were in the range of 0.65~4.36 and 1.42~6.91 mg ascorbic acid equivalent (ASCE)/g DW, respectively. The UPLC analysis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chlorophyll and carotenoid in the Chinese cabbage extract. The levels of the total chlorophyll and total carotenoid were 86.60~1,235.91, and 75.86~490.11 ㎍/g, respectively. The comprehensive differences in the total and individual chlorophyll contents have also been observed among different varieties.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폐기 감 과피를 이용한 Carotenoids색소의 추출 (Carotenoids pigment extraction from a wasted persimmon peel)

  • 오상룡;차원섭;박준희;조영제;홍주헌;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56-461
    • /
    • 2001
  • 감 과피로부터 천연식용색소를 개발하고자 7가지 (acetone, ethanol, ether, ethyl acetate, ethylene chloride, hexan, methanol)의 유기용매로 carotenids를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비교하였다. 이들 용매중 아세톤의 추출수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 아세톤을 이용한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을 행하였다.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X$_1$), 추출시간(X$_2$), 용매비(X$_3$)를 요인변수로 하고 caroteniods 함량(Y)을 종속변수로 하여 5가지 수준으로 추출을 실시하였다. 반응표면분석으로 수립된 회귀식에 대하여 적합결여분석을 행한 결과 유의성이 없어 회귀식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으며 추출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carotenoids함량은 추출온도 $25^{\circ}C$부근까지 증가하다. 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열에 의해 carotenoids의 산화가 촉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arotenoids 함량은 추출시간과 용매비의 증가에 따라 carotenoids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울기로 보아 추출온도가 추출시간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변수 중 추출량에 가장 영향이 적은 용매비를 중심점의 조건으로 고정하고 추출온도와 추출시간만을 변수로 하였을 경우 carotenoids 함량을 최대로 하는 영역의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을 각각 29$^{\circ}C$, 93min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광합성세균 Rhodobater capsulatus PS-2의 대량배양 최적화 및 대사산물 분석 (Mass Cultivation and Secondary Metabolite Analysis of Rhodobacter capsulatus PS-2)

  • 봉기문;김종민;유재홍;박인철;이철원;김평일
    • KSBB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58-164
    • /
    • 2016
  • Plant growth promoting (PGP) hormones, which are produced in a small quantity by bacteria, affect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GPs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crop productivity in agricultural field. In this study, a photosynthetic bacterial strain producing the PGP was isolated from paddy soil. Bacterial isolate was gram negative, rod-shaped and motility positive. From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Rhodobacter capsulatus PS-2. The mass cultivation of R. capsulatus PS-2 was optimized by considering of the carbon, nitrogen and inorganic salt sources. Optimal medium composition was determined as Na-succinate 4.5 g, yeast extract 5 g, $K_2HPO_4$ 1 g, $MgSO_4$ 5 g, per liter. From the result of 500 L fermentation for 2 days using the optimal medium, the viable cells were $8.7{\times}10^9cfu/mL$. R. capsulatus PS-2 strain produced the carotenoid and indole-3-acetic acid (IAA). The carotenoid extr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by HCl-assisting method. Total carotenoid contents from R. capsulatus PS-2 culture broth were measured as $7.02{\pm}0.04$ and $6.93{\pm}0.05mg/L$ under photoheterotrophic and chemoheterotrophic conditions, respectively.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IAA, colorimetric method was employed using Salkowski reagent at optical density 535 n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ontent of IAA was $197.44{\pm}5.92mg/L$ in the opt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0.3% tryptophan.

유기농 배추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 함량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s)

  • 성종환;박성균;박은미;김한수;김동섭;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55-660
    • /
    • 2006
  • 유기재배법이 배추의 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와 일반 재배 배추의 영양 및 기능성성분의 함량을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은 유기농 배추보다 일반배추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및 조회분은 일반배추보다 유기농배추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및 불용성식이섬유, ascorbic acid 및 dehydroascorbic acid, chlorophyll a 및 b, carotenoid 등의 각 함량은 일반배추보다 유기농배추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중 칼륨함량은 유기농배추보다 일반배추에서 높았으나 칼슘, 인, 철, 마그네슘, 황 및 아연의 함량은 일반배추보다 유기농배추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인 fructose, glucose 및 sucrose의 각 함량은 유기농배추에서 높았으나 유기산인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은 유기농배추에서 낮게 나타났다.

소나무좀 방제(防除)에 관한 연구(硏究)(제1보(第1報)) -한국산(韓國産) 중요(重要)소나무류(類) 잎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Carotenoid 분석(分析)-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Pine Bark Beetle (Myelophilus pinipedera LINNE) (I) -Analysis of the carotenoids in important pine species in Korea-)

  • 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1
    • /
    • 1975
  • 소나무좀에 감수성(感受性)인 소나무류(類) 잎에는 carotenoid의 함량(含量)이 많고 저항성(抵抗性)인 소나무류(類) 잎에는 그 함량(含量)이 적다는 흑목등(黑木等)의 보고(報告)에 따라 소나무 곰슬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리기테-다소나무 태-다소나무의 소나무좀에 대한 저항성정도(抵抗性程度)를 밝히기 위하여 이들 소나무류(類)의 일년생(一年生) 묘목(苗木)의 침엽(針葉)으로부터 Carotenoid를 추출분석(抽出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이들 소나무류(類)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carotenoid의 가시부(可視部) 흡수(吸收)spectrum은 매우 비슷하였다. 이들 일정침엽량(一定針葉量)에 함유(含有)된 carotenoid의 량(量)은 잣나무>리기다소나무>곰솔>리기테-다소나무>테-다소나무의 순(順)이였다. Carotenoid는 아가시아 밤나무 편백 희마라야시-다 잎에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이들 9수종(樹種)의 carotenoid의 총함량비교(總含量比較)는 아가시아>리기다소나무>곰솔>밤나무>리기테-다소나무>테-다소나무>편백>희마라야시-다 순(順)으로 나타나 이것은 carotenoid의 함량(含量)과 소나무좀에 대한 저항성정도(抵抗性程度)를 직결(直結)시켜서 설명(說明)하는데에는 난점(難點)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carotenoid의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면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에서는 13개(個)의 spot기외(其外)의 소나무류(類)에서는 12개(個)의 spot가 자외선형광등(紫外線螢光燈) $3,600{\AA}$$2,537{\AA}$하(下)에서 나타났다.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8번째 spot는 다른소나무류(類)와 소나무류외(類外)의 수종(樹種)(밤나무 아가시아 편백 희마라야시-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特)히 소나무의 8번째 spot는 자외선형광등(紫外線螢光燈) $2,537{\AA}$하(下)에서 cobalt blue의 강(强)한 형광(螢光)을 발(發)하였다.

  • PDF

저장에 따른 상추의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 및 항산화능 변화 (Changes in Carotenoid and Anthocyanin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during Storage of Lettuce)

  • 박우성;김혜진;정혜진;천만석;김성태;서승연;임성호;정영학;천지원;안선경;안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325-1332
    • /
    • 2015
  • 저장기간과 저장방법에 따른 청치마상추와 적치마상추 중의 카로티노이드 성분과 안토시아닌 성분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고, 함량 변화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온에서 보관한 청치마상추의 경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총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냉장보관의 경우 수확 후 9일이 지난 시료에서도 함량의 유의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적치마상추 중의 안토시아닌 함량 변화에 있어서는 실온에서 보관한 경우와 냉장에서 보관한 경우 간의 유의적인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점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청치마상추 중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실온에서보다 냉장보관에서 더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적치마상추 중의 안토시아닌 성분은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있어서 카로티노이드 성분보다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방법이 총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에 비례하여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안토시아닌 추출물이 카로티노이드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안토시아닌 성분의 항산화 활성이 카로티노이드 성분보다 높아서라기보다는 총 안토시아닌 함량이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보다 약 5배 이상 높은 점과 비타민 C와 같은 상추에 함유되어 있는 다른 수용성 항산화 물질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