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iogenic potentialit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당도와 점도를 이용한 식품의 치아우식유발지수 산출 (The cariogenic potentiality index using the sugar contents and the viscosity of Korean food)

  • 신승철;권혜숙;심수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0호
    • /
    • pp.752-770
    • /
    • 2016
  • Introduction: Caries prevention through diet control can be achieved clinically by use of the cariogenic potentiality for a range of food commonly eaten by Koreans. Material & methods: The cariogenic potentiality index of each food can be calculated with the sugar contents and the viscosity of each food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variables. 278 favorite foods for Korean were examined. Result 1. The formula of CPI is as below Cariogenic potentiality index (CPI) = 2.581343*sugar contents+0.598324*viscosity 2. The average CPI of the fruits, vegetable are 9.07~9.62 minutes. But the average CPI of the carbohydrate food is 15.21~19.60 minutes. Conclusion: Using the cariogenic potentiality indices, we will be able to determine an individual patients' average oral status for caries experience in the future. In addition, diet control by use of the cariogenic potentiality index and the analysis for each nutrient is considered as useful clinically for diet control in preventive dentistry.

  • PDF

우식유발식품에 의한 인공타액내 pH 변화와 당 분해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ficiality Salivary pH and Sugar Fermentation Test of Caries Potentiality Foods)

  • 지윤정;박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9
    • /
    • 2012
  •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하고, 간식품의 총당도, 간식품의 pH, S. mutans의 산생성능과 당분해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치아우식유발지수가 낮은 간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아우식유발지수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식품 28종류의(고체군 21가지, 액체군 7가지) 당도를 측정한 결과 오레오가 43.5로 가장 높았고, 스윙칩과 마이쮸가 39.3, 땅콩카라멜 38.8, 츄파춥스 37.2, 소보루빵 33.9 순이었으며, 포카리스웨트와 녹차가 0으로 가장 낮았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서 총당도의 값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S. mutans의 산생성능에 의한 pH 평균값은 pH 5.33이였으며, 실험군의 S. mutans 산생성능에 의한 평균 pH변화는 10분 배양 후 pH 5.27, 30분 후 pH 5.21, 1시간 후 pH 5.15, 24시간 배양 후에는 pH 4.80으로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에 의한 산생성도 증가로 대조군보다 pH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도를 비색법으로 관찰한 결과 glucose의 활성도는 78.58%, sucrose의 활성도는 75%, galactose의 활성도는 71.42%로 대부분의 시료에서 Positive인 orange & yellow color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