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x plants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북경남 변전소 사업부지의 관속식물 현황과 분포 (Distribution and Status of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vungnam Substation)

  • 오현경;김철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6-74
    • /
    • 2008
  • In recent years, the view centered conservation for eco-system is getting important rather than development from human oriented perspective. As a result, the concept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is seeking harmony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ppeared so that we researched distribution and status of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yungnam substation. The main findings from the study is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yungnam substation area was listed 435 taxa; 93 families, 269 genera, 377 species, 1 subspecies, 51 varieties and 6 form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5 taxa; Acer palmatum (Planted species), Asperula lasiantha in Class III, Caryopteris incana, Cirsium schantarense in Class II, 21 taxa (Dryopteris erythrosora, Chloranthus japonicus, Salix glandulosa,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Clematis patens, Rubus hirsutus, Euphorbia pekinensis, Cayratia japonic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Microstegium japonicum, Hosta capitata, Polygonatum falcatum,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opulus tomentiglandulosa (Planted species), Indigofera koreana, Forsythia koreana (Planted species),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a, Carex okamotoi, Lilium amabile and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Institute, 2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callos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91),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22 genera, 28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6.4% of all 435 taxa vascular plants.

마니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7-53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anisan (Ganghwa-gun) from April of 2017 to August of 2018.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12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508 taxa: 107 families, 306 genera, 456 species, 7 subspecies, 43 varieties, 1 form, and 2 hybrids.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66 taxa), Poaceae (59 taxa), Fabaceae (25 taxa), Cyperaceae (25 taxa), Rosaceae (22 taxa), Liliaceae (20 taxa), Polygonaceae (17 taxa), Lamiaceae (14 taxa), Ranunculaceae (13 taxa), and Caryophyllaceae (13 taxa). Among these plants, 169 taxa were recoe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The six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C. erythrobasis H. $L{\acute{e}}v$. & Vaniot,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two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ylophora floribunda Miq.,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seven taxa of degree II, and 12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9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7%,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5.3%, respectively.

향로봉지역(香爐峰地域)의 식물상(植物相)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lora Mt. Hyangro-Bong)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44-64
    • /
    • 1999
  • 향로봉(香爐峰)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管束植物)은 86과(科) 254속(屬) 393종(種) 2아종(亞種) 48변종(變種) 4품종(品種)으로 총 450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특산식물(韓國特塵植物)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강제비꽃, 산오이풀, 노랑갈퀴, 금마타리, 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각시서덜취 등 23종류(種類),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누른종덩굴, 도깨비부채, 붉은인가목, 금강제비꽃, 꽃개회나무, 금강초롱꽃 등 17종류(種類)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歸化植物)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지느러미엉겅퀴,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14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 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85
    • /
    • 1997
  • 만덕봉(1,035.3m)은 동경 $128^{\circ}$54'24', 북위 $37^{\circ}$36'53'에 위치하며 행정적으로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및 옥계면의 경계에 자리하는 산으로 본 지역에 분포하는 유용자원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용자원식물상을 파악 하기 위해 1996년 4월과 9월 사이에 수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각 식물의 용도에 따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하여 군락표를 작성하였다. 본 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자원은 97과 298속 406종 70변종 8품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분포하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자원의 11.9%에 해당하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1.1이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6.7%, 목초용자원이 37.2%, 약용자원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도 16.3%로 분포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사울제비꽃, 지리강활,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재),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 570종류의 2.6%에 해당한다. 그 외 회귀식물로는 고비고사리, 애기쐐기풀, 솔나리, 연영초, 꽃창포, 암대극 등이 분포한다. 한석산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1아군단, 4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꽤앵둥개-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소나무-산거울군락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가래나무-가는잎쐐기풀군락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olia Community)

  • PDF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Creation Method of Green Space for Port Ecosystem Using the Halophytes)

  • 명현호;이점숙;전지영;송만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50-56
    • /
    • 2011
  •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한반도 신귀화식물: 가는타래사초 (사초과) (A new naturalized plant in Korea: Carex molestiformis Reznicek and Rothrock (Cyperaceae))

  • 고승원;심상득;현종영;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18-326
    • /
    • 2020
  • 국내 미기록종 가는타래사초(Carex molestiformis Reznik and Rothrock)를 강원도 평창군 벽파령 일대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본 분류군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미국의 남부지역(Missouri, Oklahoma, Arkansas등 11개 주)으로, 자생지에서는 주로 개활지나 강둑, 범람원 등에서 무리지어 밀생한다. 타래사초절(sect. Ovales)에 속하며, 자웅성 소수를 갖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 화서에 달리는 소수의 수가 2-4개로 적고, 과낭의 폭이 2.6-3.4 mm로 넓으며, 과낭 배면의 맥이 6-9개로 많아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종인 타래사초(C. maackii Maxim.) 및 귀화종인 한석사초(C. scoparia)와 명확히 구별된다. 국명은 본 분류군이 형태적으로 타래사초와 유사하며, 식물체가 전체적으로 가늘어 '가는타래사초'로 신칭하였고, 분류군에 대한 기재문, 화상자료 및 도해 그리고 유사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가는타래사초와 근연종의 유전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3개(chloroplast DNA matK, ndh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DNA barcode 지역의 부분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총 8개의 가는타래사초의 종특이적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을 확인하였다.

대암산 고층습원의 식물상과 식생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 강상준;곽애경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1
    • /
    • 2000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대암산 용늪(1,280m)의 습원 식물상과 식생에 대하여 Braun-Blanquet(1964) 의 방법으로 1998년 6월 13일부터 14일까지와 8월 7일부터 8일까지의 기간에 실시하였다. 습원내의 소산식물은 선태류 4과 4속 7종, 유관속식물 49과 127속 153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191종류였다. 식생은 가는오이풀 군락군(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community group)으로 11개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즉, 습원의 주요 식물군락은 삿갓 사초군락(Carex dispalata community), 물이끼 군락(Sphagnum palustre community)이었으며, 그 훼손지의 재생지역에는 솔잎사초 군락(Carex biwensis community), 청비녀골 풀 군락(Juncus papillosus community)이 함께하고 있었다. 또한 지하수위가 저하된 건조지역에는 진퍼리새 군락(Malinia japonica community)을 중심으로, 꼬리조팝나무 군락(Spiraea salicifolia community), 산새풀-꽃쥐손이 군락(Geranium eriosteman var. megalanthum-Calamagrostis langsdorffii community) 외에 골풀 군락(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버드나무 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동의 나물 군락(Caltha palustris var. mem branacea community), 흑삼릉 군락(Sparganium stdoniferum community)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그간에 실시되어온 1969년, 1976년, 1988년의 조사와 금번의 조사를 비교 분석해본 결과, 습원의 삿갓사초 군락, 물이끼 군락의 규모가 감소되고, 진퍼리새 군락이 침입되어 번식하며 그 규모가 커지고 있었다. 이는 스케이트장 조성과 가뭄의 영향 등 습원의 건조화 때문이나 인간의 출입과 훼손에 의한 교란이 없다면 고층습원의 회복 및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 이민수;김성환;정회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39-159
    • /
    • 2019
  •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외나로도(전라남도 고흥군)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Oenarodo Island (Goheung, Jeollanam-do))

  • 황희숙;정수영;장정원;양종철;장계선;오승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5-500
    • /
    • 201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 지역에 대하여 기 확보된 표본과 2011년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117과 342속 503종 2아종 62변종 7품종으로 총 57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내용으로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은 10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특별산림보호대상종은 1분류군이다. 그밖에 식물자원은 513분류군이 밝혀졌으며, 그 중 182분류군이 두 가지 이상의 활용성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계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ogyesan Mt.)

  • 선은미;최승만;김별아;손현덕;홍행화;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1-356
    • /
    • 2018
  •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조계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총 16회(20일)에 걸친 현지조사에서 확보된 표본과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의 수장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조계산에서 115과 334속 521종 8아종 45변종 4품종 총 57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국특산식물로는 지리대사초, 매미꽃, 노각나무 등 18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환경부지정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진퍼리잔대를 비롯한 V등급종 2분류군, 제주지네고사리, 털조장나무, 천마, 히어리 등 IV등급종 6분류군, III등급종인 약난초 등 16분류군, II등급종으로 금붓꽃 등 25분류군, I등급종으로 사다리고사리 등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