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lf-help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미국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과 이의 문제점 고찰 (Career Self-help Advice in the US and Its Limits)

  • 주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83-188
    • /
    • 2018
  • 본 논문은 미국의 사례를 통해 화이트칼라 구직활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과 이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먼저 빈번한 해고와 불안정한 고용의 확산으로 대변되는 미국 화이트칼라 노동시장의 변화와 이와 함께 부상한 자기계발 산업을 간단히 고찰한다. 다음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미국 화이트칼라 구직과정에서 접할 수 있는 대표적 자기 계발 조언을 살펴본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구직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기술의 활용을 포함하여 이력서와 네트워킹에 관한 조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의 영향력에 비추어 이의 문제점들, 특히 개인의 부단한 노력만을 강조하며 이에 취업과 그 결과를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음을 살펴한다.

고용 불안에 관한 미국 커리어 자기계발 담론의 고찰 (A Study of Career Self-Help Discourse on Employment Insecurity in the U.S.)

  • 주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34-140
    • /
    • 2019
  • 본 논문은 미국 화이트칼라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한 융합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체들 중 하나로써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을 고찰한다. 이에 본 논문은 특히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이 1980년대 이래 점차 일반화되어 온 미국 화이트칼라 고용 불안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논문은 대표적인 커리어 조언서 및 자기계발서들의 고찰을 통해 이 문제를 고찰하고 이들이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을 불가피한 것으로 제시하며 이를 긍정적인 변화로 받아들이도록 조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의 문제점으로 고용 불안에 관한 커리어 자기계발 담론이 어떻게 기업의 필요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본다.

간호대학생의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로 분석-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구현영;박옥경;정선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0-1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sonal, contextual, and 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the fitness of a path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13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self-esteem, social support,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self-esteem, outcome expectation, and social support.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 level wer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career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s should consider personal, contextual, and cognitive factors of nursing students and develop systemic career guidance programs to help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치위생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life stress and gri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황주희;유경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79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life stress,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October 19 to November 7, 2020, targeting 196 students enrolled in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Daejeon and Daegu. Life stress,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4.0. Results: Life stress was 2.12 points, grit was 3.07 poi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3.43 poi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influenced by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department, as well as life stress and gri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found to be grit. These variables could expla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23.8%. Conclusions: For students to advance successfully into society as dental hygienists,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achieve self-confidence and establish career goals should be developed. additionally, a program that can enhance grit should be included in this development.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 유민영;이숙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6-7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on career identity.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of 192 students from six nursing colleg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career identit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were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the major, motivation (aptitude and interest), and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hospital employ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2.3% in total. Conclusion: To develop a strong career identity for nursing students, it is essential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ncrease self-esteem, improve awareness of the major,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urse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explore career options.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 이후정;박지연;조경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4-3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서울 소재지역의 대학생들로 총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이 미치는 영향과 정도에 따라서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이라는 그룹도 그 안에는 개인별로 서로 다른 내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 Career Self Regulation, Self Leadership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박소영;조옥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81-2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215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적응력은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직관적 의사결정유형 간에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진로자기조절, 의존적 의사결정유형,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이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진로자기조절 정도를 향상시키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취업준비활동간의 관계연구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Career Choic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14-2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직업준비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KCYPS) 중 1패널 7차년도 2016년 자료인 대학생들(2091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취업준비활동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활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진출이 과업인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확립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과 취업준비활동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수·해양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in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Students)

  • 박종운;서영환;강버들;전은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35-3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students. And it will help improving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456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students. Analysis methods includes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nd data was analyzed by PASW Statistics 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generally positive. Second, The effects of the grade, the major and the school of students on self-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high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students were, the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was. Lastl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ere valued positive.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