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lateau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외식서비스기업종사원의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he Career Plateau of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 이미정;심지현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식서비스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개인이 지각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로 구분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경력동기와 조직경력개발지원이 경력정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총 350명의 외식서비스기업종사자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5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종업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모두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계에서 공식적 지원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비공식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외식서비스 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구조적, 내용적 경력정체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기업의 비공식적 지원은 이직의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업차원에서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 인식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 of HR Practice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 송민영;김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53-464
    • /
    • 2019
  • 본 연구는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독립변수인 교육훈련제도와 평가보상제도,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간의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 모형을 실증하기 위해 보건의료업종의 근로자 442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평가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성은 교육훈련제도 인식도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관리하는데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그 관리 방법으로서 조직 내 인사제도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충분히 검토하여 제도 설계와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 김소연;조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17-424
    • /
    • 2020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경력정체,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로 분석하였으며 이직의도와 간호근무환경(r=-.397, p<.001), 이직의도와 감성 지능(r=-.112, p=.033)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 경력정체(r=.352, p<.001)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력정체와 간호근무환경이었으며 설명력은 21.1%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areer plateau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 김유미;이종률;강향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59-469
    • /
    • 2016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경력정체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J시, C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내용적 경력정체(${\beta}=-.45$, p<.001), 구조적 경력정체(${\beta}=-.39$, p<.001) 순이었고, 총 설명력은 55.0%였다. 또한,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적 경력정체(${\beta}=.42$, p<.001), 현 병원 근무경력(${\beta}=-.39$, p=.002), 내용적 경력정체(${\beta}=.14$, p=.012), 근무부서(${\beta}=-.13$, p=.016) 순이었고, 총 설명력은 43.0%였다. 이와 같이 병원간호사의 내용적 경력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은 직무만족을 높이고, 구조적 경력정체를 감소시키는 것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직무재설계, 직무충실화 등을 통해 내용적 경력정체를 보완하고, 숙련된 유능한 간호사의 보유율을 높이고, 질적으로 우수한 조직성과를 달성하고, 간호사의 경력성공을 위해 경력사다리제도의 도입 및 활용 등을 통해 구조적 경력정체를 보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김유미;강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078-5090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5개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7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 5일부터 8월 20일까지였으며,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7점 이었으며,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경력정체(r=.284)와는 정적관계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r=-.165)과 직무배태성(r=-.432)과는 부적관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배태성이었으며, 현 병원 근무경력, 경력정체, 근무부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관리 방안으로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간호사 유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경력정체, 직무착근도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Career Plateau,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 김유미;강영실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0-54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dentify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self-efficacy, career plateau, job embedded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turnover for nurses. Also, an attempt was made to derive a hypothetical model from these factors and to verify whether the model has validity as a means of explaining and anticipa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randomly selected hospitals: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 city, Kyungnam and fiv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cities B and C), each having 400 to 720 beds. Also, 318 nurses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dentified as the most likely paths to turn over intention.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highest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llowed by job embeddedness and then self-efficacy, but career plateau had an indirectly effecte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As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be greatly affec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method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간호사 경력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of nurses)

  • 최현주;정귀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25-3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 관련 국내 연구의 최신 동향을 탐색하여 향후 간호 보건 분야에서 경력관련 논문의 이론적 접근과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실린 간호사 경력개발 관련 연구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 RISS 및 KISS등을 통해 검색어를 '간호', '간호사', '경력', '경력개발', '경력개발 프로그램', '경력관리'로 하여 검색된 논문 중 최종 2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전체적인 동향분석을 위해 연도별, 출처별, 연구설계 및 대상자 별로 살펴보았고, 주제 별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용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상위 범주로 경력개발과 경력개발결과로 나뉘었고, 경력개발의 하위범주로 조직 경력관리, 개인경력관리 경력개발결과의 하위범주로 경력성과로 나뉘었다. 하위범주인 개인경력관리는 경력탐색, 경력계획, 경력정체, 경력단절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직경력관리는 CLS개발 및 적용, CLS 인식도 조사, 경력개발 모형구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경력성과는 경력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 CLS 적용 후 변화, 경력만족, 경력변경의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경력성과 중 경력몰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경력개발 관련 간호연구의 방향성은 개인 차원과 조직차원의 욕구를 부합시킨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대상자, 연구설계와 연구주제에 있어서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력개발제도에 따른 경력개발제도의 인식,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Perception of Clinical Ladder System,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Level of Clinical ladder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이지현;최수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61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CLS)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the CLS,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173 nurses working in 11 ICU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Results : The perception of the CL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LS level. As a result of the partial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difference according to CL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clinical career), CL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CLS (r=.16, p=.045), professional self-concept (r=.24, p=.001), and self-efficacy (r=.21, p=.007). On the contrary,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CLS (r=-.43, p<.001) and self-efficacy (r=-.32, p<.001). Conclusion : The CLS is effective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However, specialists 2 nurses, who had high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showed low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ors of work burden and career plateau that are imposed after promotion and improve experience and planning according to the growth needs. Moreover, regular evaluation of the CLS will require hospital support to ensure that ICU nurses appreciat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