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arch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탐색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Search Ability Improvements for Engineering Students)

  • 진성희;한승우;김태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8-21
    • /
    • 2014
  • The increase of youth unemployment has delivered entire interests in career education by many institutes including universities Thereafter, the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makes the ability on career development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in a human life. There are many efforts to assist students for career exploring by universities, however, the findings through these researches have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As a prat 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to create the appropriate career exploring educational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such as 1) literature reviews; 2) analysis on the career exploring ability and needs on the related programs focusing on 224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3)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areer exploring; 4)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twenty three number of college students; 5) result analysis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significant findings and a specific case delivered by this study expect to provide valuable contributions to prospective users who intent to involve in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Cosmetology Students Occupation Decision and Job Hunting Behavior)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to cosmetolog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Overall 214 par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final samples.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 processing are based on SPSS v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1.0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 showed that employment anxiety (β= .206, p<.05), job anxiety(β=.824, p<.05), and anxiety in career search(β=.118, p<.0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However, employment concerns(β=-.312, p<.001) in career determination and employment concerns(β=-.223, p<.01) in career sear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nd that employment anxiety(β=.364, p<.05)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use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 affects employment anxiety(β=-.188, p<.01).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anxious cosmetology students are about employment, the more they plan and explore career options, and make information-base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re will be lively discussions among cosmetolog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anxiety.

무경계경력 관점에서 살펴본 중·고령자 직업훈련 참여 및 훈련활용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iddle-aged and Older People's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its Usefulness in their Boundaryless Career Perspective)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93-507
    • /
    • 2018
  • 본 연구는 목조주택시공 및 조경시공분야의 직업훈련과정에 참여한 194명을 대상으로 연령구간에 따른 직업 훈련 특성 및 훈련 활용도를 살펴보았다. 고용가능성, 경력단계등에서의 차이에 따라 이들을 제1직업기(30~45세), 경력전환준비기(46~52세), 경력전환기(53~60세), 퇴직후가교일자리기(61세~68세)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나이가 많은 그룹일수록 컴퓨터활용수업에서 어려움을 느꼈으며 취업결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훈련활용도를 취업에서 뿐 아니라 진로탐색, 노후생활준비 및 취미활동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경력전환기의 경우 진로탐색 활용이 높았으며 퇴직후가교일자리기의 훈련생들은 노후준비 및 취미활동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훈련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훈련난이도 인식, 진로적응성이 진로탐색 및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쳤고 취업에는 이전 경력연관성, 진로장벽인식, 훈련난이도 인식, 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 고령자의 무경계경력 관점에서의 직업훈련 활용은 취업보다 진로탐색이나 노후생활 준비 쪽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근거, 직업훈련에 진로장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형성 및 관계역량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등 중 고령자의 특성 및 수요에 맞는 교육 훈련과정의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Career Indecision and Job Search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Senior Students)

  • 이현정;김기석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51-71
    • /
    • 2008
  • 대학생 졸업예정자들의 직업탐색행위는 취업의 주요한 예측치이면서 동시에 평생의 경력경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직업탐색행위에 대한 선행요인으로서 진로미결정과 개인적 특성요인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효과, 다음으로 진로미결정이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성격적 특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그리고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였다. 강원권 3개 대학 304명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로 성격적 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은 우유부단성과 부정적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고, 친화성은 우유부단성과 긍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외향성과 성실성은 직업정보부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친화성과 개방성은 직업정보부족과 유의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진로미결정요인(우유부단성, 직업정보부족) 중 우유부단성은 예비적 탐색행동에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정보부족은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외향성과 우유부단성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의 경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정보부족과 예비적 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직업정보부족이 예비적 탐색행동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사의 경력 닻 개념분석 (Conceptual Analysis of Career Anchors of Nurses)

  • 오재우;김미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areer anchors of nurses by defining and organizing its concept. Methods: Using the Walker and Avant concept analysis, a total of 29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in this study. Results: The career anchors of nurses are individual career choice motives, a self-concept where in competency and values are harmonized, which act as a desire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 nursing, and are actions that maintain careers. Additionally, they indicate the direction for achieving individual career goals and act as a core value expected of nurses by nursing organizations, indicating continuous and integrated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fession. Conclusion: The career anchors of nurses identified in the results contribute to securing patient safety, providing quality care through policies, institutionalizing bases for career development, preventing nurse turnover, and retaining skilled nurses.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tivating the Workforce in a Precarious Time: Focusing on Career Self-Help Advice in the U.S.

  • Jeongsuk 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104-109
    • /
    • 2024
  • In this paper, we examine American career self-help advice in the context of white-collar labor market changes in the U.S., especially how it tries to motivate and empower white-collar job seekers and how fundamentally flawed this is. In this regard, we focus on What Color Is Your Parachute? by Richard Nelson Bolles, as it is the foundational and representative literature in the field of career self-help advice. We first look at the white-collar labor market changes in the U.S. and the growth of career self-help advice along with its influence. We then show that What Color Is Your Parachute? seeks to motivate and inspire job seekers by defining job searching in individual terms and overlooking its structural nature. From this, we point out the most problematic aspect of career self-held advice, i.e., shifting job search responsibility as well as its outcome solely to individual job seekers, while also making it difficult to scrutinize and understand the broader context affecting job searching.

대학생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Efficacy)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88-549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 및 진로선택, 구직활동을 하는데 내적통제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분석이 이루어지며, 대학생에게 다양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The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 Seong-Gon KIM;Seung-Hyun H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5
    • /
    • 2023
  • Purpose - The present study bridges a significant gap in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job crafting, which entails the proactive redesign of work roles, responsibilities, and relationships, empowers employees, and elevat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mployed a tailored search approach with specific terms linked to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to ensure a thorough and focused analysis. The keywords include "Job crafting," "protean career attitudes," "career development," and related terms. This strategy uses an organized method to identify, screen, and choose appropriate studies. Result: This study synthesizes prior studies and identifies four critical links between the development of jobs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To begin with, task crafting, which entails job requirements and scope modifications, leads to protean career attitudes as employees match their roles to their skills and passions. Second, rational crafting, which is adjusting interactions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encourages flexible career attitudes. Conclusion - This study insists that organizations must consider the essential practical ramifications. Employers may improve employee growth, engagement, and talent retention by encouraging job customization, recognizing protean workers, cultivating a protean culture, investing in ongoing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