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vascular stability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근로환경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 이용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0-22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and prevention measures on health promotion and occupational diseas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bsenteeism among workers using data from the third working environment survey in Korea. Methods: This study's subjects were composed of 29,711 wage workers from the 3rd working environment survey data.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veral disease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bsenc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working enviro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analysis using the IBM SPSS(ver.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effecting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were age, working shift and emotional state. The effecting factors for anxiety and depression were years of education, working condition, duties, and emotional state. The effecting factors of insomnia were duty and emotional state. The positive effecting factors for absent days were work standing, working shift, number of night shifts, autonomy, and duties. The positive effecting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ge, work standing, working years, working shift,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leadership of superiors, duties and emotional stat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consider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o reduce absent days, such as by reducing of number of night shifts and giving autonomy regarding duties, an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such as by controlling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and stability of the emotional stat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health promotion and occupational disease among workers.

개심술시 Intra-aortic balloon pump (IABP)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Experience with IABP in Cardiac Surgery)

  • 옥창석;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34-39
    • /
    • 1997
  • 1994년 5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성인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122례중 18례(14.8%)에서 IABP를 순환보조장치로 사용하였다. 그중 술전에 IABP(intra-aortic balloon pump)를 시행한 경우는 9례이고, 술 중에는 7례, 그리고 술후에는 2례에서 시행하였다. 그 이유는 술전에는 저심박출,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실패였고, 술중에는 체외순환기 이탈을 위해서이며, 술후에는 술후 발생한 부정 맥 때문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8$\pm$6.9세(39세에서 75세)였다. 술전 및 술중에 IABP를 시행한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 42.9%였으며 술후 IABP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IABP이탈율은 술전의 경우 66.77%. 술중의 경우 85.7%였으며 술후에 시행한 IABP는 모두 이탈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IABP는 심근 손상이 가역적인 시기에 적용할 경우, 수술전후 어느시기에나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수술전후의 혈류역학적 불안정, 체외순환기 이탈 및 저심박출증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End-terminal Capping 효과가 아밀로이드 섬유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nd-Terminal Capping Effect on Mechanical Property of Transthyretin (TTR105-115) Amyloid Fibril)

  • 최현성;이명상;나성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7호
    • /
    • pp.621-627
    • /
    • 2017
  • 다양한 신경성 퇴행 질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섬유의 기계적 특징에 대한 이해는 아밀로이드 성장 메커니즘에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질병 역학적 관점에서 많은 연구 진행 되어 왔다. 최근 아밀로이드 섬유의 높은 물성 값과 자가 결합능력을 통해 새로운 재료로 이용 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transthyretin($TTR_{105-115}$)의 핵심 영역의 기계적 특성을 분자 동역학 전산 역학을 통해 평가했다. 특히 end-terminal capping의 효과가 $TTR_{105-115}$의 구조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인장모사 분자 동역학을 통해(steered molecular dynamics, SMD) 기계적 거동과 물성을 측정하였다.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밝히고 자연 모사 재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체외순환후 fructose-1,6-diphosphatate[FDP]가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ctose-1,6-diphosphate[FDP] on Red Blood Cells aft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 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7호
    • /
    • pp.693-701
    • /
    • 1992
  •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bypass[CPB] has been associated with a wide variety of hematologic derangements, including a transient deformation and hemolysis of red blood cells[RBCs], which is supposed to be due to mechanical trauma and/or metabolic alterations. Since membrane integrity is, in part, maintained by energy requiring process, inadequate function of erythrocyte glycolytic pathway, which is inevitalble during CPB, may cause depletion of high energy phosphate pool and result in hemolysis. The authors performed an investigation to assess whether administration of Fructose-l, 6-diphsphate [FDP], which has been known to enhance intracellular glycolytic activities, could counteract erythrocyte hemolytic events caused by CPB. Sixty pateints with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s, who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under CPB longer than 60 minut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use of FDP[Group FDP] or not[Group Control]. The age, sex, CPB time, preoperative hemoglobin level, disease entities were all similar[Table 1], and membrane type oxygenators were used in all patients. In Group, FDP, a dose of 250mg/kg body weight of FDP was administered by intravenous dripping every 12 hours from the morning of the operation to postoperative 48 hours, To demonstrate the degree and pattern of hemolysis of erythrocyte, reticulocyte count, indirect /direct bilirubin, haptoglobin, plasma hemoglobin, lactate dehydrogenase were measured every 12 hours from the time of cessation of CPB to 48 hours and RBC morphologic study, osmotic fragility test were done every 24 hours. All parameters revealed less hemolytic in group FDP [Fig. 1~5], th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plasma hemoglobin, lactate dehydrogenase changes. A pattern of sequential changes of plasma hemoglobin, lactate deh-ydrogenase showed the highest level at the time of CPB stop and abrupt decrease in following 24 hours in both group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monstrated in group FDP at least for the first 12 hours postoperatively[p<0.05].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y can expect the benificial effect of FDP on the maintenance of membrane stability of RBC probably by energy enhancement during the shock status of CPB, but FDP could not completely prevent the damaging effect on RBC by cardiopulmonary bypass

  • PDF

The Role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 Rib Fixation: A Review

  • Bemelman, Michael;van Baal, Mark;Yuan, Jian Zhang;Leenen, Luk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1호
    • /
    • pp.1-8
    • /
    • 2016
  • More than a century ago, the first scientific report was published about fracture fixation with plates. During the 1950's,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for fractures were standardized by the founders of Arbeitsgemeinschaft $f{\ddot{u}}r$ osteosynthesefragen/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rnal Fix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plate fixation for fractures, several plates and screws have been developed, all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To accomplice more fracture stability, it was thought the bigger the plate, the better. The counter side was a compromised blood supply of the bone, often resulting in bone necrosis and ultimately delayed or non-union. With the 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fracture fixation, less invasive procedure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This resulted in the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technique for fracture fixation. With the MIPO technique, procedures could be performed with smaller incisions and thus with less soft tissue damage and a better preserved blood supply. The last 5 years rib fix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rising evidence has becomeavailable suggesting that surgical rib fixation improves outcome of patients with a flail chest or isolated rib fractures. Many surgical approaches for rib fixa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old literature, however, most of these techniques are obscure nowadays. Currently mostly large incisions with considerable surgical insult are used to stabilize rib fractures. We think that MIPO deserves a plac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rib fractures. We present the aspects of diagnosis, preoperative planning and operative techniques in regard to MIPO rib fixation.

음악 청취가 교감신경 활성화에 대한 심혈관 및 자율신경 반응 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on cardiovascular and autonomic reactivity to sympathoexcitation in young adults)

  • 권정인;김현정;조민정;오유성;제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74-684
    • /
    • 2023
  •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심혈관계 및 교감신경계 과활성화 반응은 향후 심혈관계 질환 발생 및 심장 돌연사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음악 청취는 자율신경계 기능을 향상시켜 안정 시 긴장 이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음악이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과도한 심혈관 반응을 완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음악청취가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심혈관 반응성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지 검증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성인(남자 9명, 여성 6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교차 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음악 처치는 음악을 30분간 청취하였고 통제 처치는 30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냉압박 검사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였으며, 변인으로 심박수, 상완 및 중심동맥 혈압과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 처치와 통제 처치 모두 냉압박 검사 중 심박수와 혈압 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 .001), 처치와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회복 구간에서 상완동맥 수축기혈압이 음악처치 그룹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8). 나머지 혈압 변인들도 음악중재 그룹에서 더 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심박변이도는 음악 처치 전후로 음악 처치 그룹에서만 SDNN(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 TP(total power)와 HF(high frequency)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p = 0.002, p = 0.011). 따라서 음악 청취는 스트레스 이후의 회복력을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 음악 처치의 구체적인 변인들을 고려하여 과도한 심혈관 반응에 대한 보호 효과로서의 음악 청취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restal bone loss around the implants

  • Park, Ji-Hoon;Kim, Young-Kyun;Yun, Pil-Young;Yi, Yang-Jin;Yeo, In-Sung;Lee, Hyo-Jung;Park, Jin-You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2-17
    • /
    • 2009
  • Purpose : To determine whether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could be affected by systemic disease, primary ISQ value, implantation method (submerged vs. non-submerged), surface treatment, and bone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ho underwent fixture installation from June 24, 2005 to October 23, 2008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evaluated. A total of 157 patients (male: 52, female: 85) had 346 fixtures installed. Among them, 49 patients had periapical radiographs taken 1 year after prostheses were first set. A total of 97 fixtures were implanted. In particular, 30 fixtures were installed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cardi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and liver disease. The immediate stability of implants was measured with $Osstell^{tm}$. Implant surface treatment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RBM, Cellnest (Anodized)), and bone density, into four groups (D1~D4). The bone resorption on the mesial and distal areas of fixtures was measured with periapical radiographs using the paralleling technique, and the mean value was calculated. The length determination program in IMPAX (AGFA, Belgium) was used. Results : At least 332 out of 346 (96%) installed GS II implants were successfully osseointegrated 1 year after prostheses were first set. The mean value of the bone resorption of the installed GS II implants was 0.44mm. The minimum value was 0mm, and the maximum value, 2.85m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lantation methods (submerged, non-submerge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alveolar bone loss 1 year after prostheses were first set (p<0.05). Non-submerged implants showed less crestal bone loss. Note, however, that other variables had no correlation with crestal bone loss (p>0.05). Conclusion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stage method and 2-stage metho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alveolar bone loss 1 year after prostheses were first set. Systemic disease, primary ISQ value, surface treatment, and bone density were not associated with alveolar bone loss. Other variables were assum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alveolar bone loss.

  • PDF

혈액대용물질의 제조 및 특성 평가 (Estimate of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Blood Substitutes)

  • 김기범;박재관;김성종;김종수;유일수;김민호;홍철운;김진상;강형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626-632
    • /
    • 2008
  • 본 연구는 헤모글로빈을 계란의 인지질로 microencapsulation한 hemosome과 PFC 유화액을 제조하여 산소전달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fluosol-DA를 sonication하여 평균입자크기가 437 nm의 안정성 있는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glycerol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유화시간을 줄이고 안정도를 높일 수 있었다. 소 혈액으로부터 추출한 헤모글로빈을 달걀노른자로부터 추출한 인지질로 microencapsulation하여 직경 $0.8{\mu}m$의 hemosome을 얻을 수 있었다. Hemosome의 산소포화도 곡선은 정상혈액의 적혈구와 같이 S자형을 보였으며 $P_{50}$은 24 mmHg이었다. Hemosome과 혈액을 1:4(V/V%)의 혼합한 혼합용액에서의 산소 포화도는 정상혈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PFC 유화액과 혈액을 1:4(V/V%)로 혼합한 혼합용액에도 정상혈액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

산림 운동이 혈압, 심박수,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xcercise in a Forest Environmen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MDA and SOD)

  • 최종환;신원섭;서경원;차욱승;연평식;유리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17-422
    • /
    • 2008
  • 산림의 건강 기능은 최근 많은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6명의 실내 운동집단과 6명의 산림내 운동집단의 혈압, 심박수,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의 비교를 통하여 산림 내 운동이 인체의 생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2명의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0세 이상의 여성이었고, 운동 전 후 혈압 및 심박수의 측정과 채혈을 통하여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산림 운동 시 이완기 혈압은 실내 운동 집단보다 현저하게 낮아졌다. 또한 산림 운동과 실내 운동 참여자의 심박수 및 과산화지질(MDA) 수준의 변화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산화효소(SOD) 변화에서는 운동 후 안정 시 30분에 산림 운동 집단의 SOD 수준이 급격히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