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pulmonary bypass percutaneou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정맥-정맥간 우회술을 이용하여 하대정맥까지 확장된 콩팥세포암종의 수술적 치료 1예 (Surgical Resection of Renal Cell Carcinoma Extended to the Inferior Vena Cava Using Pump Driven Veno-venous Bypass)

  • 박한규;최창우;이재욱;허균;신화균;원용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72-75
    • /
    • 2006
  • 46세 남자가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오던 중 내원 한달 전부터 발생된 흑색변과 10일 전부터 시작된 상복부 통증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초음파와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측 콩팥세포암종과 하대정맥 폐색이 발견되어 우측 콩팥절제술과 정맥-정맥간 우회를 이용한 하대정맥 혈전색전 제거술을 시행받았다. 콩팥세포암종에 기인한 하대정맥 폐색시 심정지와 심페우회술을 사용하지않고 정맥관류의 차단 없이 비교적 간단하게 수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맥-정맥간 우회술을 이용하여 수술 성공한 사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개심술시 Intra-aortic balloon pump (IABP)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Experience with IABP in Cardiac Surgery)

  • 옥창석;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34-39
    • /
    • 1997
  • 1994년 5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성인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122례중 18례(14.8%)에서 IABP를 순환보조장치로 사용하였다. 그중 술전에 IABP(intra-aortic balloon pump)를 시행한 경우는 9례이고, 술 중에는 7례, 그리고 술후에는 2례에서 시행하였다. 그 이유는 술전에는 저심박출,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실패였고, 술중에는 체외순환기 이탈을 위해서이며, 술후에는 술후 발생한 부정 맥 때문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8$\pm$6.9세(39세에서 75세)였다. 술전 및 술중에 IABP를 시행한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 42.9%였으며 술후 IABP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였다. IABP이탈율은 술전의 경우 66.77%. 술중의 경우 85.7%였으며 술후에 시행한 IABP는 모두 이탈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IABP는 심근 손상이 가역적인 시기에 적용할 경우, 수술전후 어느시기에나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수술전후의 혈류역학적 불안정, 체외순환기 이탈 및 저심박출증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대량객혈 환자에서 사용된 정맥 정맥간 및 정맥 동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의 적용 -1예 보고- (Venovenous and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for Repeated Life Threatening Hemoptysis -A case report-)

  • 유재석;정의석;최진호;임청;전상훈;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64-767
    • /
    • 2008
  • 최근 심각한 심기능 저하와 호흡 부전 환자의 소생술에서 체외막 산소화 장치의 이용 사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한 환자에서 두 차례의 기관지 출혈로 인하여 호흡 부전 및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정맥 정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와 정맥 동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적절하게 적응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Extravascular Migration of a Fractured Inferior Vena Cava Filter Strut

  • Lim, Jung Hyeon;Lee, Weon Yong;Ra, Yong Joon;Jeong, Jae Han;Park, Bong Suk;Ko, Ho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3호
    • /
    • pp.224-227
    • /
    • 2017
  • A 20-year-old man presented with a femur fracture and epidural hemorrhage (EDH) following a fall. One month after fracture surgery, swelling developed in both legs, and he was diagnosed as having a deep-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A retrievable inferior vena cava filter (IVCF) was inserted, because EDH is a contraindication to anticoagulants. Four months later, he complained of abdominal pain,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fractured IVCF strut. After percutaneous removal failed 3 times, the IVCF was surgically removed by orthopedists using a portable image intensifier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Surgical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 Single Center Experience during 22 Years

  • Park, Sung Jun;Kim, Joon Bum;Jung, Sung-Ho;Choo, Suk Jung;Chung, Cheol Hyun;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33-438
    • /
    • 2013
  • Background: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rocedures having high surgical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SD. Methods: From May 1991 to July 2012, 34 patients (mean age, $67.1{\pm}7.9$ years)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SD. A retrospective review of clinical and surgical data was performed. Results: VSD repair involved the infarct exclusion technique using a patch in all patients. For coronary revascularization, 12 patients (35.3%) underwent concomita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3 patients (8.8%) underwent preoperativ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9 patients (26.5%) underwent both of these procedures. The early mortality rate was 20.6%. Six patients (17.6%) required reoperation due to residual shunt or newly developed VSD. During follow-up (median, 4.8 years; range, 0 to 18.4 years), late death occurred in nine patients. Overall, the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54.4%{\pm}8.8%$ and $44.3%{\pm}8.9%$,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x regression analysis, preoperative cardiogenic shock (p=0.069) and prolonge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p=0.008)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Conclusion: The early surgical outcome of post-infarct VSD was acceptable considering the high-risk nature of the disease. The long-term outcome, however, was still dismal, necessitating comprehensive optimal management through close follow-up.

Result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Support before Coronary Reperfusion in Cardiogenic Shock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Chung, Eui-Suk;Lim, Cheong;Lee, Hae-Young;Choi, Jin-Ho;Lee, Jeong-Sa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73-278
    • /
    • 2011
  • Despite aggressive treatment, the mortality rate of cardiogenic shock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high. We perform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rior to coronary reperfusion, and evaluated the early clinical results an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6 to November 2009,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atients in cardiogenic shock with AMI (mean age $67.7{\pm}11.7$ yrs, M : F 14 : 6). After initially performing ECMO using the CAPIOX emergency bypass system ($EBS^{(R)}$Terumo, Tokyo, Japa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reperfusio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13;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7). Results: All patients were in a cardiogenic shock stat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 (CPR) were performed for fourteen patients (mean CPR time $20.8{\pm}26.0$ min). The mean time from vascular access to the initiation of ECMO was $17.2{\pm}9.4$ min and mean support time was $3.8{\pm}4.0$ days. Fourteen patients were able to be weaned from ECMO and ten patients were discharged (mean admission duration $50.1{\pm}31.6$ days). Patients survived on average $476.6{\pm}374.6$ days of follow-up. Longer CPR and support time, increased cardiac enzyme, lower ejection fraction, lower albumin, and major complications were the risk factors of mortality (p<0.05). Conclusion: The early application of ECMO prior to coronary reperfusion and control of risk factors allowed for good clinical results in cardiogenic shock with AMI.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좌심실벽 파열에서 소심낭과 Fibrin Glue 압박을 이용한 치험 - 1예 보고 - (Repair of Left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pplication of Pericardial Patch Covering and Fibrin Glue Compression A case report)

  • 김상익;금동윤;원경준;오상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63-366
    • /
    • 2003
  • 배경: 급성심근경색 후 좌심실벽 파열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보통 응급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지속적인 흉통과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76세 여자 환자로 심초음파에서 심낭 삼출 및 좌심실 측하부의 수축 저하 소견을 보였고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첫 사선지의 완전 폐쇄소견이 관찰되었다. 폐쇄된 사선지에 관상동맥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 그리고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 후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 및 심정지하에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고 좌심실벽 파열부위는 소 심낭으로 덮고 인조사로 연속 봉합하였으며 소 심낭과 심장외막 사이의 공간은 fibrin glue로 채운 후 지혈될 때까지 압박하였다. 급성심근경색 후 발생한 좌심실벽 파열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해 병원 내에서 발생한 심정지 혹은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에 있어서의 경피적 심폐 보조장치의 치료 경험 (Experiences with Emergency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in In-hospital Cardiac Arrest or Cardiogenic Shock due to the Ischemic Heart Disease)

  • 이일;권성욱;조성우;권현철;이영탁;박표원;박계현;이상훈;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01-207
    • /
    • 2006
  • 배경: 경피적 심폐 보조장치(PCPS)는 체내의 가스교환과 혈액의 관류를 간접적으로 도와줌으로써, 장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다른 치료법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출혈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심각한 심폐부전에 빠진 환자의 생명을 구해준다. 본 저자들은 허혈성 심질환자들에서 발생한 심인성 쇼크 혹은 심정지를 PCPS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999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발생한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환자들 중 7명에서 원심펌프인 Biopump (Medtronic inc., Minneapolis, MN), 나머지 13명에게는 자가 priming이 되는 헤파린-코팅된 EBS (Terumo, Japan)를 사용하였다. 삽관은 모든 환자에서 대퇴동맥과 대퇴 정맥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동맥용 케눌라는 17 Fr에서 21 Fr까지, 정맥용은 21 Fr에서 28 Fr까지 의 DLP (Medtronic inc., Minneapolis, MN) 또는 RMI (Edwards lifescienc LLC, Irvine, CA)의 비교적 긴 정맥용 케눌라를 사용하였다. 결과: 소생을 목적으로 PCPS가 시도되었던 총 20명의 환자들 중에서 심정지가 13명이었으며, 심인성 쇼크였던 환자가 7명이었다. 이들 중 11명에서 관동맥 우회술이 시행되었고,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PCPS한 상태에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이 시도되었다. 평균 PCPS가동 시간은 38$\pm$42시간이었으며, 총 20명의 환자들 중 PCPS 이탈이 가능하였던 11명($55\%$)의 환자 중 총 8명($40\%$)의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 얼이 평균 27$\pm$17일만에 퇴원하였다. 퇴원한 환자는 현재 모두 생존하여 치장 31개월째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결론: PCPS를 시행함으로써 혈역학적 회복을 가져옴으로써 다른 방법으로는 살리기 힘들었던 심정지 또는 심인성 쇼크로부터 환자를 구할 수 있고, 일단 회복된 환자들은 장기 생존율을 보인다.

전격성 심근염의 치료에 있어 경피적 순환 보조 장치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a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Fulminant Myocarditis)

  • 임주영;정성호;제형곤;이택연;주석중;이재원;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20-24
    • /
    • 2010
  • 배경: 전격성 심근염은 드물지만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는 치명적인 질병으로서, 급성기 치료가 예후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급성기 치료에 순환 보조 장치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전격성 심근염 환자에서 급성기에 순환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전격성 심근염으로 순환 보조 장치를 삽입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Capiox emergency bypass system (Terumo Inc, Tokyo, Japan)을 사용하였고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순환 보조 장치를 운용하였다. 환자들은 모두 심실 빈맥 또 는 강심제에 반응하지 않는 심인성 쇼크 상태에서 순환 보조를 받았고 심초음파상 평균 심구출률은 $20{\pm}6%$였다. 결과: 3명이 순환 보조 장치를 유지하던 도중 사망하였고 한 명의 환자가 순환 보조 장치를 유지하던 중 심장 이식 수술을 받았다. 나머지 환자들은 평균 $107{\pm}70$시간 순환 보조 장치 유지 후 성공적으로 발관하여 퇴원 후 심초음파상 심구출률 $56{\pm}7%$로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전격성 심근염은 급성기에 매우 치명적일 수 있으나 치료 후 예후는 양호한 질환으로 이러한 급성기 치료에 순환 보조 장치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순환 보조 장치의 도입 시점, 운용 방법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합병증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Percutane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for Graft Dysfunction after Heart Transplantation

  • Lim, Jae Hong;Hwang, Ho Young;Yeom, Sang Yoon;Cho, Hyun-Jai;Lee, Hae-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00-105
    • /
    • 2014
  • Background: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percutane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in patients with primary graft dysfunction after heart transplantation. Methods: Of 65 patients (44 males and 21 females) who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2, 13 patients (group I) needed peripheral ECMO support due to difficulty in weaning from cardiopulmonary bypass (CPB) and 52 patients (group II) were weaned from CPB without mechanical suppor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54.4{\pm}13.6$ yea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Multivariabl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ECMO therapy. Results: All group I patients were successfully weaned from ECMO after $53{\pm}9$ hours of circulatory support. Early mortality occurred in four patients (1 [7.7%] in group I and 3 [5.8%] in group II, p>0.999).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reoperation for bleeding. A greater number of group I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for bleeding (5 [38.5%] in group I vs. 6 [11.5%] in group II, p=0.035). In multivariable analysis, preoperative mechanical support (ECMO and intra-aortic balloon pump) and longer CPB time were the risk factors of ECMO therapy for graft dysfunction (odds ratio, 6.377; 95% confidence interval, 1.519 to 26.77; p=0.011 and odds ratio, 1.010; 95% confidence interval, 1.001 to 1.019; p=0.033). Conclusion: Percutaneous ECMO support could be a viable option for rescuing patients when graft dysfunction refractory to medical management develops after heart transpla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