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cass Wash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Spinal Cord Removal before or after Splitting and Washing on CNST De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 Lim, D.G.;Kim, D.H.;Le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1호
    • /
    • pp.1770-1776
    • /
    • 2007
  • Beef carcasses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pinal cord removal and washing on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 (CNST) decontamination of the surface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A total of 15 carcasses were split by sawing centrally down the vertebral column and left sides of split carcasses were used for analysis. Samples were collected by swabbing the surface from 4 defined parts on the interior and 4 on the exterior of carcasses from the abattoir and analyzed using an ELISA-based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automatic and manual spray washing decreased CNST contamination, especially on the interior ventral parts of carcass surfaces (p<0.01), but did not decrease CNST on the interior dorsal parts. Increasing washing time to 60 s did not affect the reduction of CNST contamination. Samples following spinal cord removal prior to splitting showed lower calculated levels of "risk material" than the stated limit of detection (0.1%) of the ELISA kit on interior and exterior carcass parts (p<0.01). Therefore, spinal cord removal prior to splitting could be a very effective way to minimize CNST 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Prevalence, Serotype Diversity, Genotyp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Carcasses and Human in Korea

  • Oh, Hyemin;Kim, Sejeong;Lee, Soomin;Lee, Heeyoung;Ha, Jimyeong;Lee, Jeeyeon;Choi, Yukyung;Choi, Kyoung-Hee;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51-86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laughterhouses, and determined serovars and genotyp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the isolates obtained from slaughterhouses and humans in Korea. Two hundred ninet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eces (n=136), carcasses [n=140 (cattle: n=61, swine: n=79)], and washing water (n=14) in nine slaughterhouses. Eleven human isolates were obtained from hospitals and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isteria monocytogenes was enriched and identifi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16S rRNA sequencing. Serovars and presence of virulence genes were determined, and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isolates were evaluated by the restriction digest patterns of AscI. Antibiotic resistance of L. monocytogenes isolates were examined against 12 different antibiotics. Of 290 slaughterhouse samples, 15 (5.17%) carcass samples were L. monocytogenes positive. Most L. monocytogenes isolates possessed all the virulence genes, while polymorphisms in the actA gene were found between carcass and human isolates. Serovars 1/2a (33.3%) and 1/2b (46.7%) were the most frequent in carcass isolates.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isolates from carcass and clinical isolates were grouped within serotypes, but there were low geographical correlations. Most L. monocytogenes isolates were antibiotic resistant, and some strains showed resistance to more than four antibiotic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monocytogenes are isolated from carcass and human in Korea, and they showed high risk serotypes and antibiotic resistance. Therefore, intensive attentions are necessary to be aware for the risk of L. monocytogenes in Korea.

상업적 도계공정 및 저장 동안 닭고기의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n Chicken Carcasses During a Commercial Chicken processing and Storage)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8-242
    • /
    • 1998
  • 상업적 도계공정에서 탈모, 내장적출, 세척, 냉각 및 위생수 침지후 그리고 도매 및 소매의 저장동안 닭고기의 호기성 미생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시료 분석은 1997년 12월부터 1998년 3월에 얻은 닭고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업적 도계공정에서 닭고기의 물세척 및 10초 동안 25ppm 염소 침지는 각각 호기성 세균(APC) 및 그람음성세균(GNC)의 증식을 유의적(P<0.05)으로 억제하였다. 저장 4일후 소매점에서 얻은 닭고기는 도매점의 닭고기와 비교하여 호기성 세균 및 그람음성 세균의 유의적 (p<0.05) 증가를 보였다. 소매점에서 얻은 닭고기 날개는 다른부위들보다 세대시간(GT)의 감소(P<0.05)를 보였다.

  • PDF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pathogens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 정영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4-440
    • /
    • 2002
  •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를 도체표면에서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신선육의 도축처리단 계별 총균수는 세척 후가 세척 전 보다 $10^1$~ $10^2$/$\textrm{cm}^2$ 더 높았다. 냉각 후 총균수는 냉각 전보다 $10^1$~ $10^2$/$\textrm{cm}^2$ 감소하였고, 수송 후 도체표면의 총균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 coli O157:H7 CDF1와 S. aureus CDF2 는 37$^{\circ}C$, A. sobria CDF3는 3$0^{\circ}C$에서 가장 성장이 좋았다. E. coli O157:H7 CDF1은 pH 4에서도 완만한 성장을 하였으나 A. sobria CDF3와 S. aureus CDF2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은 NaCl 농도 6%에서도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A. sobria CDF3는 4%에서 성장이 억제되었고, 6%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과 S. aureus CDF2 는 lactic acid 0.3%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뚜렷한 성장억제현상을 나타내었으며 0.5% 첨가구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A. sobria CDF3은 lactic aicd 0.3%에서도 성장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의 경우 1$0^{\circ}C$에서는 3일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배양 전 기간 동안 양호한 성장률을 보였으나 4$^{\circ}C$에서는 성장을 거의 관찰 할 수 없었다. A. sobria CDF3는 4$^{\circ}C$에서 3일째부터 성장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열내성을 측정한 결과 E. coli O157:H7 CDF1은 6$0^{\circ}C$에서 3분 열처리, A. sobria CDF3는 6$0^{\circ}C$에서 3분,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 S. aureus CDF2는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시 이들 균주가 관찰되지 않았다.

Tracing surrogate bacteria inoculated on hide through the beef slaughtering process

  • Kim, Seongjoon;Kim, Sukwon;Kim, Sung Kwan;Choi, Kwanghoon;Kim, Jinman;Choe, Nongh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5.1-5.5
    • /
    • 2022
  • Many countries have imposed regulations relating to concerns that hide contamination will affect the cleanliness of abattoirs. However, South Korea has not indicated any clear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urrogate bacteria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in abattoirs caused by contaminated cattle hides. The swab contact method and plate count method are used. Surrogate bacteria are found in most internal environments after the final process. These surrogates remained on the carcass even after the final washing process.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in South Korea that use surrogate bacteria to analyze contamination levels in abattoirs.

HACCP 적용을 위한 도계처리 공정내 미생물 오염의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Poultry Slaughtering Op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 홍종해;권혁무;고주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0
    • /
    • 1996
  •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which was adopted by Codex Alimentarius Committee for the safe meat and poultry production, is one of the urgent task for competing in the world trade markets. But there have been no useful analytical studies to identify the causes of contamination in the poultry meat processing plant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hazards during the operations by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for the poultry meat processing plant (20,000 birds capacity a day) located in Kangwon province. In spite of air contamination of work places, it may not directly affect the surface contamination of poultry meats. But the risk of Campylobacter jejuni/coli contamination was high. The number of total count was decreased about ten times, but remarkable changes of microbial contamination could not be recognized in each procedure during the operations. The washing water was already contaminated as much as $10^{3-6}CFU/ml$ in SPC before the operations. It means that to keep water tanks hygienic is a primary step to prevent the occurrences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e overflow and recirculation of water in scalding, washing, and chilling was aslo an important factor for a hygienic control.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s c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s for hygenic control in the poultry slaughtering plants on a small scale.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for scalding should be constantly maintained on a required temperature, and the overflow rate of 1~1.5 liter per bird. The carcass surface and the body cavity should be washed thoroughly and the cross-contamination due to facilities, workers, and tools should be prevented. The chilling water sholud be maintained under 5$\circ$C of temperature with ice and overflow, and residual chlorine level of 50 ppm.

  • PDF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고온증기세척수의 최적 조건 (Establishment of an Optimal Washing Condition of a High Temperature Steaming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rk)

  • 양한술;정진연;문상훈;박구부;주선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21-128
    • /
    • 2007
  • 본 실험은 고온증기세척수의 분무가 돼지도체 표면 미생물수의 감소와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처리전과 비교하여 처리후 복강쪽 및 체외표면에서 표면 미생물수는 감소하며, 분무온도가 증가할수록 총균수의 차이를 보여준다(P<0.05). 그러나 80℃ 이상의 온도 즉, 90℃의 고온증기 세척시 80℃의 분무온도와 비교하여 미생물수 감소 효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P>0.05) 고온증기 세척수의 분무 온도는 80℃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증기 세척수의 처리시간별 돼지도체 표면 미생물수의 변화는, 처리전과 비교하여 처리후 미생물수는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복강쪽 및 체외표면 모두 20초의 분무시간에 비해 30초 및 60초 처리시 총균수 변화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20초 세척시간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증기 세척수의 분무온도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육질평가에서 80℃ 이상의 온도에서 등심과 뒷다리 모두 높은 명도 값이 나타났다(P<0.05). 근육의 pH와 보수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특히, pH와 근장단백질용해성은 80℃ 이상의 온도에서 유의적인(P<0.05)으로 낮게 나타나, 70℃의 고온증기 처리시 돈육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세척시간에 따른 육색의 변화에서 등심과 뒷다리 모두 세척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 값은 증가하며, 30초의 증기처리 이후 명도와 적색도에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여 빠른 pH 감소의 원인으로 돈육의 보수력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70℃의 증기온도와 20초의 처리시간이 돼지도체 표면 미생물수를 감소시키며 돈육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적 조건이라 판단된다.

닭 도계 및 가공공정 중 유해미생물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The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hicken slaughtering and processing procedure)

  • 설국환;김기현;조수미;김영화;김현욱;함준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1호
    • /
    • pp.29-35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carcass and environments of chicken processing plant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0. Chicken slaughterhouse was visited 3 times and totally 4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hicken carcass before and after washing (n=14), chicken cuts (n=7), cooling water (n=8), brine (n=2), cutting knives (n=7) and working plate (n=2). Whole-chicken rinsing technique (for chicken carcasses) and swab technique (for working plate and knives) were us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addition, brine and chilling water from storage tanks were gathered using sterilized tubes and used as samples. Th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ALDI MS) for whole cell fingerprinting in combination with a dedicated bioinformatic software tool was used to identify the isolated microorganisms.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Bacillus cereus (n=8) and Staphylococcus aureus (n=9), were isolated form the chicken processing process (chicken carcasses of before and after chilling, chicken cuts, and working plate).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ose isolated microorganisms was analyzed using 21 antimicrobial agents. In the case of B. cereus, it showed 100% of resistance to subclasses of penicillins and peptides, and it also resistant to cephalothin, a member of crit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s (CIA), however there was no resistance (100% susceptible) to vancomycin and chloramphenicol. S. aureus showed 100% resistance to subclasses of peptides and some of penicillins (penicillin and oxacillin), however, it showed 100% susceptibility to cephalosporins (cefazolin and cephalothin). All of the tested pathogens showed multi drug resistance (MDR) more than 4 subclasses and one of B. cereus and S. aureus showed resistance to 9 subclasses. After the ban on using the antimicrobials in animal feed in July 2011, there would be some change in microbial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t still has a need to be analyzed.

돼지 도축공정 중의 미생물 증감 추이 (Incide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laughtering Process of Pig)

  • 차성관;서미영;김명호;김윤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05
  • 본 연구는 돼지 도축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단계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와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도축 5단계 즉, 내장적출 전, 내장적출 후, 최종세척 전, 최종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돼지 도체 복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10×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가을철 시료의 경우 소규모 도축장의 일반세균수는 모든 도축공정에서 10⁴∼10/sup 5/ CFU/㎠로서 10²∼10³ CFU/㎠의 균수를 보인 대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고, 냉장실 시료의 경우 대규모 도축장에 있어서 일반세균수가 10² CFU/㎠ 수준으로 10⁴ CFU/㎠ 수준값을 보여준 소규모 도축장과 일반세균수의 값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겨울철 시료와 봄시료에 있어서도 가을 시료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도축장은 모든 도축공정에서 중소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적은 미생물수준을 보였으나, 봄 시료의 경우 최종세척 전(10⁴ CFU/㎠)과 냉장실(10³ CFU/㎠)의 미생물수에 있어서는 도축장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최종 세척 공정의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세척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 둔부 및 복부 부위에서는 세척 효과를 보였지만, 턱 부위에서는 오히려 세척 후 미생물 수가 최종세척 전 단계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 도축공정 중의 미생물 증감 추이 (Incide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laughtering Process of Cattle)

  • 차성관;김윤지;김명호;신점호;이무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37
    • /
    • 2004
  • 본 연구는 도축장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 공정 단계에 따른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변화 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축 5단계 즉, 박피 후, 내장 적출 후, 최종 세척 전, 최종 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소 도체 흥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학적 분석을 위하여 가로세로 10${\times}$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 시료에 있어 대규모 도축장은 박피, 내장 적출 및 최종 세척 전까지의 도축단계에서는 $10^{0}$$10^2$CFU/ $\textrm{cm}^2$ 수준의 일반세균이 검출되어 $10^{0}$$10^3$ 수준을 보인 중소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1∼2 log값이 적은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나, 최종세척 후($10^2$CFU/$\textrm{cm}^2$)와 냉장실($10^1$CFU/$\textrm{cm}^2$)의 미생물 검출값에 있어서는 도축장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겨울철 시료는 봄철 시료에 비하여 도축장 규모에 차이 없이 일반세균이 1 log 값 정도 적게 검출되었다. 최종세척 공정의 시료채취 부위에 따른 세척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 둔부 부위에서는 세척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옆구리와 흉부 부위에서는 오히려 세척 후 미생물 수가 최종 세척 전 단계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