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xyl conten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3초

다공성 장석 및 산화그래핀을 적용한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 강도특성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2-reducing Cement Mortar using Porous Feldspar and Graphene Oxide)

  • 이종영;한중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시 시멘트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 저감과 천연모래 고갈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산화그래핀 및 다공성 장석을 적용하였다. 산화그래핀은 부착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3-aminopropyl)trimethoxysilane으로 기능화 시켰으며, 이를 적용하여 표준배합 모르타르 대비 시멘트 함량을 5% 감소시킨 배합조건으로 공시체를 제작하여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다공성 장석과 기능화된 산화그래핀이 적용된 시편과 표준배합시편의 압축강도는 각각 26MPa, 28MPa로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지반구조물에서 요구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멘트 함량감소에도 적정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다공성 장석에 대표적 포졸란 성분인 SiO2와 Al2O3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수화과정에서 Ca(OH)2와의 반응을 증가시켰고, 나노크기의 그래핀 표면이 수화생성물이 활발히 반응할 수 있는 반응면으로 작용하였으며, Carboxyl 작용그룹의 강력한 공유결합 특성이 수화물의 결합강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에 시멘트 함량을 감소시켰음에도 적정한 압축강도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칼슘용액에서의 저온 장시간 예비 열처리 방법을 이용한 레토르트 양파 조직의 연화방지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of Retorted Onion by Long Time, Low Temperature Blanching in Calcium Solution)

  • 최준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4-64
    • /
    • 2014
  • 레토르트 처리한 양파의 조직감(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칼슘용액에서 장시간 저온(LTLT)블랜칭을 실시하였다. 칼슘용액에서 예비 열처리한 양파는 일반적인 블랜칭과 비교시 고온 멸균한 후 양파의 조직감이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LTLT 블랜칭에 의한 견고성의 향상은 양파 조직의 pectin methylesterase(PME) 작용으로 carboxyl 그룹과 2가 양이온($Ca^{2+}$)간의 강한 가교결합과 관련이 있다. 0.5% 칼슘용액에서 $70^{\circ}C$, 120분동안 예비 열처리를 행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견고성을 가진 레토르트 처리된 양파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양파에서 PME의 활성도와 결합된 칼슘의 함량이 $70^{\circ}C$에서 가장 높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Mg^{2+}$와 같은 여러 2가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 계통 칼슘이 펙틴 분자를 상온에서 가수분해하는 기작이 효소 작용에 더해져 여러 칼슘용액 중에서 레토르트 처리된 양파의 조직감을 가장 견고하게 하였다. 향후 여러 가지 레토르트 처리된 야채들의 조직 연화 방지를 위한 최적조건 실험이 야채별로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표면처리 실리카를 충전한 에폭시 수지계의 물성에 관한 연구 : II.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Resin Filled with Surface-treated Silica : II. Properties of Cured Epoxy Resin)

  • 홍석표;최상구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232-239
    • /
    • 1990
  • ${\gamma}$-Glycidoxy propyl trimethoxy slilane, CTBN rubber (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GMA(glycidyl methacrylate) 등을 TEA(triethylamine) 및 BPO(benzoyl peroxide) 존재하에 결정성 실리카의 표면에 단계적으로 반응시켜 2.5~5.8%(중량%)의 피복율을 가진 표면처리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전체혼합물 중 0~60%(중량%)가 되도록 에폭시 수지 및 MTHPA (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와 혼합한 후 경화시켜 굴곡특성 및 열적특성을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충전재 함량 35~55%(중량%)에서, 실란/고무 또는 실란/고무/비닐로 처리된 실리카를 충전한 것은 에폭시 수지에 고무를 직접 3% 혼합하고 여기에 표면 처리하지 않은 실리카를 충전한 것에 비하여 굴곡강도와 Tg는 각각 평균 25%, 13% 높은 값을, 굴곡탄성율은 5%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국산(國産)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부식조성(腐植組成)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 (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Humic Fractions Isolated from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 김정제;양재의;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2
    • /
    • 1996
  • 시판(市販)되고 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17 가지를 수거(收去)하여 부식특성(腐植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에 함유(含有) 되어있는 내용물(內容物)의 종류(種類)는 다양(多樣)하였다. 예(例)를 들면 어박(魚粕), 유박(油粕), 주정박(酒精粕), 세르코-D, 부식토(腐植土), 톱밥.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나무 껍질, 돈분(豚糞), 계분(鷄糞), 우분(牛糞), zeolite, 골분(骨粉), 토룡분(土龍糞), 낙엽(落葉), 아미노산 발효(發酵) 부산물(副産物), 석회(石灰), 가축(家畜) 부산물(副産物), 농산(農産) 부산물(副産物) 등등이었다. 물리화학(物理化學)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비료가(肥料價)는 유기질비료종류(有機質肥料種類)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내용물중(內容物中)에는 부식화(腐植化)가 완전(完全)히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물(有機物)이 있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이것은 높은 C/N값으로 나타났다. 3. 대체(大體)로 한 가지 시료(試料)에서 추출(抽出)되는 humic acid의 양(量)이 fulvic acid의 양(量) 보다 많았다. 4. 부식화(腐植化)의 진전(進展)에 따라 humin의 상대적(相對的)인 양(量)도 증가(增加)하였다. 5. Total acidity는 phenolic hydroxyl group과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carboxyl group은 hydroxyl group과 alcoholic hydroctyl group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6. Humic acid와 fulvic acid의 UV 및 visible light absorption spectrum은 거의 같은 모양이었다. 7. 추출(抽出)된 humic acid의 종류(種類)는 B, P 그리고 Rptype이었다. Humic acid 중(中) 2가지는 B type, 3가지는 P type, 그리고 나머지 12가지는 모두 Rp type에 속(屬)했다.

  • PDF

설폰산기를 함유한 PVA막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응용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이영무;이선용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40-24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alcohol(PVA)의 hydroxyl 작용기와 sulfosuccinic acid (SSA)의 carboxylic acid 작용기의 반응을 통하여 열가교된 PVA막을 제조하였다. 설폰산기를 함유한 SSA는 PVA 매트릭스에 대한 가교제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소이온의 전도도를 높이는 역할 모두를 수행하였다. PVA의 가교도(degree of crosslinking)는 SSA의 함량으로 조절하였고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Xylene 및 benzene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물과 methanol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 20%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설폰산기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가교도와 확산계수, 기계적 물성 및 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등에 대한 PVA막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들 특성은 SSA함량에 의존하였다.

Hierarchically nanoporous carbons derived from empty fruit bunch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 Choi, Min Sung;Park, Sulki;Lee, Hyunjoo;Park, Ho Seok
    • Carbon letters
    • /
    • 제25권
    • /
    • pp.103-112
    • /
    • 2018
  • Hierarchically porous, chemically activated carbon materials are readily derived from biomass using hydrothermal carbonization (HTC) and chemical activ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empty fruit bunches (EFB) were chosen as the carbon source due to their sustainability, high lignin-content, abundance, and low cost. The lignin content in the EFB was condensed and carbonized into a bulk non-porous solid via the HTC process, and then transformed into a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consisting of macro- and micropores by chemical activation. As confirmed by various characterization results, the optimum activation temperature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 was determined to be $700^{\circ}C$. The enhanced capacitive performance is attributed to the textural property of the extremely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2861.4m^2\;g^{-1}$. The prepared material exhibited hierarchical porosity and surface features with oxygen functionalities, such as carboxyl and hydroxyl groups, suitable for pseudocapacitance. Finally, the as-optimized nanoporous carbons exhibited remarkable capacitive performance, with a specific capacitance of $402.3F\;g^{-1}$ at $0.5A\;g^{-1}$, a good rate capability of 79.8% at current densities from $0.5A\;g^{-1}$ to $10A\;g^{-1}$, and excellent life cycle behavior of 10,000 cycles with 96.5% capacitance retention at $20A\;g^{-1}$.

Segmental Motions and Associated Dynamic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of a Series of Copolymers Based on Poly(hexam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 Jeong Young-Gyu;Lee Sang-Cheol;Jo Won-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16-423
    • /
    • 2006
  • The dynamic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of poly(hexamethylene terephthalate) (PHT), poly(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nd their P(HT-co-CT) random copolymers in the amorphous state were examin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frequency. All the samples exhibited two main relaxation processes in the plot of tan ${\delta}$ versus temperature: the primary ${\alpha}$-relaxation associated with the glass transition and the secondary ${\beta}$-relaxation attributed to the local segmental motions of mostly cyclohexylene rings for PCT and to cooperative motions of methylene, carboxyl, and phenylene groups for PHT. Both ${\alpha}$- and ${\beta}$-relaxation temperatur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T content.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alpha}$-relax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T content, whereas that of the ${\beta}$-relaxation decreased. The sub-glassy secondary ${\beta}$-relaxation processes of PCT and PHT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operativity of main-chain segmental motions.

Butolphanol tartrate 함유 구강점막 점착성 [P(AA-co-PEGMM)] 공중합체 필름의 평가 (Evaluation of buccal mucoadhesive [P(AA-co-PEGMM)] copolymer films containing butorphanol tartrate)

  • 김준식;한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1호
    • /
    • pp.1-6
    • /
    • 2002
  • The mucoadhesive characteristics of [P(AA-co-PEGMM)] films by estima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analyzing surface energy and studying FT-IR was previously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buccal mucoadhesive dosage form of [P(AA-co-PEGMM)] films by mucoadhesive force measurements and dissolution tests were also investigated. Mucoadhesiveness of [P(AA-co-PEGMM)] films was compared with cr-PAA and cr-PEGMM films crosslinked with 3% 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EGDMA). The buccal mucoadhesive force of [P(AA-co-PEGMM)]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PEGMM. [P{AA-co-PEGMM (18 mole%)}] films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mucoadhesiveness than cr-PAA and cr-PEGMM films. The mucoadhesive force measured in normal saline (pH 5.0)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in phosphate buffer (pH 6.8) because of the pH dependence of hydrogels with carboxyl ions within the PAA. Moreover, the mucoadhesive force of [P{AA-co-PEGMM (18 mole%)}] films was at maximum after 2 hr attachment of buccal mocosa and it was maintained over $1\;N/cm^2$ for up to 10 hr. In dissolution studies, the release of butorphanol tartrate from [P(AA-co-PEGMM)]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PEGMM content, and films prepared with 18 mole% PEGMM gave almost zero order release kinetics.

세척시 알칼리에 의한 면섬유의 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kaline Degradation of Cotton Fabric in Washing)

  • 박선경;김성련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9-75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 of caustic soda with the effect of caustic potash on cotton fabric. Instead of caustic potash, sodium carbonate similar in chemical composition to caustic potash was used. The damage of cotton cellulose by repeated washing in various alkaline solutions at 8$0^{\circ}C$, 60 rpm was examined. The damage of cotton cellulose by the variation of copper number, carboxyl content,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retained tensile strength was estimated. The results obtained at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amage of cotton by caustic soda was severer than caustic potash. The retained tensile strength at 50 washing cycle in caustic soda was 59% and in sodium carbonate was 80%. 2. By adding soap to caustic soda, the damage of cotton fabric decreased because contact area between fabric and air diminished by foam. 3. Detergency of EMPA 101 in caustic soda was lower than sodium carbonate. Consequently, using caustic soda that damage fabric severely and have lower detergency for caustic potash is unreasonable.

  • PDF

오존에 의한 토양유기물질의 구조적 변화 특성

  • 정해룡;배기진;최희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48
    • /
    • 2001
  • The packed column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field soil, collected directly from the aquifer located at Bonchon industrial complex in K-city in order to characterize SOM reaction with ozone and to delineate the transformation of water soluble SOM after ozonation. As reaction time increased, water soluble organic matter increased, and this organic matter was in the range of 500∼1000 dalton. pH of extractant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zonation time. This Is because aromtic compounds in SOM were oxidized and carboxylic acid groups were formed. From the FT-IR spectra, the content of carboxylate increased as ozone injection time increased and hydroxyl group, which represents phenolic and alcoholic hydroxyl groups decreased. This is because oxidative ring fission formed carboxyl acid groups. This result provides a good agreement with pH decr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