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sulfa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Wood Vinegar Mixted with Insecticides on the Mortalities of Nilaparvata lugens and Laodelphax striatellus(Homoptera: Delphacidae)

  • Kim, Dong-Hun;Seo, Han-Eul;Lee, Sang-Chul;Lee, Kyeong-Yeol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2008
  • Effects of wood vinegar on the activity of various insecticid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ortality of two species of rice planthoppers, Nilaparvata lugens and Laodelphax striatellus. Wood vinegar itself did not show insecticidal activity on planthoppers. When the planthoppers were treated with wood vinegar mixed with one of insecticides such as BPMC, dinotefuran, imidacloprid, carbosulfan or insect growth regulators, the planthopper mortality induced by carbosulfan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wood vinegar in comparison with a single carbosulfan treatment. Wood vinegar showed no effect on other insecticides. In addition, the wood vinegar-carbosulfan mixture significantly reduced AChE activity of planthoppers, which is a target molecule of carbosulfan. This result suggests that wood vinegar has a synergistic effect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carbosulfan. Our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a potential role of wood vinegar in facilitation of activity of specific insecticides.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thiamethoxam의 살충효과 및 작용특성 (Action properties and insecticidal effects of thiamethoxam to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and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장철;황인천;유용만;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6-136
    • /
    • 1998
  • 신규화합물인 thiamethoxam의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생물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접촉 및 섭식독성반응과 속효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등을 다른 약제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Spray법을 이용하여 접촉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화진딧물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유기인계인 acephate 41.9 ppm, 카바메이트인 carbosulfan 5.2 ppm, 니코틴계인 imidacloprid와 thiamethoxam은 각각 1.1, 0.7 ppm을 나타냈다. 배추좀나방을 대상으로 엽침적법으로 처리했을 경우 섭식독성은 2령 유충의 경우 $LC_{50}$값이 imidacloprid 64.9 ppm, thiamethoxam 24.6 ppm, acetamiprid 15.2 ppm, 3령 유충에서는 각각 125.1, 42.7, 27.8 ppm이었고, 4령 유충에서는 각각 241.1, 44.5, 23.9 ppm으로 령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목화진딧물을 대상으로 한 약제의 속효성을 측정하는 반수치사시간 ($LT_{50}$)은 접종 후 약제살포시에 imidaclopid 26.6분, thiamethoxam 28.0분, carbosulfa 30.3분, acephate 41.7분의 순이었고, 약제살포 후 접종하였을 때에는 thiamethoxam 95.5분, imidaclopid 118.0분, carbosulfan 122.9분으로 진딧물에 직접 살포한 것이 살충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잎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의 약효성분의 이행성을 비교한 결과 $LT_{50}$값은 thiamethoxam 162.2분, imidacloprid 168.9분, carbosulfan 564.1분이었고, 하위 잎으로부터 최상위 잎으로의 이행성에서는 carbosulfan 2.3일, thiamethoxam 2.9일, imidacloprid 3.0일, acephate 8.8일이었다. 뿌리로부터 잎으로의 이행성은 carbosulfan 0.6일, imidacloprid 1.0일, thiamethoxam 1.0일, acephate 13.8일로서 thiamethoxam의 침투이행성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Spray법을 이용한 잔효성 시험결과 thiamethoxam과 imidaclopid는 약제처리 후 10일째에도 80%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잔효성이 우수하였다.

  • PDF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송사리(Oryzias latipes, Medaka)에 대한 독성시험 (Toxicity Test of Carbosulfan and Phenthoate on Killifish)

  • 배철한;이정석;조경원;박현주;조동훈;신관섭;정창국;박연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9-318
    • /
    • 2004
  •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벼재배용 살충제인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담수어에 미치는 급 만성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송사리(Oryzias latipes, Medaka)에 대한 급성독성시험(Acute Toxicity Test)과 생육초기 독성시험(Early-life Stage Toxicity Test)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 결과 carbosulfan과 phenthoate의 송사리에 대한 96시간 $LC_{50}$은 0.102, 0.167 mg/L로 비슷한 감수성을 보였다. 생육초기 독성시험 결과 carbosulfan의 경우 부화율은 80%이상, 부화기간은 $9\sim10$일로 나타나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처리농도 0.042 mg/L이상에서는 부화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으며, 척추가 휘어지는 형태적으로 비정상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 시험 종료후 생존한 송사리의 전장 및 체중 변화는 농도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0.017 mg/L이상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런 결과를 근거로 한 무영향농도(NOEC), 최저영향농도(LOEC), 그리고 최대허용농도(MATC)는 각각 0.0067, 0.017, 0.011 mg/L으로 산출하였다. phenthoate 처리구의 부화율과 부화기간은 처리 농도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부화후 생존율은 처리농도 0.076 mg/L 이상에서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처리농도 0.076 mg/L 이상에서는 척추기형과 유영이상을 보이는 이상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 종료후 송사리 전장 및 체중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농도 상관성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런 결과를 종합하여 NOEC, LOEC, 그리고 MATC는 각각 0.011, 0.029, 0.018 mg/L으로 결정되었다.

Carbosulfan, Furathiocarb 및 Benfuracarb 처리토양중 Carbofuran 방출특성 (Evolution of Carbofuran in Soils Treated with Its Aminothio Derivatives, Carbosulfan, Furathiocarb and Benfuracarb)

  • 이영득;최주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9-185
    • /
    • 1995
  • Carbofuran의 aminothio 유도체로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들인 carbosulfan, furathiocarb 및 benfuracarb를 논 및 밭상태 수분조건별로 토양에 처리하고 토양중 분해양상 및 carbofuran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처리한 유도체들은 토양중에서 carbamoyl N-S간 결합의 붕괴에 따라 carbofuran을 빠른 속도로 방출하였다. 토앙중 분해반감기는 $23{\sim}68$시간 범위로서 유도체 측쇄구조 및 토양수분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처리 5일후 유도체농약들의 carbofuran으로의 유효전환율은 $64{\sim}84%$ 범위였으며 유도체형태로의 처리는 carbofuran 직접처리에 비하여 토양중 carbofuran 전류수준의 급격한 상승을 완화, 직접살포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의 합성 및 살충 활성 검정 (Synthesis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N-Phosphinothioyl Carbofuran Derivatives)

  • 박홍열;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33
    • /
    • 2000
  •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PSC)는 대부분의 해충과 포유동물에 대하여 뛰어난 선택독성을 갖지만 몇몇 해충에 대해서는 낮은 살충력을 갖는다. PSC에 N-phosphinocioyl 기를 도입하여 10종의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살충활성을 벼멸구(brown plant hopper, Nilaparvata lugens), 복숭아혹진딧물(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와 두점박이응애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를 대상으로 검정하였다. 대조약제인 carbosulfan의 경우 125 ppm, 125 ppm과 63 ppm 처리시 각각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벼멸구에 대하여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규 합성된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250 ppm 처리시 배추좀나방과 벼멸구에 대하여 공히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화합물 10은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벼멸구를 각각 125 ppm, 125 ppm과 31 ppm에서 90% 이상 치사시켰는데, 이러한 화합물 10의 살충효과는 carbosulfan의 살충효과와 비슷한 것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들이 새로운 살충제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꿀벌 해충 등검은말벌 방제를 위한 화학 살충제 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Honey Bee Pes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 홍동의;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3-23
    • /
    • 2024
  • 등검은말벌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지역에 침입한 꿀벌의 중요한 포식해충이다. 양봉가들이 살충제를 활용하여 밀도 억제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현가능하고 과학적 방법과 적용 가능성이 정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봉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를 가지고, 등검은 말벌의 유충과 성충의 살충율과 반응 패턴을 조사하였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은 처리 후 30분 내 70% 이상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Bifenthrin, Cartap hydrochloride의 상대적으로 살충률이 낮았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의 반수치사약량(LD50)은 각 0.29, 0.65, 2.21 ㎍/bee이었다. 5령 유충에 대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연속 섭식 처리를 했을 때, 2일이후에 약효가 나타났고 72시간 후에는 모두 70% 이상 살충률을 보였다. 등검은말벌의 반수치사약량은 양봉꿀벌의 것보다 10-100배 더 높았다. 향후 이 살충제를 말벌 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약제방제 효과 및 피해 (Chemical Control of Grape Phylloxera, Daktulosphaira vitifoliae (Homoptera: Phylloxeridae) and Its Damage in Grapevine Yards)

  • 김동순;조명래;나승용;이준호;전흥용;임명순;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3
    • /
    • 2002
  •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 (Fitch))는 포도나무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뿌리에 혹이 생기게 하며 그 뿌리가 곧 썩어 결국 나무를 죽게 하는 포도나무의 치명적인 해충이다. 본 연구는 포도뿌리혹벌레 약제방제 체계를 수립하고자 몇 가지 살충제의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포도원에서 뿌리혹벌레 피해를 조사하였다. Carbofuran 3GR 40kg/ha 및 carbosulfan 20WP 10$\ell$/주(1,000$\times$)처리는 효과적으로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를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봄철 약제살포 후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는 수확기 때 다시 증가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봄철(5월중순)과 수확 후 carbofuran을 2회 살포한 과원에서 수량변화는 1988년 대비 2000년 30%증가하였다. 하지만 이 수량은 전국평균포도 수량보다 20%적었다 약제 방제를 하지 않은 과원에서는 수량이 1998년 대비 2000년 53%감소되었다. 또한 포도뿌리혹벌레 피해주가 1998년 3%에서 2000년 5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살균제의 벼 육묘상 처리에 의한 도열병 방제 효과 (The Effect of Fungicides against Rice Blast by the Nursery Treatment at Rice Seedling)

  • 강범관;민지영;김윤식;;정해연;조인준;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69-72
    • /
    • 2004
  • Carbosulfan과 합제로 개발한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그리고 probenazole을 벼 육묘상자에 처리하고, 처리 당일에 본답에 이앙한 후, 잎도열병과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 가지의 살균제는 모두 이앙하고 3개월 후까지도 잎도열병을 방제할 수 있었다. 특히 tricyclazole 합제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더 상승하였으며, 9월 6일 조사 때에 85.5%의 잎도열병 방제 효과를 보였다. 목도열병에 대한 효과는 probenazole이 가장 우수하였는데, 10월 14일에 조사한 probenazole 처리구의 목도열병 이병수율은 6.9%로 78.7%의 무처리구에 비하여 91.2%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합제는 잎도열병보다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저조하였으며, 두 처리구는 각각 47.5%와 61.1%의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침투이행효과가 우수한 살균제가 벼의 육모상 처리제로 개발이 가능해진다면 포장에서의 도열병 방제가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살충제에 의한 택사 잔딧물 방제 (Insect Pest Control of Aphides for Alisma plantago Cultivated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 신종섭;권병선;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5-259
    • /
    • 2000
  • 택사 2모작 재배시 몇가지 진딧물 살충제 처리가 살충효과와 택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딧물 방제가는 약제 살포후 5일 조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메소밀 액제 )·, Imidacloprid-Wp, 10%(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코니도]·, Carbosulfan-Wp, 20%(카보설 수화제)[포수]·, Methomyl-Wp, 45%(메소밀 수화제)[란네이트] 처리에서 97.5%, 98.9%, 98.4%, 97.0%로 각각 높았으며 약제 살포후 10일 조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Imidacloprid-Wp, 10%·Carbosulfan-Wp, 20%·Methomyl-Wp, 45% 처리에서 92.3%, 92.8%, 93.0%, 93.1%로 각각 높았다. 2. 10a당 건근수량 역시 무처리 232kg에 비하여 Methomyl-Wp, 45% 처리에서는 313kg으로 134%로 증수였으나 Methomyl-Lf, 24.1%·, Imidacloprid-Wp, 10%·, Carbosulfan-Wp, 20% 처리에서는 333kg, 341kg, 325kg으로 각각 143%, 146%, 140%의 높은 수량성으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3. 약해 조사에서는 기준량에서는 약해증상이 전혀 없었고 배량에서는 약하게 증상이 보였다.

  • PDF

국내 자생 억새를 가해하는 이화명나방의 방제 처리 효과 (Control Effect of Insecticides against Chilo suppressalis Walker of Native Miscanthus in Korea)

  • 유경단;이지은;장윤희;문윤호;차영록;송연상;이경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30-235
    • /
    • 2016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작물인 억새 포장에 발생하는 이화명나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남 화순의 억새 포장에서 2014년-2015년 2년 동안 이화명나방의 월동 유충 밀도와 억새의 생육, 벼용 살충제의 이화명나방 방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억새 포장에 발생하는 이화명나방의 월동 유충 밀도는 2014년보다 2015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2014년 무안 0%, 화순 6%, 산청 5%, 2015년 무안 1%, 화순 3%, 산청 3%로 유충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월동 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난 화순 포장의 억새는 1화기 및 2화기 유충 발생 시기인 6-11월까지 초장, 줄기 굵기, 엽수 등에서 생육 저하 등의 피해가 나타나지 않아 유충이 속대를 가해하는 것이 억새 생육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속대 가해 후 강풍으로 인해 줄기 부러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벼용 살충제의 처리는 억새 포장발생 이화명나방의 밀도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그 중 뷰프로페진 테부페노자이드수화제와 카보설판 메톡시페노자이드수화제의 방제가가 93.3, 95.2로 이화명나방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