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forestr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3초

송이 균환(菌環)의 발달(發達)에 따른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의 활성(活性) 변화(變化) (Changes i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ehydrogenase Activity by the Formation of Fairy Ring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태철;박현;정진현;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70-275
    • /
    • 1998
  • 송이산의 관리는 송이 균환의 환경관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송이산의 관리는 송이 균환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아울러, 균환부 생태계 내의 실질적인 활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송이 균환부를 송이균의 통과 여부에 따라 균환 통과부, 균환부, 균환 예정지의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탈수소효소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 고찰한 것이다. 송이 균환의 발달에 따라 토양내 양이온의 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지만, 유효인산이나 탄소, 질소의 함량은 균환부와 균환 예정지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한, 송이 균환부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일반 성숙토양에 비하여 훨씬 낮아 송이 균환부는 성숙도가 낮으며 유가물이 적은 토양에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송이산의 관리가 실질적으로는 송이 균환의 관리라는 것을 감안할 때, 송이산 관리의 기준으로 탈수소효소를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낙엽긁기의 처리를 위해서 유기물 분해도의 지표인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측정법을 활용하도록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민간 기업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 국제산림분야 민관파트너십 사업 활성화 방안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International Forestry Sector to Climate Change Based on Awareness Analysis of Private Enterprises)

  • 김지연;윤태경;한새롬;박찬우;이수경;김소희;이은애;손요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81-291
    • /
    • 2012
  • 산림은 탄소 흡수원, 수자원 함양, 생물종 보전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산림의 기능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제 산림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 안정적 재원 조달과 사업의 질 제고, 지속적 관리 등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민관파트너십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개발 재원의 다양화와 사업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기업의 산림 사업에 대한 인식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129개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사업 부문별 11개 업체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산림 사업과 관련된 정보 부족, 사업 절차의 복잡성, 투자 대비 낮은 수익 등의 이유로 기업의 산림 사업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향후 민관파트너십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수원국 내 기후변화 및 산림 자원에 대한 인식제고, 정부의 재정과 행정 및 제도적 지원, 정보 공유, 사업 후 성과 관리, 공공과 민간 부문 간 동등한 협력 관계 구축 등의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생장모니터링을 통한 임분변화예측 및 탄소흡수.저장량 평가 (Stand Development Estimate and Carbon Stocks/Removals Assesment using Stand Growth Monitoring)

  • 손영모;이경학;김래현;서정호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42-48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운두령 일대에 설치된 잣나무 등 5개소 생장고정조사구를 대상으로 생장변화를 구명하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운두령 산림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분생장변화는 유령림인 잣나무, 낙엽송, 소나무 임분에서 연년수고생장과 흉고직경생장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 임분은 이들보다는 생장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 및 직경변화 예측에 있어서는 신갈나무와 자작나무 임분의 직경급분포는 현재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다른 수종은 상위 직경급으로의 변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2005년 말 현재 운두령 모델림 내 총탄소량은 5,974천 탄소톤이고, 2005년도 한 해 동안 산림의 생장에 따른 총탄소량은 166,174 탄소톤이며, 순탄소흡수량은 155,481탄소톤으로 전년 대비 2,736탄소톤(1.8%)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운두령모델림은 온실가스 측면에서 볼 때 순흡수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순흡수량도 최근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산지전용에 따른 우리나라의 임목바이오매스 탄소배출량 (Biomass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nversion of Forest Land in Korea)

  • 권순덕;서정호;손영모;박영규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10-15
    • /
    • 2005
  • 본 연구는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산지전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측정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산지전용자료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최근 5년간 산림기본통계자료에서 추출하였으며, 임목바이오매스 탄소배출량은 임상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탄소전환계수를 이용하였다. 최근 5년동안 산지전용면적은 연평균 약 7.2천ha가 타용도로 전용되었으며, 임목축적은 연평균 약 212천$m^3$이 벌채되었다. 최근 5년간 산지전용에 따른 임목바이오매스 총탄소배출량은 연평균 105천tC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별 임목바이오매스 탄소배출량은 침엽수림이 54천tC, 활엽수림이 51천tC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산지전용에 따른 ha 당 탄소배출량은 연평균 약 14.4tC/ha으로 나타났으며, 임상별로는 침엽수림이 약 13.3tC/ha, 활엽수림이 18.5tC/ha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엽수림이 단위면적당 탄소를 더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정조사구 자료를 이용한 임분생장 해석 및 탄소흡수${\cdot}$저장량 평가 (Stand Growth Analysis and Carbon Storage/Removals Assesment using the Data of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 권순덕;손영모;이경학;정세경;김중명
    • 임산에너지
    • /
    • 제23권2호
    • /
    • pp.1-8
    • /
    • 2004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운두령 일대에 설치된 잣나무 등 6개소 생장고정조사구를 대상으로 생장변화를 구명하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운두령 산림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분생장변화는 유령림인 잣나무와 낙엽송 임분에서 연년수고생장과 흉고직경생장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 임분은 이들보다는 생장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 및 직경변화 예측에 있어서 신갈나무와 혼효림에서의 직경급분포는 현재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잣나무와 낙엽송 등은 유령림인 관계로 비대생장 속도가 빨라 대다수의 현재 직경급이 상위경급으로 이동할 것이 예측되었다. 2003년도말 현재 운두령 모델림내의 총탄소량은 전년에 비해 $2.7\%$인 149,000탄소톤 증가하였으며, 임상별로 보면 활엽수가 $50\%$, 흔효림 $34\%$, 침엽수림 $16\%$ 순이었다. 2003년도 한 해 동안 산림의 생장에 의해 흡수${\cdot}$저장한 총탄소량은 156,813탄소톤이며, 순탄소흡수량은 148,664탄소톤으로 전년 대비 2.613탄소톤$(1.8\%)$이 증가하였다. 임상별로는 침엽수림$(3.3\%)$, 흔효림$(3.1\%)$, 활엽수림$(2.8\%)$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운두령모델림은 온실가스 측면에서 볼 때 순흡수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순흡수량도 최근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국산 목질판상재의 반감기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Methods for Determining Half-Life of Domestic Wooden Panel among Harvested Wood Products)

  • 장윤성;한연중;박준호;손휘림;박주생;박문재;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09-317
    • /
    • 2014
  • 수확된 목제품(Harvested Wood Products, HWP)이란 제재목, 합판, 파티클보드 또는 목구조재, 건축내장재, 가구, 종이제품 등과 같이 나무를 원료로 사용하여 가공한 제품을 말한다. HWP는 수명을 다하여 폐기될 때까지 산림에서 생장하면서 저장했던 탄소를 장기간 제품 내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이유로, 탄소계정 시 목제품의 탄소저장효과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2011년 11월 더반에서 열린 1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서는 자국산 목재 만을 대상으로 하는 생산접근법을 HWP의 탄소계정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국가 간 논의 및 협상에 대응하고자 국산 HWP 탄소계정에 필요한 인자인 반감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국의 반감기 결정사례를 조사하고 국산 HWP 반감기 결정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였다.

Reduction of Energy and Food Security in DPRK due to Deforestation

  • SHIN, Eunsoo Justin;Ahn, Ji Whan
    • 에너지공학
    • /
    • 제27권3호
    • /
    • pp.63-67
    • /
    • 2018
  •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r the DPRK, is one of the poorest country in world facing chronic economic, energy and food security issues. Prolonged improper management of economic and natural resources has led to extreme poverty, malnutrition and critically vulnerability to nature's forces. Presistent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the DPRK has national and global consequences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whose offering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targeted interventions. Through REDD+ programs, the DPRK has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its credentials as a responsible nation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ts population. This study offers an enabling context under which suitable climate change action related to forestry can be identified and implemented in the DPRK.

갈색부후균 Tyromyces palustris의 수산대사와 목질분해 특성 (Oxalic Acid Metabolism and Decay Characteristics of Tyromyces palustris)

  • 손동원;이동흡;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54-59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ole of oxalic acid metabolism in the incipient decay of brown rott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ompositions of culture medium. Until 5days incubation, the amount of oxalic acid produced by Tyromyces palustris was increased, while pH was gradually decreased. The difference in oxalic acid production depending on carbon source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pH adjustment of media did not stimulate the production of oxalic acid. In this experiment, hemicellulose was hydrolyzed with 1% oxalic acid, so it is suggested that nonenzymatic acid hydrolysis of hemicelluloses might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cipient decay of brown-rot fungi.

  • PDF

Soil Properties in Two Forest Sites in Cox's Bazar, Bangladesh

  • Akhtaruzzaman, Md.;Osman, K.T.;Sirajul Haque, S.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280-287
    • /
    • 2015
  •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epths (0-10 cm, 10-40 cm and 40-80 cm) of two forest sites including one plantation dominated by teak with some other minor species and another degraded natural forest in Cox's Bazar, Bangladesh to compare their soil properties. Some vegetation parameters were also studied. For this study $10{\times}10\;m$ and $2{\times}2\;m$ quadrats were used for the tree and undergrowth parameters, respectively. Soil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rom these quadrats. Between the two forest types, the highest levels of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bas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found in soils of the plantation. The soils were acidic in nature and exchangeable Al concentrations were low. Teak dominated forest plantation had higher soil fertility index (SFI) than the degraded natural forest site. Steps for reforestation and appropriate prote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situation.

리그닌 화학구조 모델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Consideration of Lignin Models for Native Lignin Structure)

  • 황병호
    • 임산에너지
    • /
    • 제23권1호
    • /
    • pp.45-68
    • /
    • 2004
  • The word of lignin is derived from the Latin word 'ligum' meaning wood. Lignin is complex polymer consisting of coniferyl alcohol, sinapyl alcohol and p-coumaryl alcohol unit and has an amorphous, three 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which is hard to be hydrolyzed by acid. Lignin is found in the cell wall of plants lignified. The mode of polymerization of these alcohols in the cell wall lead to a heterogeneous branched and cross-linked polymer in which phenyl propane units are linked by carbon-carbon and carbon-oxygen bonds. This polymerization of precursors, p-coumaryl alcohol, coniferyl alcohol and sinapyl alcohol to lignin is formed by enzymic dehydrolyzation. The reaction is initiated by an electron transfer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resonance-stabilized phenoxy radical. The combination of these radicals produces a variety of dimers, trimers and oligomers and so on. Lignin research has been divided into basic and practical application field. The basic studies contains biosynthesis, chemical structure, distribution in the cell wall and reactivity by reductants, oxidants and organic solvents. The application research will be approached the reaction of lignin in various pulp making involving pulp bleaching and its effect on pulp qualities. Lignin also will be studied for the production of fine chemicals, polymer products and the conservation into an energy source like petroleum oil because the amount of lignin produced in pulp making process is more than 51,000,000 tons per year in the world. Both basic and application research must lay emphasis on the development for the utilization of lignin and the pulping process. But these researches can not be completed without understanding lignin structure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Therefore, this paper was focused on the review of lignin formulation which has been studied since 1948 in chronological order. This review was based on monomers, dimers, trimers and tetramers of phenyl propane unit structures which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different methods from various wood.ious w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