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Calculat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저탄소 경로 모형을 활용한 2050년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cenarios for Reducing GHG Emissions in Korea by 2050 Using the Low Carbon Path Calculator)

  • 박년배;유정화;조미현;윤성권;전의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6-570
    • /
    • 2012
  • The Low Carbon Path Calculator is an excel-based model to projec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2009 to 2050, which is based on the 2050 Pathways Calculator developed by the UK Department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DECC). Scenarios are developed to reduce GHG emissions in Korea at 50% based on 2005 levels by 2050 using a Low Carbon Path Calculator. They were classified in four different cases, which are high renewable, high nuclear, high CCS and mixed option scenario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scenarios in terms of GHG emissions, final energy, primary energy and electricity generation and examine the usefulness of that model in terms of identifying pathways towards a low carbon emission society. This model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ways toward a low carbon society and the level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for policy makers, stakeholders, and the public.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strategies in reducing GHG emissions in the long term.

탄소저감설계 지원을 위한 수목 탄소계산기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Tree Carbon Calculator to Support Landscape Design for the Carbon Reduction)

  • 하지아;박재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2-55
    • /
    • 2023
  •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기후 위기를 맞아 탄소성능 정량화에 기반한 정책들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신규 조성되는 도시녹지 계획안의 탄소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경분야에서 탄소저감설계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목 탄소계산기를 개발하고, 조경설계 실무에서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계 현장에서의 운용성 확보를 위해 범용성 높은 MS Excel을 포맷으로 선정하고, 식재설계의 업무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대표 수종 93종을 대상으로 수종별, 규격별 탄소흡수량과 저장량을 추출하였다. 특히 실무에서 비용적 한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수목 단가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수목 탄소계산기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식재 실험설계는 조경설계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중부지방 소공원에 대한 설계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고, 전후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목 탄소계산기를 사용한 설계안의 탄소흡수량과 탄소저장량이 각각 약 17-82%, 약 14-85% 높게 나타났다. 탄소성능 효율이 높아진 이유는 탄소성능 우수종으로의 교체와 더불어, 예산 범위 내에서 적극적인 추가 식재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설계가들은 사전 인터뷰에서 수목 탄소계산기에 대한 불신과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부담감을 가졌으나, 사용 후 유용성 및 편의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추후 조경분야 탄소저감설계의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수목뿐 아니라 조경성능 전반에 대한 탄소계산기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조경설계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정량적 데이터에 입각한 탄소저감설계를 도입하는 데 있어 유용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아파트 외부 공간 식재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nting Design Guidelines for Outdoor Space of Apartment for Increased Carbon Absorption)

  • 강연주;백규리;정인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65-82
    • /
    • 2024
  •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흡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 주거유형의 63.5%를 차지하는 아파트 외부 공간의 환경친화적인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외부 공간의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식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국내 건설업계 탄소 대응의 현실적인 해결책 제시를 목표로 공간 유형에 따른 식재설계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탄소흡수량 산출을 위해 교목은 수목 탄소계산기를, 관목 및 초화는 선행 연구자료를 활용하였고, 아파트 외부공간 관련 법령 및 건설사별 조경설계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주요 조경공간을 추출하여 중앙광장, 외곽숲, 수변공간, 어린이놀이터 및 주민운동시설, 소규모 정원으로 분류하였다. 탄소흡수량 분석의 표본 대상지는 '살기좋은 아파트상'의 2021년 이후 수상작중 서울, 수도권에 있는 아파트 단지로 선정하고, 위의 5개 공간이 포함된 1,000세대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공간별 조경수 탄소흡수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공간별 식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표본 대상지에 식재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결과, 기존 설계보다 탄소흡수량이 약 5-63% 증가하여 목표 탄소흡수량에 수렴하였다. 이는 식재 가이드라인의 적용시 탄소흡수량이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였다. 본 연구는 조경수의 탄소흡수량 데이터를 정리하여 설계 가이드라인을 수립한 것에 의의가 있으나, 추후 조경 분야의 탄소저감 설계를 위해서는 수목뿐 아니라 조경 자재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의 식재 설계 및 시공시 탄소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식재 데이터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탄소흡수 관련 설계의 지표 및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고 이에 따라 도시 환경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Gran적정법을 이용한 지하수 알칼리도분석방법 (Alkalinity Measurement of Groundwater using Gran Titration Method)

  • 김강주;이진원;최승현;김석휘;김현구;함세영;김락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1호
    • /
    • pp.10-16
    • /
    • 2019
  • Alkalinity is an essential parameter for understanding geochemical processes and calculating partial pressure of $CO_2$, dissolved inorganic carbon, and mineral saturation indices. The Gran Titration Method (GTM) is one of the most accurate methods for measuring the alkalinity in water samples. However, this method has not been widely employed in measuring groundwater alkalinity in Korea, probably due to inadequate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metho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was prepared to introduce GTM and related know-hows learned from the authors' experiences in measuring alkalinity. This paper also introduces a MS Excel-based alkalinity calculator as a handy tool for GTM.

부유식 해상풍력 유지보수 관리 적용을 위한 발전손실량 특성 분석 (Power Generation Loss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O&M Management of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 문성빈;안송강;성원경;오영진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13권1호
    • /
    • pp.5-14
    • /
    • 2022
  •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driving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to increase domestic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decrease carbon emissions. In offshore wind farms, maintenance approaches can be limited more often than onshore wind farms by marine weather conditions (wave height, etc.). Therefore, maintenance planning optimization is more important to minimize maintenance costs and power generation loss by downtime. Additionally, the power generation of a wind farm is affected by wind speed as well as wind direction because of the wake effect, so it is possible that power generation loss by downtime is also dependent on combinations of weather conditions (wind speed and direction) and the location of wind turbines for maintenanc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wind conditions and the locations of tripped wind turbines on power generation loss were explored for a hypothetical floating offshore wind farm. In order to calculate the power generation of a wind farm, a wake effect calculator was developed based on Jensen's formula. Then, a simple methodology of determining maintenance priorities that minimize power generation loss was proposed.

작업장에서 취급하는 CMR물질의 용량반응평가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Dose-Response Assessments for CMR Materials in the Workplace)

  • 이경화;최한영;김치년;노영만;최희진;박채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60
    • /
    • 2018
  • Objectives: Currently, there is only limited knowledge regarding the hazard of low-level exposure to CMR materials in workplace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reference concentration for workers($RfC_w$) from among the risk assessment tools proposed by the US EPA is widely used to set a provisional workplace exposure level(PWEL) for CMR materials for which there are no established Korea Occupational Exposure Limits(KOELs) or subjective chemicals for work environment measurements as regulated by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KMOEL). A simple European calculator of derived no effect level(SECO-DNEL) as proposed by REACH can also be used in place of $RfC_w$ to set the PWEL for chemic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acceptability of using SECO-DNEL as an alternative to $RfC_w$ when setting a PWEL for low-level exposures. Methods: The $RfC_w$ and DNEL for the five CMR materials of dinitrogen oxide, catechol, 2-phenoxy ethanol, carbitol, and carbon black were calculated using the dose-response assessments of the US EPA for $RfC_w$ and REACH guidance for SECO-DNEL, respectively. They were compared using paired t-tests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Results: For the five chemicals, the $RfC_w$ were 2.53 ppm, 0.10 ppm, 1.73 ppm, 1.66 ppm, and $0.05mg/m^3$, respectively, while the SECO-DNEL were 2.01 ppm, 0.11 ppm, 1.83 ppm, 1.77 ppm, $0.14mg/m^3$,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fC_w$ and SECO-DNEL.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CO-DNEL could be applied in place of $RfC_w$ to set a PWEL for low-level exposure to chemicals, especially CMR materials. To further ensure the reliability of SECO-DNEL as an alternative tool, more chemicals should be applied for calculation and comparison with $RfC_w$.

연료물성에 따른 경유 차량의 성능 및 에너지소비효율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Fuel Economy of Diesel Vehicles According to Change in Fuel Properties)

  • 노경하;이민호;김기호;이정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67-675
    • /
    • 2018
  • 점차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와 적은 연료로 많은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고효율 자동차에 대한 요구로 에너지소비효율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내의 에너지소비효율은 도심주행모드와 고속도로 모드를 주행하여 복합연비로 산정하고 5-Cycle 보정식을 이용하여 최종 에너지소비효율을 표시하고 있다. 에너지소비효율의 경우 카본발란스법에 의하여 산출되는데 이때 배출가스에 의해 계산이 됨에 따라 연소에 사용되는 연료는 자동차 성능과 에너지소비효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동차 연료의 경우 국내에서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품질기준에 따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데 정유사의 정제 방법이나 원유에 따라 품질 기준 내에서 물성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정 품질기준을 정하고 있음에 따라 연료별 큰 차이는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자동차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에 따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연료 중 여름철에 판매되는 경유를 정유사 직영점을 통해 구매하였으며, 각 시료별 물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소비효율을 측정하였다. 에너지소 비효율의 경우 현행 경유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산정식과 휘발유 에너지소비효율에서 사용되는 산출식을 이용하여 물성 적용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료별 밀도는 최대 약 0.9%의 차이를 보였으며, 순발열량은 1.6%의 차이를 보였으며, 현행 에너지소비효율 산출 결과에서는 도심모드에서 약 1%, 고속모드에서 1.4% 차이를 보였다. 휘발유 산출식을 이용한 산출에서는 현행 에너지소비효율 산출때 보다 약 6%정도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각 시료별 에너지소비효율은 최대 도심과 고속에서 최대 약 1.4%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