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icum specie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4초

Occurrence of Stem and Fruit Rot of Paprika Caused by Nectria haematococca

  • Jee, Hyeong-Jin;Ryu, Kyung-Yeol;Shim, Chang-Ki;Nam, Ki-Wo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17-321
    • /
    • 2005
  • Since 2000 severe rots on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paprika (Capsicum annum L.) has occurred in most surveyed glasshouses throughout the country. A total of 56 isolates of a fungus were consistently isolated from various plant parts such as fruit, stem, branch, and root collected from 16 farms in five provinces. Anamorph stage of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Fusarium solani based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fungus readily produced a sexual structure of perithecia on infected plant tissues and on agar media. Since the fungus formed abundant perithecium by a single isolate, it was considered as a homothallic strain of Nectria haematococca, the teleomorph of F. solani. Irregularly globose perithecia with orange to red color formed sparsely to gregariously on dead tissues of fruits and basal stems at the late infection stage, which is a diagnostic sign for the disease. Perithecia ranged from 125 to 220 ${\mu}m$ in diameter varied among isolates. Asci enveloping eight ascospores were cylindrical and measured 60-80x8-12 ${\mu}m$. Ellipsoid to obovate ascospores are two-celled and measured 11-18x4-7 ${\mu}m$. Ascospores were hyaline, slightly constricted at the central septum, and revealed longitudinal striations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species. This fungus that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has previously become a threat to paprika cultivation because of its strong pathogenicity and nationwide distribution.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antioxidant capacity and storability of paprika

  • Me-Hea Park;Hyang Lan Eum;Pue Hee Park;Dong Ryeol Baek;Siva Kumar Malka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23
    • /
    • 2024
  • Storage temperature profoundly influences the storability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However, the impact of storage temperature on storabi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prika are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orage attributes,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 paprika stored at 4, 10, and 20℃ for 14 d and then at 20℃ for an additional 5 d (14+5 d; retail conditions). Storage at 10℃ effectively mitigated pitting, stalk browning, shriveling, and decay while significantly enhancing the marketability of paprika. The fruits stored at 4℃ were prone to pitting, whereas those stored at 20℃ were sensitive to stalk browning and decay. Moreover, paprika stored at 10℃ exhibited highe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an those stored at 4 and 20℃, indicating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Additionally, storage at 10℃ upregul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antioxidant genes, catalase and peroxidase, suggesting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quality enhancement of paprika. Our findings suggest that paprika storage at 10℃ alleviates chilling injuries, preserves the quality and marketability, and enhance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aprika.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how temperature influences the quality and minimizes post-harvest losses during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aprika.

Comparison of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Stored in a Genebank

  • Lee, Ho-Sun;Jeon, Young-Ah;Lee, Young-Yi;Lee, Sok-Young;Kim, Yeon-G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32-43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after ten years of storage in the midterm storage complex ($4^{\circ}C$, 30-40% RH) at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C) Korean genebank maintain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Republic of Korea and to suggest the relative seed longevity and suitable monitoring intervals. The germination data from initial tests and after ten years of storage were compared to measure changes in viability during storage. The decline in seed viability varied greatly among seeds from -11.5% for Triticum sp. to 80% for melon. Coriander, crowndaisy, safflower, cosmos, Chinesebellflower, waxgourd, melon, castorbean, Welch-onion, hollyhock, wild barley, and tallfescu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viability of 34.2%, 73.4%, 36.5%, 30.0%, 40.2%, 71.3%, 80.0%, 65.9%, 45.5%, 51.4%, 53.0%, and 33.5%, respectively. Gardenpea, soybean, perilla, onion, wild rice, Italian-ryegrass, and pepper showed a 15-30% decline in viability, while the viability of morningglory, adzukibean, maize, and Capsicum sp. decreased by 15% to 5%. Chicory, radish, Chinese-cabbage, bottlegourd, watermelon, cucumber, pumpkin, Cucurbita sp., groundnut, kidneybean, clubwheat, sesame, wheat, Triticum sp., rice, barley, orchardgrass, buckwheat, and wild tomato showed changes in viability of <5%. The changes in storage viability also varied within families. The wild types of rice and barley showed rapid viability loss and presented different aspects from cultivars. Since seed viability of species, classified as index 1 or 2, showed germination losses >15% after ten years of storage, a viability test should be conducted with five year intervals, while species with germination loss of <15% (in index 3 or 4) can be retested at ten year intervals.

식물 유용 유전자의 발굴 및 산업적 응용 (Development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versatile-usable genes of plant)

  • Oh, Boung-J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0-60
    • /
    • 2003
  • Fruit ripening represents a genetically synchronized system that involves developmental process unique to plant species, The phenomenon of ripening includes changes in color, texture, respiration rate, flavor, and aroma. Ripe fruits generally exhibit increased susceptibility to pathogen infection. However, fruits as a reproductive organ have their own protection mechanism against pathogens to maintain their integrity during seed maturation. In several nonclimacteric fruits, such as cherry, grape, and pepper, that do not have an ethylene burst during ripening, resistance against phytopathogens increases during ripening.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 a causal agent of anthracnose disease in pepper plants (Capsicum annuum). We have established that C. gloeosporioides has susceptible and resistant interactions with pepper fruits during pre- and post-ripening stages, respectively. And we have interested in looking for a molecular mechanism that would explain the fungal resistance during ripening of nonclimacteric pepper fruit. In this presentation, a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pepper esterase gene (PepEST) th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resistant response will be demonstrated as an example of development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versatile-usable genes of plant.

  • PDF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의 내한성과 월동처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Cold Tolerance and Overwintering Site of Two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 intonsa)

  • 김철영;최두열;팔구니칸;엠디따핌호사인흐리틱;홍주안;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09-422
    • /
    • 2022
  • 시설재배지 고추(Capsicum annuum)에 주요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대만총채벌레(F. intonsa)이다. 본 연구는 이들 총채벌레의 월동 생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두 총채벌레는 동결감수성 곤충으로 낮은 저온(-15~-25℃)에서 체내빙결점을 보였다. 그러나 이 체내빙결점은 두 종 사이에 그리고 발육태에 따라 상이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경우 성충 -25.7±0.5℃, 번데기 -17.2±0.3℃, 약충 -15.0±0.4℃였고 대만총채벌레는 성충 -24.0±1.0℃, 번데기 -27.0±0.5℃, 약충 -17.2±0.8℃에서 체내빙결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두 종의 저온 피해는 체내빙결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일어났으며, 처리온도가 내려갈수록 그리고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만총채벌레에 비해 꽃노랑총채벌레가 저온에 대해서 높은 내한성을 보였으며 발육태에 따라 약충보다는 성충이 높은 내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두 종 모두는 치사 저온조건(-10℃, 2시간)에 노출되기 전에 0℃에서 2시간 미리 노출되면 저온 피해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급속내한성유기를 보였다. 또한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저온에 노출되면서 저온순화를 발현하였다. 이들 총채벌레의 월동처를 알아보기 위해 시설재배지 안팎에서 동계모니터링이 진행되었다. 동계기간(11월~2월) 두 종 성충은 야외에서 채집되지 않았지만, 시설재배지 내부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가 황색점착트랩과 잡초에서 포획되었다. 동계기간 시설재배지 토양시료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이 지속적으로 우화되었으나, 대만 총채벌레는 11월과 12월 토양시료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1월 이후 채집된 시료에서 성충 우화가 관찰되었다. 휴면에 따른 우화율 차이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상이한 일장을 이들 두 총채벌레 종에 처리하였다. 이 결과 꽃노랑총채벌레는 일장조건과 무관하게 우화한 반면 대만총채벌레는 단일조건에서는 우화하지 않았다. 한편 이들 총채벌레가 전파하는 Tomato spotted wilt virus도 동계기간 총채벌레가 채집된 잡초에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꽃노랑총채벌레가 겨울기간 시설재배지 내부에서 잡초를 먹이로 발육하는 반면, 대만총채벌레의 경우는 휴면상태로 토양 속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추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Resistance Evaluation Method for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in Capsicum spp.)

  • 김수;김동휘;김대현;한경숙;한유경;이성찬;조명철;양은영;김기홍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1-316
    • /
    • 2011
  • 고추 흰가루병은 시설재배의 증가로 경제적인 피해가 증가하는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 유전자원의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저항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S index라고 명명한 평가방법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최상위 발병 엽수/정단부 엽수) - (최하위 발병 엽수/정단부 엽수). 흰가루병에 의해 발병된 고추 식물체에서 이병엽율과 S index는 81%(P = 0.01)의 정의 상관으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그리고 34종의 유전자원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S index는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을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Capsicum frutescens 인 3CA131과 C. baccatum인 3CA0162, 3CA174, 3CA176은 흰가루병에 강한 저항성으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고추 흰가루병 저항성품종 육성에서 Sindex의 유용성을 증명한 결과이다.

고추 유전자원의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Resistance to Colletotrichum acutatum in Pepper Genetic Resources)

  • 김상규;노나영;허온숙;고호철;곽재균;허윤찬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93-100
    • /
    • 2012
  •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하고 있는 896점의 고추(C. annuum 430점, C. baccatum 219점, C. chacoense 14점, C. frutescens 70점, C. pubescens 2점, 미동정 8점)에 C. acutatum을 접종 후 $28^{\circ}C$에서 14일간 배양 후 탄저병 발병 정도를 평가하였다. 무상처 분무 접종에서 총 49점이 C. acutatum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9점은 고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고도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원들은 C. baccatum 4점, C. chacoense 1점, C. frutescens 4점이었다. 무상처 분무 접종에서 탄저병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원 중 42점을 상처 접종법으로 탄저병균을 접종하였다. 그 중 5점은 접종 5일 후에도 병반의 크기가 3%미만으로 나타나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모두 C. baccatum이었다. 저항성을 보이는 5점은 탄저병 저항성 육성을 위한 자원으로 이용가능 할 것이다.

보관용기 및 저장조건에 따른 고추 및 배추종자의 10년간 발아율 추이 (Change of Germination Rate for Chili Pepper and Chinese Cabbage Seed in Relation to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Conditions over 10 Years)

  • 소은희;이우문;박기웅;최근진;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64-871
    • /
    • 2014
  • 종자 저장 시 보관조건은 종자의 활력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급격한 종자활력의 저하는 발아율저하의 중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채소작물 중 고추(Capsicum annuum L.) 및 배추(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종자의 저장조건(저장온도 및 보관용기)에 따른 10년 동안의 발아율추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저장기간에 따른 두 종자의 활력유지를 위한 효율적 저장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추 및 배추종자를 각각 진공 알루미늄 호일 봉투, 폴리에틸렌(PET)병 및 종이봉투에 실리카겔과 함께 밀봉하여 상온, $15^{\circ}C$$5^{\circ}C$ 등 세 가지 온도조건 하에서 10년간 보관하면서 6개월마다 발아율검정을 수행하였다. 고추 및 배추종자는 $15^{\circ}C$$5^{\circ}C$에서는 보관용기에 상관없이 6.5년까지 저장하기 전의 활력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상온/종이봉투 조건하에서는 각각 4년째 및 5년째에 활력을 잃었다. 상온조건일지라도 진공 알루미늄 봉투에 보관 시 저장 6년까지 보관전의 활력을 유지하였고 특히 고추종자의 경우 저장기간 10년이 경과하여도 9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종자저장시설(장기 및 중기)이 없더라도 고추종자의 경우 상온/진공 알루미늄 봉투, 배추종자의 경우 $5^{\circ}C$/진공 알루미늄 호일 봉투에 보관한다면 10년 이상 90% 이상의 발아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활력유지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기간을 늦춰 발아검정을 위한 시료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에 대한 재배 및 야생형 고추 수집종의 병징과 저항성 조사 (Symptom and Resistance of Cultivated and Wild Capsicum Accessions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 한정헌;이원필;이준대;김미경;최홍수;윤재복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59-65
    • /
    • 2011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대한 고추 유전자원 및 시판품종 등 100점의 병징 유형과 저항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병징 유형과 TSWV 감염률은 접종 후 9, 12, 14, 45일에 각각 육안으로 조사하였으며, 접종 14일에는 효소면역항체법을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한 모든 개체의 비 접종 상엽에서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검정하였다. 감염된 대다수의 개체에서 잎 말림 증상이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 국내 상용 $F_1$ 품종과 재래종고추에서는 황화 증상이, 야생형 수집종에서 줄기괴사 증상이 특이적으로 관찰되었다. TSWV의 전형적인 병징으로 알려진 원형반점은 조사한 일부 계통에서 관찰되었고, 계통 내 개체간 바이러스 병징 발현 정도는 상이하였다. 상용 F1 4품종(Kpc-35, -36, -57, -62)과 야생형 고추 8계통(PBI-11, C00105, PBC076, PBC280, PBC426, PBC495, PBC537, PI201238)은 유묘기에 기계적 접종했을 때 TSWV에 대해 고도의 저항성을 보였다.

상이한 지역별 노지 고추재배지의 총채벌레 연중 발생 및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발병 (Thrips and TSWV Occurrence in Geographically Different Open Fields Cultivating Hot Peppers)

  • 엡디사에티차;권지윤;진가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43-51
    • /
    • 2024
  • 노지에서 재배되는 고추(Capsicum annuum)에 총채벌레가 발생하여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고추 주산지인 안동을 중심으로 상이한 세 지역의 재배지에서 고추 정식에서 수확 시기까지 총채벌레의 연중 발생을 보고한다. 총채벌레의 최대 발생기는 6월과 9월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두 주요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대만총채벌레(F. intonsa)였으며, 전체 총채벌레 발생의 87% 이상을 차지하였다. 기타 총채벌레는 이상의 두 우점종의 발생 패턴과는 상이하였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가 이들 우점종 개체들에서 검출되었으며, 바이러스 보독율은 대만총체벌레에서 높았다. 이들 지역에서 재배되는 고추가 TSWV에 내병성 품종들이지만, 일부 고추 개체들에서는 이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전형적인 병징을 보였다. 이에 보독충에서 TSWV를 분리하여 이 바이러스 S RNA 게놈에 존재하는 비구조단백질 일종을 암호화하는 NSs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저항성붕괴(resistance breaking: RB) 계통의 서열에 비해 안동에서 발생한 보독충에서 분리된 TSWV의 서열과는 상이하여, 이 지역에서는 RB 돌연변이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