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ella-bursa pastori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배추김치 발효에 미치는 냉이의 첨가 효과 (Effect of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on fermentation of Kimchi)

  • 이신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3
    • /
    • 2006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Capsella bursa-pastoris (L.) as an ingredient to improve the biological function and flavor of kimchi.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or kimchi with or without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CBM kimchi) during fermentation for 25 days at $10^{\circ}C$. The pH changes of CBM kimchi were slower than those of control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addition of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during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of CBM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log number of total bacteria was lower about 1.5 $log_{10}$ cycle in CBM kimchi than in control during fermentation.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MB kimchi and control. Sensory qualities of kimchi such as color,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addition of 3%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p<0.05).

  • PDF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에탄올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 및 항산화 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thanol Extract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홍정일;나경수;양한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6
    • /
    • 1994
  • Screening was performed on edible natural sources to examin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using the method of superoxide dismutase assay. Among 47 kinds of samples, the extract of Capsella bursa-pastoris showed a potent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1.6 unit / mg solid and was selected for further studies. In order to select optimal extraction solvent system, Cappella bursa-pastoris wa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were measured. Among them, the ethanol extract of Capsella bursa-pastoris possessed the highest level of activities. The ethanol extract of Cappella bursa-pastoris was found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autoxidation of soybean oil at 5$0^{\circ}C$ from peroxide value, conjugated diene value and refractive index. In the soybean oil containing 0.2% of ethanol extract, induction period was increased 2 times in comparison with control.

  • PDF

냉이 김치의 숙성시 품질 특성 및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epherd′s Purse(Capsella bursa-pastoris)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정외숙;전정례;임용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helf life of Shepherd's purse(Capsella bursa-pastoris)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Capsella bursa-pastoris was treated without or with blanching. The viable cells of lactic acid bacteria(LAB) of raw and blanched Kimchi after fermentation for 15 days at 1$0^{\circ}C$ were 7.91 log CFU/mL and 6.4 log CFU/mL, respectively. The viable cells of LAB of Capsella bursa-pastoris Kimchi at 1$0^{\circ}C$ were lower in the blanched one when compared to the raw one. The pH of raw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the blanched one during fermentation for 25 days at 1$0^{\circ}C$. The viable cells of total bacteria of the blanched Kimchi were lower than that of non-blanched one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The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 contents decreased more in the blanched Kimchi when compared to that treated without heat. The sensory quality of the blanched Kimchi was a little inferior to that treated without heat during fermentation.

  • PDF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물질의 정제 및 이화학적 성질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곽재혁;권미향;나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4-189
    • /
    • 1996
  •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산소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하여 소거작용을 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이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분획과 각종 column chromatographies (Amberlite XAD-2, Sephadex LH-20, Bio gel P-2, ODS)를 통해 정제하였고, 최종적으로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활성의 단일물질을 얻었다. 냉이 에탄올추출물 100 g으로부터 0.25 g의 정제물질을 얻었으며, superoxide anion radical을 50% 소거하는 농도$(IC_{50})$$0.58\;{\mu}g$이었다. 이 물질에 대해 각종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 phenol성 화합물의 배당체로 추정하였다.

  • PDF

냉이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psella bursa-pastoris Extracts)

  • 임현아;윤순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2-56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냉이의 천연 항균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식중독과 관련된 B. cereus, S. aureus, E. coli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냉이는 부위별로 에탄올 및 메탄올로 추출한 후 agar diffusion test를 통해 현재 보존료로 사용되고 있는 sodium benzoate와 비교하여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냉이 잎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은 $15{\sim}20$ mm, $14{\sim}20$ mm, 뿌리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은 $13{\sim}17$ mm, $12{\sim}14$ mm의 저해환을 보여 $11{\sim}15$ mm의 저해환을 보인 Sodium benzoate보다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냉이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2.5{\sim}20$ mg/mL로 나타났다. 냉이 추출물의 처리 후 SEM을 통해 세포를 관찰한 결과 세포 표면이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가 관찰되어 추출물 처리시 미생물의 세포벽과 세포막의 기능이 저해되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냉이의 메탄올,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균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Ephedra foliate, Alhagi maurorum, Capsella bursa-pastoris and Hibiscus sabdariffa Against Experimentally Induced Liver Injury in Rats

  • Alqasoumi, Saleh I.;Al-Rehaily, Adnan J.;AlSheikh, Abdulmalik M.;Abdel-Kader, Maged 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95-99
    • /
    • 2008
  • In a project to study the hepatroprotective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four plants Ephedra foliate Boiss, Alhagi maurorum Medikus,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 and Hibiscus sabdariffa L. were studied. The ethanol extract of the aerial part of the first three plants and the flowers of H. sabdariffa were subjected to hepatoprotective assays using Wistar albino rats. Liver injury induced in rats using carbon tetrachloride. The biochemical parameters;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SGOT), 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SGP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total bilirubin were estimated as reflection of the liver condition. Based on the good results of the biochemical parameters measurements, histopatholog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liver of rats treated with E. foliate. The normal appearance of hepatocytes indicated a good protection of the extract from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All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silymarin, the reference hepatoprotective drug.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발아특성(發芽特性) 및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보리의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Germination behavoir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and the Density Effect on Barley Grain Yield)

  • 장영희;하용웅;맹돈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7
    • /
    • 1986
  • 맥류잡초중(麥類雜草中) 냉이의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생밀도(發生密度)에 따른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을 구명(究明)코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한 바 몇가지 결과(結果) 얻었기에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1. 냉이가 낙종후(落種後) 7월(月) 중순(中旬)까지(성숙후(成熟後) 약(約) 2개월(個月))는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기간(期間)으로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으나 그 이후(以後) 8월(月)에는 80% 이상(以上)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냉이의 발아온도(發芽溫度)는 $15^{\circ}C$에서 발아(發芽)가 잘 되었고 $6^{\circ}C$ 이하(以下)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떨어졌으며, 명암(明暗) 어느 조건(條件)에서나 발아(發芽)에는 지장(支障)이 없었다. 3. 냉이의 휴면타파(休眠打破)를 위한 저온(低溫)과 고온처리(高溫處理)는 5^{\circ}C 저온(低溫) 3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40%, $40^{\circ}C$ 고온(高溫) 20일간(日間) 처리(處理)에서 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가 다소(多少) 인정(認定)되었다. 4.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클수록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적었으나 $m^2$당(當) 협수(莢數)는 많았으며 발생밀도별(發生密度別) 보리의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냉이 발생지수(發生指數) 500주(株)/$m^2$까지는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하였다. 5. $m^2$당(當)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 100~100 주(株)/$m^2$의 종자생산량(種子生産量)은 1,200천개(千個)~3,000천개(千個)였으며 그 중 경작(耕作)에 의한 매몰(埋沒) 또는 불량환경(不良環境) 등(等)으로 발아(發芽)되는 것을 극(極)히 적은 0.01~0.03%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6. 냉이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밀(密)할수록 보리의 감수율(減收率)은 컸으며 이는 냉이가 많이 발생(發生)하는 지대(地帶)는 냉이 발생밀도(發生密度)로서 보리 감수율(減收率)을 추정(推定)할 수 있는 자료(資料)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냉이의 식용부위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2-826
    • /
    • 1996
  • 냉이의 식용부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전초에서는 탄화수소류 12종, 알데히드류 2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5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10종 및 기타 2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탄화수소류 11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4종, 알코올류 5종, 에스테르류 1종 및 기타 2종, 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5종, 알데히드류 1종, 케톤류 2종, 알코올류 6종, 에스테르류 2종, 유기산류 1종 및 기타 7종이 확인되었다. 전초에서 다량 함유된 유기산류는 잎 부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뿌리 부위보다 잎 부위에 케톤류 및 알코올류가 더욱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잎 및 뿌리에서는 지방취 및 약한 왁스냄새를 부여하는 성분들이 확인된 반면 전초에서는 신선하고 단내음을 발하는 성분들이 확인되었고 착향료로서 이용되는 성분들의 함량도 풍부하여 냉이를 조리 및 가공에 이용할 경우 전초를 사용하는 것이 향기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 Flavonoid Compound Scavenging Superoxide Anion Radical Isolated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Kweon, Mee-Hyang;Kwak, Jae-Hyock;Ra, Kyung-Soo;Sung, Ha-Chin;Yang, Han-Chul
    • BMB Reports
    • /
    • 제29권5호
    • /
    • pp.423-428
    • /
    • 1996
  • A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isolated from Capsella bursa-pastoris was characterized by infrared (IR) spectroscopy, sugar analysis, ultraviolet (UV) spectroscopy, $^{1}H$ and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ies, and fast atom bombardment (FAB) mass analysis. The compound was assumed to be a flavonoid-O-glycoside from IR spectrum and UV absorption maxima. When the sugar composition of the compound was examin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gas chromatography (GC) of the acid hydrolysate, only glucose was det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UV spectrotroscopy by using shift reagents, the compound was supposed to be luteolin (5,7,3',4'-tetrahydroxy flavone) or chrysoeriol (5,7,4'-trihydroxy-3'-methoxy flavone) with glucose. Based on $^{1}H$- and $^{13}C-NMR$ spectroscopies, the compound was deduced as 7,4'-dihydroxy-5,3'-dimethoxy-${\alpha}$-6-c-glucosyl-${\beta}$-2"-o-glucosyl flavone. In FAB mass analysis the compound was finally characterized as 7,4'-dihydroxy-5,3'-dimethoxy-${\alpha}$-6-c-glucosyl-${\beta}$-2"-o-glucosyl flavone ($C_{29}H_{34}O_{16}$, M.W.=638).

  • PDF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조성이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강도 및 정유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persion Medium on Intens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Recovery of Essential Oil from Capsella bursa-pastoris by Steam Distillation)

  • 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7-833
    • /
    • 1996
  • 연속증류추출(SDE) 장치를 이용하여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분산매의 조성(pH, 당 및 염)에 따른 향기성분의 강도 및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분산매의 pH를 3, 5, 7및 9로 하여, 각 pH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패턴 및 냉이로부터의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pH를 조사한 결과 분산매의 pH가 7일 때 총 51종의 가장 다양한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중성 pH 부근에서 수증기 증류하는 것이 향기성분의 구성 및 회수율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냉이를 수증기 증류할 때 분산매의 sucrose 농도가 10%, 20% 및 40%로 증가함에 따라 획득된 정유량은 각각 18.1 mg, 29.0 mg 및 33.4 mg으로 40% sucrose용액에 의하여 증류할 때 정유 회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sucr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10%, 20% 및 40% socrose 용액으로 증류할 때 각각 27종, 32종 및 38종이 확인되었다. 냉이의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sur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기를 구성하는 휘발성 성분의 수는 더욱 다양하였으나 양적인 측면에서는 각 성분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 2%, 8% 및 15% NaCl용액으로 냉이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의 함량은 각각 33.0 mg, 12.5 mg 및 22.4 mg으로 2% NaCl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정유의 회수율이 가장 좋았으나 15% NaCl용액으로 증류할 때 가장 많은 수인 22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 및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