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rell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바다대벌레속(단각목, 바다대벌레과)의 1신종, Caprella multituberculum (A New Species, Caprella multituberculum (Amphipoda, Caprellidae) from the East Sea in Korea)

  • 이창목;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281-287
    • /
    • 1996
  • 동해 연안의 3개 지소에서 채집된 바다대벌레류 1신종을 Caprella multituberculum n. sp., 두드러기바다대벌레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이 신종은 일본산 Caprella soya Arimoto, 1934와 매우 유사하나 체표면에 나있는 작은 돌기들이 더 많고, 제 1 더듬이의 길이가 더 짧으며, 복부부속지가 더 작고, 제 2 악지의 propodus의 형태가 다른 점에서 쉽게 구별된다.

  • PDF

A new record of Caprella aino (Crustacea: Amphipoda: Caprellidae) from the southeastern waters of Korea, with comparison to Caprella mutica

  • Gi Beom Ryu;Won Gyu Par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455-459
    • /
    • 2023
  • 40 species of the family Caprellidae Leach, 1814 are recorded in Korean waters. Caprella aino Utinomi, 1943 was newly collected from seaweed farms from the southeastern waters of Korea. C. aino was firstly reported in Japanese waters in 1943. Adults of C. aino and Caprella mutica Schurin, 1935 are easily distinguished in that C. aino have pereonite II and gnathopod II without setae and two small tubercles of articulation of gills in pereonite III-IV, while C. mutica do pereonite II and gnathopod II covered with setae and those of pereonites III-VII with many tubercles. However, subadult C. mutica is hardly distinguishable from C. aino in that tubercles of pereonite III are less developed and they have inconspicuous setae of pereonite II and gnathopod II. Nevertheless, C. aino is distinguished from subadult C. mutica because adult C. aino have dorsal tubercles on pereonite IV, V, VI, VII unlike that of C. mutica. We report C. aino as a new record in Korean water with comparison of C. mutica.

한국 동해 해역의 바다대벌레류 (단각목) (Caprellids (Amphipoda, Caprellidae) from the East Sea in Korea)

  • 이경숙;이창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3-366
    • /
    • 1993
  • 한국 동해 해역의 바다대벌레류의 동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1972년 6월부터 1991년 11월 동안에 울릉도를 포함한 동해 연안의 23개 지소에서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한 결과 Caprella 속의 17종의 목록이 얻어졌다. 이들 중에서 Caprella cristibrachium Mayer, 1903, C. linearis 그리고 C. mixta Mayer, 1903 3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어 재기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Caprella brevirostris Mayer, 1903, C. decipiens Mayer, 1890, C. equilibra Say, 1818, C. gigantochir Mayer, 1903, C. tsugarensis Utinomi, 1947 그리고 C. verrucosa Boeck, 1872 6종은 동해 해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다. 이로써 한국산 바다대벌레류는 5속 30종이 된다.

  • PDF

Caprella Fauna (Amphipoda: Caprellidae) from off Yeonggwang Korea

  • Lee, Kyung-Sook;Hong, Soon-S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55-160
    • /
    • 2008
  • Eight caprellids are collected from the several islands off Yeonggwang, Jeollanam-do at June 2007. Among them Caprella chelimana Mayer, 1903 is newly added to the Korean caprellid fauna. We described this species with illustrations and mentioned some differences from Mayer's original descriptions. Caprella subtilis is also the first record since Mayer reported this species from East Sea (Sea of Japan) in 1903.

A New Record of the Cosmopolitan Species Caprella mutica (Crustacea: Amphipoda: Caprellidae) from Korean Waters, with Comparison to Caprella acanthogaster

  • Heo, Jun-Haeng;Shin, So-Yeon;Lee, Chang-Mok;Kim, Young-Hy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85-191
    • /
    • 2020
  • A newly recorded species Caprella mutica Schurin, 1935 belonging to the family Caprellidae Leach, 1814 was collected from the East Sea, Korea. Caprella mutica is native to the north-east Asia but is a well-known cosmopolitan and invasive species in many areas.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highly similar to C. acanthogaster Mayer, 1890.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 pereonites 1-2, and gnathopod 2. In this study, the Korean C. mutica is fully illustrated based on the mature specimens and compared to C. acanthogaster.

A new record of the species Caprella arimotoi (Crustacea: Amphipoda: Caprellidae) from Korean waters

  • Heo, Jun-Haeng;Choi, Jaehong;Kim, Young-Hy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443-447
    • /
    • 2020
  • A newly recorded species Caprella arimotoi Takeuchi, 1993, belonging to the family Caprellidae Leach, 1814, was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Korea.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very similar to Caprella verrucosa Boeck, 1871, with blunt dorsal projections on pereonites, oval-shaped propodus on gnathopod 2, and grasping spines on the pereopods 5-7. Caprella arimotoi originated from C. verrucosa and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cause they have mixed characteristics. However, C. arimotoi was classified because of several morphological differences. The newly recorded species C. arimotoi is discernible from C. verrucosa by a forwardly curved anterodorsal projection on head, elongated gills, slender pereopod 7, and lacking ventrolateral projections on pereonites 2-7. To date, C. arimotoi has only been reported in Japanese waters. So, our record is the first record in Korean waters and outside of Japan. In this study, the Korean C. arimotoi is illustrated based on the mature male specimens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female, focusing on the sexually dimorphic characters.

한국산 Caprella 속 (Crustaces: Amphipoda, Caprellidae)의 분류 (Faunal Studies on the Genus Caprella (Crustaces: Amphipoda, Caprellidae) in Korea)

  • Kim, Hoon-Soo;Lee, Kyung-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5-126
    • /
    • 1975
  • 1955년, 1964년 그리고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동해, 남해, 서해의 여러곳에서 채집된 바다대벌래(Caprella)를 동정한 결과 11종을 얻었다. 이것들중 다음의 9종은 한국 미기록 종이다. Caprella californica Stimpson, 1857, C. danilevskii Czerniavski, 1868, C. decipiens Mayer, 1890, C. equilibra Say, 1818, C. kroeyeri De Haan, 1849, C. polyacantha Utinomi, 1947, C. scaura Templeton, 1836, C. tsugarensis Utinomi, 1947, C. verrucosa Boeck, 1871

  • PDF

한국산 바다대벌레속(갑각강, 단각목, 바다대벌레과)의 1미기록종 (A Newly Record Species of Caprella(Crustacea, Amphipoda, Caprellidae) from Korea)

  • Lee, Kyung-Sook;Ye 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71-276
    • /
    • 2002
  •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남해의 바다대벌레류를 조사한 가운데 당사에서 채집된 시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그 중 Capreila japonica는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였다. 이로써 한국산 바다대벌레류는 5속 32종이 된다.

Systematic Study of Amphipoda (Crustacea) in Korea: V. Descriptions of One Hitherto Unrecorded Species and Two Known Species from Korean Waters

  • Lee, Kyung-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9-164
    • /
    • 1986
  • 저자는 1985년 제주도 모슬포 항구에서 채집된 표본이 한국 미기록종(Caprella gigantochir, Mayar 1903)으로 동정되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또 저자가 1981년 고군산 군도의 해양동물 채집보고서에 2종의 한국 미기록종 (C.algaceus Vassilenko, 1967, C. monoceros Mayer, 1980)을 기재없이 보고한 바 있다. 이들도 함께 기재하였다. 이로써 한국 해역에서 보고된 Caprella속의 종은 모두 21종이 되었다.

  • PDF

부산 동백점 연안에 서식하는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먹이생물 (Diets of the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in the Shore Area of Tongbaeksom, Pusan)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11-422
    • /
    • 1986
  • 부산해운대 동백섬 연안천해에 분포하는 노래미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미의 위내용물을 분석하고 환경생물을 조사했다. 노래미의 주된 먹이 생물은 amphipoda 및 isopoda에 속하는 갑각류였다. 특히, Gammaridae는 모든 계절에서 어느 연령군의 노래미의 위내용물로부터 우점적으로 출현했다. Caprella sp.는 산란직전의 $8{\sim}9$월에 많이 나타났다. Synidotea laevidorsalis는 위내용물에서 개체수로서는 조성비가 낮았지만, 용적으로서는 Gammaridae 다음으로 조성비가 높았다. 저연령어는 크기가 작은 Gammaridae, Caprella sp., Dynamene sp.를 많이 먹었으며, 고연령어는 크기가 큰 S. laevidorsalis, Polychaeta, Reptantia를 많이 먹었다. 노래미 암수 간의 먹이 생물 차는 없었다. 연중 적극적(positive)으로 선택섭식된 먹이 생물은 Caprella sp.였다. Gammaridae는 봄과 가을(10,11월)에는 적극적으로 섭식되었으나, 여름과 9월에는 소극적(negative)으로 섭식되었다. 먹이 생물의 섭식량은 고연령군일수록 많았다. 노래미가 성장할수록 섭식하는 먹이 생물의 종류는 다양했다. 소형의 먹이 생물은 노래미의 어느 연령군의 위내용물에서도 고루 출현하였다. 한편 대형의 먹이 생물의 경우에는 노래미의 나이가 많을수록 위내용물에서 출현하는 크기가 증가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