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tat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Stress Fracture of the Capitate

  • Cho, Hyung Joon;Hong, Ki Taek;Kang, Chang Ho;Ahn, Kyung-Sik;Kim, Yura;Hwang, Sung Ta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2호
    • /
    • pp.135-139
    • /
    • 2018
  • Most capitate fractures occur in association with additional carpal injuries, particularly scaphoid fractures. Isolated fractures of the capitate account for only 0.3% of carpal injuries, and stress fractures are one form of this fracture. We report the case of a 20-year-old male who had a stress fracture of the capitate after serving as an honor guard in the military. Conventional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of the right wrist revealed a minimally displaced fracture line located at the midcarpal aspect of the right capitate.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demonstrates a subarticular capitate fracture with diffuse bone marrow edema, small osteophytes, and irregularity of the midcarpal articular cartilage. We also review the carpal kinematics which possibly caused the stress fracture. Although stress fractures of the capitate are rare, they should also be accounted for with patients who perform repetitive motions of the wrist to a considerable extent.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열매 형태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achene morphology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정규영;정형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9-187
    • /
    • 2000
  • 광의의 한국산 개미취속의 16종류에 대하여 열매인 수과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과의 형태는 도피침상 장타원형, 도란형, 장타원형, 도란상 장타원형 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과에 존재하는 모용은 단열성 원추형, 사상형, 원주형, 두상형, 장축 두상형, 구형의 6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수과 선단에서 분포양상은 무모형, 원추상 모용 소생형, 원추상 모용 밀집형, 원추상-두상 모용 혼생형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수과의 형태와 이에 존재하는 모용의 특징은 분류군내의 개체간에는 변이가 없으나 분류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종을 구분하는 좋은 형질로 여겨졌다. 특히 두상형의 모용의 존재여부와 수과선단의 두상형의 모용과 원추형의 모용이 혼생하는 형질은 광의의 Aster속을 Kalimeris, Heteropappus, Aster, Gymnaster속으로 세분할 때, Kalimeris속과 Heteropappus속 및 Aster속의 Pseudocalimeris절을 구분짓는 형질, 즉 절 이상을 구분하는 형질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끈끈이주걱속 점착식 포충엽의 분비모 발달 (Development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Trapping Leaves of Drosera Species)

  • 이혜진;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57-64
    • /
    • 2009
  •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는 식충식물은 포충엽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에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여 곤충을 포획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여 식충의 기능을 수행하는 끈끈이주걱속의 비나타와 피그미 2종의 분비모 분화 발달양상을 형태구조 및 세포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분화초기 코일형태의 정단에서 발달하는 비나타의 엽원기는 표피에 미분화된 불규칙적인 형태의 모용이 밀생하였으며, 정단 부위는 신장 후 분지되면서 엽연과 엽신에는 capitate형과 peltate형 분비모들이 발달하였다. 피그미의 어린 포충엽은 엽연의 미분화된 모용들이 구심적으로 접힌 상태로 발달하나, 엽육조직 생장에 따라 길게 신장된 capitate형으로 분화되어 방사상으로 배열하였다. 실험된 2종의 포충엽은 분비모 특성에 의한 상 하피의 분화가 뚜렷하였으며, 상피 엽신과 엽연에는 분비물질을 방출하는 다양한 분비모가 밀생하였다. 상피의 경우, 비나타 분비모는 병세포가 신장된 capitate형과 무병의 peltate형으로 대별되고, 피그미는 병세포의 길이를 달리하는 capitate형만 발달하였다. 특히, 비나타는 엽연에 약 $2.2{\sim}3.4mm$에 이르는 긴 capitate형 분비모를 형성하였고, 피그미 엽연에는 위 유형과 함께 라켓 형태의 두정 부위를 지니고 약 $3.7{\sim}4.2mm$로 신장된 독특한 유형의 2 종류 capitate형 분비모가 분포하였다. 하피의 경우, 비나타에서는 작은 peltate형 분비모만 발달하였고, 피그미에서는 capitate형과 유사하나 capitate와 peltate형의 중간적인 특징을 지닌 매우 축소된 분비모를 형성하였다. 이들 분비모 두정부위의 분비세포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및 소포체, 골지체 등이 잘 발달하였고, 소액포들의 융합으로 큰 분비강이 형성되어 축적된 물질을 외부로방출하였다. 표피조직에 밀생하는 capitate 및 peltate형 분비모에서 방출된 점액성 물질은 포충엽 표면에 곤충 접촉 시 엽연 capitate형 분비모에 의한 굴곡운동과 엽신 분비모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더욱 능동적으로 곤충을 포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비나타 및 피그미에 대한 분비모의 구조적 정보는 이후 Drosophyllum, Pinguicula 등의 다른 점착식 포충엽 형성 종들의 분비모 분화 양상과 비교 분석되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Cytochemistry of cellulase in Capitate Glandular Trichomes of Pelargonium ${\times}$ fragrans (Geraniaceae)

  • Nam, Ko-Kyung;Lee, Kyung-Whan;Lee, Sang-Eun;Kim, Eun-Soo
    • 한국전자현미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현미경학회 2007년도 제38차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5-78
    • /
    • 2007
  • The localization of cellulase were investigated in the capitate glandular trichomes of Pelargonium ${\times}$ fragrans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secretory cells of capitate trichomes involved in biosynthesis and its secretion. Secretory material is transported to the space between the plasma membrane and cell wall, and subsequently accumulated in the secretory cavity. The splitting of secretory cell wall during the formation of secretory cavity is suggested that wall-forming enzymes, such as cellulase, may contribute to the wall separation process. Cellulase reaction product was localized in the secretory cell, the secretory cavity and in the subcuticular wall of glandular trichomes. Reaction products were present over fibrillar matrix in the secretory cavity associated with both the inner wall and the subcuticular wall.

  • PDF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잎에 분포하는 두상형 분비모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apitate Glandular Trichome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 신현철;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59-170
    • /
    • 1998
  • The glandular secretory system of the capitate gandular trichomes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glandular trichome was consisted of three cell layers; an basal cell layer, a stalk cell with single-celled intermediate layer and a discoid secretory layer with thickened cuticle. The secretory cell was dense, rich in mitochondria, rER, plastds, Golgi complex and had many vesicular structure. Typical plastids with reticulate body and plastoglobule were present in glandular trichome. The tytoplasm of secretory cell was filled with osmiophilic secretory materials. The secretory vesicles, originated from Golgi complex, appeared as membrane bounded vesicles and secreted to the outer wall surface. The presences of well developed rER, mitochondria, Golgi complex, and membrane-bounded vesicles fused with plasmalemma in the secreting cells indicate that the granulocrine mechanism of secretion was occurring in T. quinquecostatus. Subcuticular cavity was developed between the cuticular layer and the secretory cell wall, and it formed above the secretory cell upon separation of cuticle-wall.

  • PDF

설악산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신종 : Dictyostelium caudabasis (New Species of dictyostelid in Mt. Seorak, Korea : Dictyostelium caudabasis)

  • 심규철;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63-167
    • /
    • 1998
  • One new species of cellular slime molds, Dictyostelium caudabasis sp. nov. Shim et chang, is isolated from soils in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f Seorak monutain, South Korea. D. caudabasis is charaterized by small sorophores, scarecely phototrophic, irregularly or sparsely branches, capitate-simple or capitate-compound and sometimes obtuse-simple tips, and conical and sometimes clavate bases. Spore are elliptical, $6.52~4.82{\times}3.40~2.83{\mu}m(avg.\;5.72{times}3.17{\mu}m$), L/W index 1.70-1.92(avg. 1.80) without polar grnules.

  • PDF

Structural Features of Glandular and Non-glandular Trichomes in Three Species of Mentha

  • Choi, Jang-Sean;Kim, Eun-Soo
    • Applied Microscopy
    • /
    • 제43권2호
    • /
    • pp.47-53
    • /
    • 2013
  • The trichomes on leaves of three species of Mentha such as M. spicata, M. suaveolens, and M. piperita var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imple non-glandular trichomes and peltate glandular trichomes were distinctively occurred on these leaves. In M. spicata, short and sharp non-glandular trichomes were dominantly appeared on adaxial surface, whereas capitate glandular trichomes were commonly localized on abaxial surface. In M. suaveolens, non-glandular trichomes were identified with simple unbranched and branched. Unbranched trichomes which were sharp and pointed in shape occurred on adaxial surface, however, branched and v-shaped trichomes appeared abundantly on abaxial surface. Peltate trichomes consisted of a large eight-celled head. Small capitates trichomes consisted of a cylindrical head with an one-celled uniseriate stalk. In M. piperita var, single non-glandular trichomes and peltate trichomes were present on adaxial surface. Small capitate trichomes consisted of a globose unicellular head with a two- or three-celled uniseriate stalk. Peltate trichomes were distinctly present on abaxial surface, whereas they were not observed on adaxial surface. The trichomes were less dense in this species. Peltate trichomes consisted of a large eight-celled head, with an enlarged secretory cavity, attached to an one-celled short stalk.

Pelargonium peltatum 분비모의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f Glandular Trichomes in Pelargonium peltatum)

  • 조범석;고경남;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25-136
    • /
    • 1999
  • 제라늄(Polargonium peltatum) 분비모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Pelargonium peltatum의 분비모는 형태와 크기에 따라 short-stalked capitate glands (Type I)와 long-stalked capitate glands (Type II)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두 종류의 분비모는 모두 배축면의 엽백과 엽병에 많이 분포하였다. 분비모는 1개의 분비세포, 3개의 병세포, 1개의 기부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다수의 활면소포체와 색소체, 액포, 골지장치, 미토콘드리아 등을 가지고 있었다. 분비세포의 액포 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자주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분비모의 주된 분비전구물질인 phenolic compound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3차원 영상을 이용한 다트 던지기 운동에서의 주상골, 유두골, 월상골의 움직임 분석 (The Motion Analysis of the Scaphoid, Capitate and Lunate During Dart-Throwing Motion Using 3D Images)

  • 박찬수;김광기;김유신;정창부;장익규;이상림;오수찬;유도현;백구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4-150
    • /
    • 2011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tion of the scaphoid, capitate, and lunate during dart-throwing motion by three-dimensional modeling. Five series of CT images of five normal right wrists were acquired from five motion steps from radial extension to ulnar flexion in the dart-throwing motion plane. Segmentation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bones from CT images was performed using Analyze. Distances among centroids of the scaphoid, capitate and lunate and angles between principal axes of three carpal bone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motion by using MATLAB. As the wrist motion changed from radial extension to ulnar flexion,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bones decreased. The scaphoid and lunate rotated less than the capitates during dart-throwing motion. This study reports the Three-dimensional in vivo measurement of carpal motion using CT images.

수생형 통발(Utricularia japonica)의 흡입식 포충낭 형태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Suction Trap in Aquatic Utricularia japonica)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109-1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뿌리 없이 분지된 줄기에서 기원한 포충낭으로 먹이를 빠르게 포획하는 수생형 통발 포충낭의 형태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입구 부위 및 덧문에 발달하는 구조들이 능동적 먹이 포획에 있어 다른 어느 구조보다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화되어 있다. 포충낭 입구에는 분지된 안테나 및 부속지들이 위치하고, 덧문 중앙 부위에는 4개의 감각모가 발달하여 먹이의 접촉자극을 감지하였다. 자극신호는 입구의 무병, 유병의 다양한 capitate형 분비모들이 소수성 점액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이들을 피복하며 덧문을 닫아 먹이를 포획하였다. 덧문 안쪽의 threshold는 입구부분, pavement epithelium 층, 내부 구역으로 구분되며, 입구와 내부구역의 중간에 있는 pavement epithelium 층에는 소수성 큐티클이 피복된 밸름층이 형성되었다. 먹이가 포충낭의 내강으로 들어오면 내벽에 발달하는 2분지선과 4분지선들이 효소 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이들을 소화 및 흡수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이와 같이 통발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안테나, 감각모, 덧문, capitate형 분비모, 내벽의 분지선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와 기능이 분화되어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였다. 이후 포충낭의 분화발생을 생장단계별로 추적 연구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접목시키면 더 유용한 통발속 포충낭 구조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