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nabis 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대마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포도당 흡수 개선 효과 및 기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and Mechanism of Improving Glucose Uptake of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 진혜린;유가람;김혁;조규형;김기현;임동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59
    • /
    • 2023
  • Objectives: Despite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the roots and stems of hemp based on literatures, active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mprovement of glucose uptake using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Methods: Antioxidant contents in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were examined with total phenolic, tannin, flavonoid assay. Anti-inflammatory properties were tested in lipopolysaccharides-treated RAW264.7 cells. Efficacy of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on glucose uptake was investigated using fluorescent glucose analog (2-NBDG) in palmitate-treated HepG2 cells. The mechanism of action on metabolism was examined by western blot. Resul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icacy were greater in stem extracts, but improvements in glucose uptake performed under various condition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root extracts. It is assumed that Cannabis root extracts exhibited an improvement in glucose uptake through mechanisms such a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not depending on gene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mechanisms and substances that exhibit the anti-diabetic effects of Cannabis roots and stems.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annabis sativa based on a Scientometric Analysis

  • Eunsoo Sohn;Sung Hyeok Kim;Sohee Jang;Se-Hui Jung;Kooyeon Lee;Eun-Hwa Soh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esearch on bibliometric features of cannabis by applying scientometric analysis method, and to approach experimental research evaluation based on it. A total of 30,352 articles on cannabis published since 2001 from SCOPUS were analyzed using KnowledgeMatrix Plus and VOSviewer softwar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research activities in countries where cannabis is legalized (Canada, the United States, the Netherlands) and Asian countries where its use is illegal. Related to medical cannabis,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on pain, epilepsy, seizures and brain diseases such as multiple sclerosis. In the field of basic research, the number of pharmacological studies of cannabis on the cannabinoid type 1 receptor signaling pathway and inflammation and obesit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ubsequent experimental studies have compar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our parts of Korean cannabis such as root, stem, leaf, and bark. Consistent with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scientometric analysis, all parts of C. sativa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COX-2, NO/iNOS and TNF-α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se attempts provide an experimental research approach based on scientometric assessment.

  • PDF

네트워크 분석기반을 통한 대마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약리효능 예측연구 (A Study of the Predictive Effectiveness of Stem and Root Extracts of Cannabis sativa L. Through Network Pharmacological Analysis)

  • 신명자;차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190
    • /
    • 2024
  • Canabas sativa L. (marijuana and hemp)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식물로 식품, 의약품 등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약리학을 이용하여 대마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기능적 효과를 예측하고 이들의 새로운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은 GC/MS로 확인하였고, 성분과 단백질 간의 네트워크는 STIHIC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성분과 연결된 단백질의 작용기전은 KEGG pathway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효과는 실시간 PCR을 이용하여 lysophosphatylcholine 유도 THP-1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줄기 및 뿌리 추출물에서 각각 21개 및 32개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줄기 및 뿌리의 성분과 연결된 단백질은 각각 147개, 184개의 단백질이었다. KEGG pathway 분석결과 MAPK signaling pathway를 포함한 69개의 경로가 추출물에 의해 공통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네크워크를 이용한 추가 조사 결과, Terpenoid backbone biosynthesis 추출물 및 MVK와 MVD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에 의해 LPC 유도 THP-1 세포에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마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결과는 대마의 효과를 예측하고 연구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Melanogenic Effect of Cannabis sativa Stem Extracts Fermented with Weissella paramesenteroides

  • Taehyun Kim;Jin-Woo Kim;Huitae Min;Jisu Park;Taejung Kim;Geun-Hyeong Kim;Byung-Joon Park;Jeong Kook Kim;Young-Tae Park;Jin-Chul Kim;Jungyeob Ha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0-256
    • /
    • 2023
  • Cannabis sativa (CS) has been in the spotlight not only for its medical uses but also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As fermented cosmetics are known to have various health benefits, they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Her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S stems fermented using various gut microbes.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melanin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melan-a cells containing CS stems fermented with Weissella paramesenteroides (CSWP) showed considerably reduced melanin content. Additionally, CSWP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several melanogenesis factors, tyrosinase-related protein-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CSWP could provide a new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kin-lightening agents.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Cannabis sativa L.)

  • 강덕경;김영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1-586
    • /
    • 2021
  • COVID-19 (Corona Virus Disease 2019) 감염증에 의한 주요 사망원인은 급성폐렴과 신체 전체에 나타나는 혈전증이며, 증가된 면역반응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은 고염증 상태와 함께 비정상적인 혈전생성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의 사용이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대마 추출물이 COVID-19 증상의 완화 및 치료에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마 성분이 항혈전 활성에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대마 잎, 줄기, 뿌리, 미성숙 꽃 및 종실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를 대상으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부위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마 꽃 추출물에서 강력한 혈액응고인자 저해에 의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마꽃 추출물은 적혈구 용혈활성도 강력하여 향후 항혈전 활성물질의 분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에 대한 최초 보고이며, 향후 국내에서 연구 및 사용이 제한된 대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대마의 채종재배를 위한 파종적기 (Optimum Sowing Date for Seed Production in Hemp)

  • 박규철;박태동;박인진;권병선;김상철;정병준;김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4-428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s, Apr. 25, May 15, June 5 and June 25, on sex ratio, growth and seed yield of "Chonnam species", local variety of hemp plant. The results were following as. : In sex ratio according to the different seeding dates, the revealating rate of female and male plants were highest on June 25, and Apr. 25, respectively. The length of stem, the number of branches, nodes, and seed yield were increased on May 15, but these charateristics were rapidly reduced on June 25 because of short growing period. Yield of seeds was increased by 24% on May 15 comparing with 1.30ton /ha on Apr. 25.

  • PDF

대마의 재식밀도별 섬유수량 및 성발현 비율 (Fiber Yield and Sex Ratio of Hemp in Different Planting Density)

  • 권병선;정동희;문윤호;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30-235
    • /
    • 1996
  • 재식밀도가 대류의 자웅성의 발현과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1995년 3월부터 1995년 8월 까지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특작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재식밀도 60$\times$20cm(8,333주/10a)의 소식에서 가장 길었고, 경태는 재식밀도 40$\times$20cm:12,500주/10a)에서 가장 굵었다. 2. 피마율은 재식밀도 40$\times$5cm(50,000주/10a)의 최다 밀식구에서 가장 높았고, 섬유수량 역시 가장 높았다. 3. 자웅성비의 변화는 40$\times$5cm(50,000주/10a)에서 자성의 비율이 가장 높아서 밀식으로 인한 자성의 비율을 높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 PDF

대마 품종의 삽목 증식율 (Rooting Ratio of Hemp Varieties)

  • 권병선;김상곤;정동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5-42
    • /
    • 2001
  • 대마의 효율적인 순계 보존 및 번식(증식)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삽수의 채취부위, 채취시기, 삽수의 길이 및 저장기간 등에 따른 활착 비율의 변이를 조사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수 채취 부위에 따른 활착율의 변이를 보면 채취시기의 조만에 관계없이 신초 나 측지의 삽수가 줄기 삽수보다 높았다. 2.삽수 채취 시기에 따른 활착율의 변이를 보면 저장 기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7월 5일(수확적기)이나 7월 10일(수확적기 5일 후)의 삽수가 7월 15일(수확적기 10일 후) 삽수보다 높았다. 3.삽수 길이에 따른 활착율의 변이를 보면 채취부위의 선택에 관계없이 loom의 삽수가 5cm나 15cm의 삽수보다 높았다.

  • PDF

저 마약형 대마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및 품종군 분류 (Cluster Analys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Hemp (Cannabis sativa L.) Germplasm)

  • 문윤호;송연상;정병춘;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83-490
    • /
    • 2006
  • 저 마약형 대마 품종 육성에 이용하고자 네덜란드 CPRO에서 도입한 저 마약형 유전자원의 특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입 유전자원들은 고위도인 네덜란드에서 재배했을 때에 비해 중위도인 우리나라에 재배했을 때 개화소요일수가 짧아 경장이 작았다. CBD 함량은 두 지역간 차이가 다소 있는 경향이었으나 THC 함량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2. 개화소요일수, 경장, 경직경, 생경중 및 섬유수량 등 대마 생육형질들은 서로 간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cannabinolds 함량과의 상관에서는 CBD 함량과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THC와 CBN 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공시한 44 도입종과 재래종을 군집분석의 Q 상관으로 도출된 r = 0.80으로 선을 그었을 때 3개 품종군으로 나누어졌으며 품종군에도 속하지 않는 것이 4품종이었다. 4. 분류된 모든 품종군은 개화소요일수와 경장이 짧아 우리나라에서 섬유용 품종으로 적합하지 않았고 품종군으로 분류되지 않은 것들 중 도입종 IH3은 THC 함량이 0.08%로 낮으면서 개화소요일수가 122일로 재래종과 비슷하였다.

대마 유전자원의 지방산 조성과 감마리놀렌산 함량변이 (Variation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gamma}-Linolenic$ acid among Hemp (Cannabis sativa L.) Accessions)

  • 문윤호;송연상;정병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0-193
    • /
    • 2005
  •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sim}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sim}122\;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sim}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sim}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sim}44$일로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