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dida specie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1초

남해안 해운대와 몽돌 해수욕장 주변환경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ng and characterizing the unrecorded Wild Yeasts from Seawater and Soil in Haeundae and Mongdol Beach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박선정;장지은;문정수;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5-73
    • /
    • 2022
  • 본 연구는 남해안 해운대와 인근 몽돌해수욕장 주변의 야생 효모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기위해 이들 지역 주변의 물과 모래, 토양 등 70점의 시료들로부터 일반 효모와 호알칼리성 균주 등 모두 37종, 41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야생 효모들 중 Cys. insectorum HUD16-3 (JSLKSS-002)와 M. citriensis HUD12-5 (JSL-KSS-001)등 두 균주들이 국내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선별되었고 필자 등이 전라북도 장선천 주변 토양에서 분리하여 국내 미기록 균주로 선별한 Cys. lysinophilum JSC 52-2 (JSL-GGU-019)와 대전광역시 장태산 호수 주변에서 분리하여 선별한 C. takata NMD11-1 (JSL-GGU-017), C. panamensis ASG58M-2 (JSL-GGU-018)등 5종의 미기록 야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모두 난형으로 출아에 의해 영양 증식을 하였고 포자와의 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미기록 효모 모두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하였고 M. citriensis HUD12-5균주는 50% 포도당을 함유한 YPD배지에서 생육하는 강한 내당성을 보였고 Cys. insectorum HUD16-3과 M. citriensis HUD12-5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비교적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 또한, 미기록 효모들 모두 포도당과 fructose, sucrose, 전분 등을 자화시켰고 특히Cys. lysinophilum JSC 52-2등 3균주들은 lactose를 자화시켰다.

라이보좀 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집식배양된 식물추출물발효음료의 미생물 다양성 (Microbial Diversity in the Enrichment Cultures from the 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Using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 이총규;김바오로;강민영;이희율;황정은;안민주;서원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1-359
    • /
    • 2014
  • 식물추출발효음료(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FBPE)는 과일류, 야채류, 약초류, 및 해조류를 설탕에 의한 당장법으로 발효시킨 액상발효음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FBPE의 이화학적 특성과 16S 및 2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집식배양된 FBPE의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FBPE의 pH는 3.48, 산도는 1.68%, 당도는 $70^{\circ}$, 환원당은 1,026 g/L 및 알코올은 3.5%이었다. 유리당과 유기산은 glucose (567.83 g/L)와 tartaric acid (936.8 mg/L)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homohiochii는 모든 집식배양 시료에서 우점종이었고 L. fructivorans는 20B 라이브러리에서만 나타났다. 세 가지의 다른 당 농도에서 집식배양된 FPEB의 우점종은 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0%)에서는 Candida zeylanides (45.2%), 2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20%)에서는 C. lactis-condensi (35.7%)와 C. zeylanoides (35.7%) 및 4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40%)에서는 C. lactis-condensi (38.1%)이었다. 이외에 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lactis-condensi (40.5%),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4.8%) 및 Zygosaccharomyces bailii (2.4%)가 나타났으며, 20Y 라이브러리에서는 P. guilliermondii (14.3%),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 (4.8%) 및 Kazachstania exigua (2.4%)로 나타났고 4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zeylanoides (30.9%), C. parapsilosis (11.9%), Z. bailii (11.9%), Pichia farinosa (4.8%), P. guilliermondii (2.4%)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앞으로 FBPE의 미생물 변화 연구에 아주 유용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Optimiz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xoelectrogenic Isolates for Enhanced Microbial Fuel Cell Performance

  • Nwagu, Kingsley Ekene;Ekpo, Imo A.;Ekaluo, Benjamin Utip;Ubi, Godwin Michael;Elemba, Munachimso Odinakachi;Victor, Uzoh Chukwum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21-629
    • /
    • 2019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screen bacteria and fungi that generate electricity while treating wastewater using optimized double-chamber microbial fuel cell (MFC) system parameters. Optimization was carried out for five best exoelectrogenic isolates (two bacteria and three fungi) at pH values of 6.0, 7.5, 8.5, and 9.5, and temperatures of 30, 35, 40, and 45℃; the generated power densities were measured using a digital multimeter (DT9205A).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molecular characterization, followed by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isolates with known exoelectrogenic microorganisms. The bacterium, Proteus species, N6 (KX548358.1) and fungus, Candida parapsilosis, S10 (KX548360) produced the highest power densities of 1.59 and 1.55 W/m2 (at a pH of 8.5 and temperatures of 35 and 40℃) within 24 h, respectively. Other fungi-Clavispora lusitaniae, S9 (KX548359.1) at 40℃, Clavispora lusitaniae, S14 (KX548361.1) at 35℃-and bacterium-Providencia species, N4 (KX548357.1) at 40℃-produced power densities of 1.51, 1.46, and 1.44 W/m2, respectively within 24 h. The MFCs achieved higher power densities at a pH of 8.5, temperature of 40℃ within 24 h. The bacterial isolates have a close evolutionary relationship with other known exoelectrogenic microorganisms. These findings helped us determine the optimal pH, temperature, evolutionary relationship, and exoelectrogenic fungal species other than bacteria that enhance MFC performance.

Secular Trends of Speci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Blood Isolates in a Tertiary Medical Center for Ten Years: 2003~2012

  • Shin, Kyeong Seob;Son, Young Il;Kim, Yong Dae;Hong, Seung Bok;Park, Je-Seop;Kim, Sunghyun;Yu, Young-Bin;Kim, Young Kw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84
    • /
    • 2014
  • Periodic analysis of local epidemiologic data of prevalent pathogens of blood culture can provide clinicians with relevant information to guide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In this study, we analyzed a pattern of change of causative microorganism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t a tertiary medical center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2003 to 2012, retrospectively. Of 70,258 blood specimens cultured, 6,063 (8.6%) were positive. Among the positive isolates, 95.9% were aerobic or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0.1% were anaerobes, and 3.9% were fungi.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32.9%), Escherichia coli (16.7%), Staphylococcus aureus (9.1%), Klebsiella pneumoniae (6.4%), and ${\alpha}$-hemolytic Streptococcus (5.9%) were commonly isolated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1.4%)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fungi. Enterococcus faecium progressively increased but Streptococcus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nii and Proteus species gradually decreased over a period of 10 years. The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s such a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cefotaxime-resistant E. coli, imi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RPA) and imipenem-resistant A. baumannii (IRA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strict control of antibiotics and a more updated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bloodstream infection.

Aerobic Stability and Effects of Yeasts during Deterioration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with Different Moisture Levels

  • Hao, W.;Wang, H.L.;Ning, T.T.;Yang, F.Y.;Xu, C.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6호
    • /
    • pp.816-826
    • /
    • 2015
  • The present experiment evaluated the influence of moisture level and anaerobic fermentation on aerobic stability of total mixed ration (TMR). The dynamic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that occur after air exposure were examined, and the species of yeast associated with the deterioration process were also identified in both non-fermented and fermented TM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erobic deterioration. The moisture levels of TMR in this experiment were adjusted to 400 g/kg (low moisture level, LML), 450 g/kg (medium moisture level, MML), and 500 g/kg (high moisture level, HML), and both non-fermented and 56-d-fermented TMR were subjected to air exposure to determine aerobic stability. Aerobic deterioration resulted in high losse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largely reduced dry matter digestibility. Non-fermented TMR deteriorated during 48 h of air exposure and the HML treatment was more aerobically unstable. On dry matter (DM) basis, yeast popul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0^7$ to $10^{10}cfu/g$ during air exposure, and Candida ethanolica was the predominant species during deterioration in non-fermented TMR. Fermented TMR exhibited considerable resistance to aerobic deterioration. Spoilage was only observed in the HML treatment and its yeast population increased dramatically to $10^9cfu/g$ DM when air exposure progressed to 30 d. Zygosaccharomyces bailii was the sole yeast species isolated when spoilage occurre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non-fermented and fermented TMR with a HML are more prone to spoilage, and fermented TMR has considerable resistance to aerobic deterioration. Yeasts can trigger aerobic deterioration in both non-fermented and fermented TMR. C. ethanolica may be involved in the spoilage of non-fermented TMR and the vigorous growth of Z. bailii can initiate aerobic deterioration in fermented TMR.

Probiotics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와 항균제 내성 (Inhibition Effect on Pathogenic Microb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robiotics)

  • 김재수;육영삼;김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0
    • /
    • 2019
  • 국내시판 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s의 병원생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와 항균제 내성을 조사하기 위해 35종의 국내시판 김치에서 총 140주의 probiotics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 plantarum이 53주(37.9%), E. faecium 27주(19.3%) 그리고 L. rhamnosus 7주(5.0%) 순으로 동정되었고, 12종(species)의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 즉 S. Typhi, S. Enteritidis, E. coli O157:H7, S. flexneri, NAG Vibrio, L. monocytogenesis, Y. enterocolitica, S. aureus, S. pyogenes, G. vaginalis, C. albicans, P. acne에 대한 전체적인 항균성은 69주(49.3%)이었으며, 균종별로 살펴보면 L. plantarum 75.5%, L. sakei 66.7%, E. faecium 40.7%, 그리고 L. rhamnosus 28.6% 순이었다. 또한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18종의 다양한 계열의 항균제에 대한 내성시험 결과 nalidixic acid가 98.6%의 내성을, S 83.6%, gentamicin 75.7%, vancomycin 73.6%, norfloxacin 72.1%, 그리고 ciprofloxacin 67.9%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다양한 항균활성과 광범위한 항생제 내성을 지닌 L. plantarum, L. sakei, 그리고 E. faecium 균주가 장기 항생제 치료환자에 대한 유용한 설사 치료용 및 Candida 속이 야기하는 여성질염 치료제로서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오염원(環境汚染源)의 제거(除去)와 그 이용성(利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報I)1보(第).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산업폐수(産業廢水)의 정화(淨化) 및 사료자원개발(飼料資源開發)에 개(開)하여 - (Elimination and Utilization of Pollutants - Part I Microbiological Clarification of Industrial Waste and Its Utilization as Feed Resources -)

  • 이계호;이강흡;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64-72
    • /
    • 1980
  •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수중 유기성분이 많은 식품, 펄프 공장폐수에 대하여 유기들을 영양원으로 하는 미생물을 배양시켜 유기성분을 경감시켜 폐수 정화를 목격으로 하였다. 한편 폐수정화에서 회수되는 균체는 단백질자원으로서의 사료화를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펄프, 맥주, 빵효모, 주정공장폐수의 총당은 $1.4{\sim}1.54%$, 총 질소는 $0.25{\sim}0.35%$, BOD는 $400{\sim}25,000$, COD는 $500{\sim}28,000$, pH는 $3.8{\sim}7.0$이었고 주정공장 폐수가 BOD, COD는 가장 높았다. 2. 각 폐수중 세균총수는 $4{\times}10^4{\sim}1{\times}10^9$, 효모총수는 $2{\times}10^2{\sim}7{\times}10^4$이었다. 3. 폐수별로가 생장속도 우수한 균주로는 펄프공장폐수에서는 세균을, 맥주, 빵효모, 주정공장폐수에서는 효모를 선정 하였다. 4. 주정공장폐수정화에 최적인균주로서는 Candida curvata SAFM 70, Saccharomyces cerevisiae SAFM 1008을 선정하였다. 5. 주정중류폐액 및 중류잔사에 미생물성 cellulase, xylanase, pectinase를 처리함으로서 처리전보다 잔사량을 36% 감소시키면서 가용성화를 높여서 환원당량을 1.3배 증가시켰으므로 효모배양에 좋은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6. 효소처리한 주정증류제액에 선정된 효모를 배양하면서 배양최적조건을 확인하였다. a. Candida curvata SAFM 70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SAFM 1008 2균주 모두 최적 pH는 5.0이었다. b. 2균주 모두 질소원으로는 요소, 질소농도로는 0.2%가 최적조건이었고 인삼염으로서는 $KH_2PO_4$, 그의 농도는 0,1% 그러고 Mg원으로서는 $MgSO_4$, 그의 농도는 0.02% 이었다. c. 2균주 모두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고 통기, 교반효과는 증식도에 크게 영향끼침을 알었다. 7. 종효모의 생포수는 적어도 $1.8{\times}f10^5/ml$ 이상이어야 증식이 순조로움을 알었다. 8. 미생들 효소를 처리한 주정증류폐액에 선정효모를 배양하여 건조균체를 생산하는데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AFM 1008 보다 Candida curvata SAFM 70이 우수하였다. 9. 미생물성효소를 처리한 주정증류폐액 1000ml 당 Saccharomyces cerevisiae SAFM 1008은 16g, Candida curvata SAFM 70은 17.6g의 건조균체를 해수할 수 있었다. 주정증류공장폐수의 BOD 제거율은 전자의 효모에서 46a, 후자의 효모에서 52%이었다. 10. 주정증류공장폐수에서 생산된 효모균체는 단백질 함량이 $46{\sim}$52%임으로 사료용효모로서 적당함을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일부 해안 지역 야생화들로부터 분리한 효모들의 분자 생물학적 동정 (Identification of Yeasts Isolated from Wild Flowers Collected in Coast Areas of Korea Based on the 26S rDNA Sequences)

  • 민진홍;이향범;이종수;김하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5-191
    • /
    • 2013
  • 국내 자연환경으로부터 다양한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고 나아가 이들로부터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효모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이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한 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동해시에서 수집한 야생화로부터는 Candida silvae 등을 포함한 15종에 속하는 27균주의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서해안의 대천시 해수욕장 주위 야생화에서는 Bulleromyces albus를 비롯한 17종 34균주가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남해안의 완도군 대문리 주위의 야생화들로부터는 Cryptococcus flavus를 포함하여 13종에 속하는 효모 22 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의 야생화로부터 모두 45종에 속하는 효모들 83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의 중심정맥관 감염에 대한 연구 (Th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of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s in Medical ICU)

  • 정영주;고윤석;임채만;이재승;유미현;오연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89-396
    • /
    • 2005
  • 목 적 :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은 원내 감염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 (CHSS) 사용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관련된 보고가 없었다. 본 연구는 non-coated catheter (NCC)와 CHSS의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간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였던 446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NCC(n=187)과 CHSS (n=259)에서 중심정맥관과 환자의 특성, 중심정맥관 삽입 위치, 평균 삽입 일수, 집락화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빈도, 및 원인균 등에 대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NCC와 CHSS에서 환자군의 나이 ($62{\pm}16$, $63{\pm}15$; p=0.42) 세, 성비 (94:50, 141:69; p=0.9), 중환자실 재원일수 ($29{\pm}37$, $26{\pm}44$ ;p=0.42) 일, 인공 호흡기 사용 기간 ($17{\pm}22$, $15{\pm}19$; p=0.17) 일, 카테터 삽입 시 APACHE III 점수는 ($81{\pm}34$, $82{\pm}37$; p=0.61) 차이가 없었다. 2) 평균 카테터 삽입 기간은 NCC $11{\pm}8$ 일, CHSS $11{\pm}9$ 일 이었고(p=0.98), 총 카테터 일수는 NCC 2176일, CHSS 3035 일 이었다. NCC와 CHSS에서 카테터 감염 발생 환자는 각각 9명 (4.8%), 4명(1.5%) 으며, 1000 catheter-day당 감염 건수는 4.1건, 1.3건 이었다(p=0.04). 삽입 위치에서는 내경 정맥 삽입 시 CHSS에서 NCC 보다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이 감소하였다 (p=0.01). 3)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에서 동정된 균은 NCC에서 Stazfphylococcus aureus 3명, Candida species 3명,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Klebsiella 1명, 이었고 CHSS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Candida species 2명, Proteus 1명 이었다. 결 론 :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NCC에 비해 CHSS에서 중심정맥관 감염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삽입 위치가 내경 정맥일 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창덕궁 소장 지류 및 섬유질유물의 가해생물 분포조사

  • 민경희;안희균;한성희;정희진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5호
    • /
    • pp.148-166
    • /
    • 1984
  • The Investigation of organisms damaged to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in the Ch'ang Dok Palace The investigation of the airborne fungi, the attached fungi to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insects inhabiting at the Ku Sonwon Jon, Shin Sonwon Jon and Yonwa ch'anggo in the Ch'ang Dok Palace carried out from Jul. 10 to Jul. 21,1984.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irborne fungi from the three storages were Cladosporium sp., Alternaria alternata, As pergillus cervinus, A. flavus, A. nidulance, A. oryzae, A. terreus, A. versicolor, A. wentii, Penicillium adametzii, P.albicans, P.canescens, P. citreo-viride, P. citrinums, P. decumbens, P. frequentans, P. funiculosum, P.herquei, P.implicatum, P.multicolor, P.nigricans, P.nonatum,P.purpurogenum, P.roqueforti, P.viridicatum, Trichodema viride, Geotrichumcandidum, Curvvlaria lunata, Torula hebarum, T.thermophila, Itersoniliasalmonicolor, Drechsclera avenue, Candida sp., Acremonium sp., and Botrytis sp., It was found that thirty five species in thirteen genera was isolated. Among them, the dominant species was Cladosporium sp., and the order was Penicillium, Aspergillus, Alternaria and so on.2. The attached fungi directly isolated from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twenty-nine species in fourteen genera, namely, Acremonium sp., Albertiniella sp.,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clavatus,A.niger, A.ornatus, A.versicolor, Botrytis sp., Bysochlamys sp., Carpenteles sp.,Chaetomium globosum, Cladosporium sp., Eurotium sp., Mucor sp., Penicilliumcanescens, P.chermesium, P.citrinum, P.frequentans, P.funiculosum, P.herqueiP .implicatum, P.javanicum, P.luteum, P.purpurogenum, P.thomii, P.viridicatum, Torula thermophila, Trichoderma koningi and T.viride. Among them, the mostfungi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was Penicillium and the order was Aspergillus, Alternaria, Cladosporium, Trichodermaand so on.3. The insects collected the three storages were ten genera and ten species including 916 specimens. By classifying the insects collected, the most species of the insects was Stenoscelodes hayashii of 857 specimens occupied about 93% of the total insect. And the other insects were collected as Microgamme costipennisAnobium pertinax, Xenomimetes alni, Anthrenus verbasci, Holoparmecus signatus,Thermobia domestica, Halyomorpha brevis, Drosophila coracine and Brattaorientalis. As described above, it could be known that the most airborne fungi was Cladosporium and the order was Penicillium, Aspergillus, Alternaria in the three storages. And the most attached fungi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was Penicillium and the other fungi were Aspergillus, Alternaria Cladosporium, Trichoderma and so on. Accordingly, from the results, itwas assumed that the major part of airborne fungi were attached to the papers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The paper and cellulose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ies in Ch'ang Dok Palace were chiefly damaged by S.hayashii in Coleopte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