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Achalasia 의 외과적 치료 -Modified Heller Operation을 시행한 9례의 관찰성적- (Surgical Treatment of Achalasia of the Esophagus -Report of 9 Cases Performed Modified Heller Operation-)

  • 이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권1호
    • /
    • pp.53-60
    • /
    • 1968
  • Achalasia is a functional disorder of a short segment of the lower esophagus showing obstruction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Dysphagia. regurgitation and weight loss are outstanding features,however, complicated pulmonary troubles aspiration pneumonitis, bronchiectasis, lung abscess etc. --are sometimes more apparent than the disease entity in children though achalasia is rarely encountered in children.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61, to May, 1968, the authors experienced 9 cases of achalasia of the esophagus in Chest Surgery Department,N.M.C. 1. Seven of nine were male and four were under 5 years of age. 2. So-called symptoms triad noted in almost every case, and 3 of 4 children showed recurrent attacks of pneumonitis. 3. Chest film showed widened superior mediastinum by dilated esophagus in 6 cases, and pulmonary infiltrations in 3 cases of children. 4. Preoperative diagnosis were achalasia,esophageal stricture by rodent-cidal ingestion and suggestive esophageal cancer in 7 cases,one case and remaining one case. respectively. 5. Modified Heller procedure was performed in all cases with definite diagnosis of achalasia at operation table in misdiagnosed 2 cases. 6. Immedi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wound infection and one case of atelectasis and no operative mortality encountered. 7. Seven of nine showed excellent result of operation, and good in one case. Remaining one case failed relieving obstruction and underwent interposition of ileocolonic segment with excellent result.

  • PDF

Diffuse-Type Histology Is Prognostic for All Siewert Types of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 Kelly M Mahuron;Kevin M Sullivan;Matthew C Hernandez;Yi-Jen Chen;Joseph Chao;Laleh G Melstrom;I. Benjamin Paz;Jae Yul Kim;Rifat Mannan;James L. Lin;Yuman Fong;Yanghee W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4권3호
    • /
    • pp.267-279
    • /
    • 2024
  • Purpose: The optimal treatment for gastroesophageal junction adenocarcinoma (GEJA) remains controversial. We evaluated the treatment pattern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according to the histologic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single-institution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2010 and 2020. Perioperative therapies as well as clinicopathologic, surgical, and survival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endoscopy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re assessed for Siewert and Lauren classifications. Results: Among the 58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44 (76%) were clinical stage III, and all received neoadjuvant therapy (72% chemoradiation, 41% chemotherapy, 14% both chemoradiation and chemotherapy). Tumor locations were evenly distributed by Siewert Classification (33% Siewert-I, 40% Siewert-II, and 28% Siewert-III). Esophagogastrectomy (EG) was performed for 47 (81%) patients and total gastrectomy (TG) for 11 (19%) patients. All TG patients received D2 lymphadenectomy compared to 10 (21%) EG patient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presence of 64% intestinal-type and 36% diffuse-type histology. The frequencies of diffuse-type histology were similar among Siewert groups (37% Siewert-I, 36% Siewert-II, and 33% Siewert-III). Regardless of Siewert type and compared to intestinal-type, diffus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P=0.03) and decreased overall survival (hazard ratio, 2.33; P=0.02). With a median follow-up of 31.2 months, 29 (50%) patients had a recurrence,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50.5 months. Conclusions: Present in equal proportions among Siewert types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a diffuse-typ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high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and poor survival.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anatomic location in the determination of multimodal GEJA treatment strategies.

Dorsal Track Control (DTC):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Esophagojejunostomy

  • Lehwald-Tywuschik, Nadja;Steinfurth, Fabian;Kropil, Feride;Krieg, Andreas;Sarikaya, Hulya;Knoefel, Wolfram Trudo;Kruger, Martin;Benhidjeb, Tahar;Beshay, Morris;Esch, Jan Schulte a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4호
    • /
    • pp.473-483
    • /
    • 2019
  • Surgical therapy for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I requires distal esophagectomy, in which a transhiatal management of the lower esophagus is critical. The 'dorsal track control' (DTC) maneuver presented here facilitates the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preparation for a circular-stapled esophagojejunostomy. It is based on a ventral semicircular incision in the distal esophagus, with an intact dorsal wall for traction control of the esophagus. The maneuver facilitates the proper placement of the purse-string suture, up to its tying (around the anvil), thus minimizing the manipulation of the remaining esophagus. Furthermore, the dorsally-exposed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rally-opened esophagus serves as a guiding chute that eases anvil insertion into the esophageal lumen. We performed this novel technique in 21 cases, enabling a safe anastomosis up to 10 cm proximal to the Z-line. No anastomotic insufficiency was observed. The DTC technique improves high transhiatal esophagojejunostomy.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 Kim, Sang-W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05-116
    • /
    • 2003
  • 위암은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암 사망 원인의 한가지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외과적 수술이 위암에 대한 유일한 근치적 치료수단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가능한 한 조기에 발견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근치적 수술을 위한 술기의 표준화 및 각 수술 술기의 우열에 대한 논란이 현재까지 그치지 않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한국 및 일본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위암에 대한 수술 치료의 원칙을 기술하고자 한다. 위장 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과 위전절제술로 대별되며 절제연은 종양의 침윤이 없는 충분한 정상조직을 확보하여야 하고 주변 림프절의 동반절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병변의 상태에 따라 주변장기의 동반절제와 광범위한 림프절 곽청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소화관의 복구는 구조적 혹은 기능적인 면에서 환자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의 선택을 요한다. 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침습성 혹은 최소한의 절제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술기들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유문보존 위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위설상절제 및 위아전절제술, 내시경점막절제술등을 그 예로 들수 있으며, 이러한 시술의 적응증과 안전성은 향후 임상성적의 분석을 통해 정립되어야 한다.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위암환자에서는 환자의 고통감소와 경구적 영양 섭취를 위해서 고식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특히, 진행성 위암에 의한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이 위태로운 경우에는 응급수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진행성 위암은 수술적 치료를 하더라도 예후가 불량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상부 위장관에 대한 내시경 시술의 보편화로 전체 위암에서 조기위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향상되고 있으며, 적절한 근치적 수술을 통해 위암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다.

  • PDF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 김한수;정오;박영규;김동의;류성엽;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210-216
    • /
    • 2008
  • 목적: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은 서구와 아시아 간의 많은 차이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유병율이 매우 낮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식도접합부선암의 Siewert 분류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서구와 다른 국내 위식도접합부선암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소견 및 병리 사진을 토대로 Siewert 분류법에 따라 위식도접합부선암을 분류하고,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식도접합부선암은 전체 1,778예 중 70예(3.9%)였다. Siewert 1형은 3예(4.3%)로 매우 드물었으며, 2형과 3형이 각각 30예(42.8%) 37예(52.8%)였다. 2형이 3형에 비하여 평균연령이 높았으나(64세 vs 59세, P=0.049), 남녀비에는 차이가 없었다. 2형과 3형간에 Barrett 식도의 발현 정도나 Lauren 분류의 차이는 없었으나, 저분화암의 빈도는 3형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5). 68예(97.1%)에서 근치적 절제가 시행되었으며, 각 아형간에 TNM 병기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국내의 위식도접합부선암은 매우 드물며 특히 1형의 유병율이 매우 낮다. 본 연구에서 서구의 보고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병리학적 특성을 보였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위식도접합부선암의 특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DF

흉부식도암 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군과 유리공장이식술군간의 조기 합병증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Esophagogastrostomy and Jejunal Free Transfer After Resection of Thoracic Esophageal Cancer)

  • 신호승;이재진;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43-847
    • /
    • 2001
  • 배경: 식도질환의 수술 후 식도재건술은 아직도 식도수술에 관여하는 외과의사에게 해결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1996년 1월부터 1999년 12월가지 흉부식도암환자 27명에서 흉부식도절제술 후 15예의 식도-위 문합술과 12예의 유리총장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문합부위의 협착, 역류성식도염, 수술시간, 호흡기 합병증 등을 양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식적 우회술 또는 식도인공삽입술, 인두식도와 식도 위 결합부위의 암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우측 개흉술로 식도를 절제하였고,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여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다. 유리공장이식술의 경우 근위부의 식도는 6예에서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였으며, 6예의 근위부와 12예의 원위부는 수기통합하였다. 모든 식도 재건술은 후종격동을 경유하였다. 결과: 3예의 수술사망을 포함하여 3예의 문합부 누출, 2예의 이식공장괴사 등 중한 합병증과 11예의 역류성 식도염, 5예의 문합부 협착이 발생되었다. 식도-위 문합술의 평균 수술시간은 300$\pm$160분, 유리공장이식술은 550$\pm$280분이었다. 결론: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위 문합군에서 더 많았고, 수술시간은 유리공장이식군에서 더 길었다(p<0.05).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장시간의 수술에 따르는 술 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면, 식도재건수술후의 역류식도염을 감소시키는 수술로 유리공장이식술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 PDF

식도암의 외과적 근치 절제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utcomes of Corrective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Cancer)

  • 류세민;조원민;목영재;김현구;조양현;손영상;김학제;최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57-163
    • /
    • 2005
  • 배경: 식도암의 조기 발견과 수술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최근의 수술술기와 방사선 치료, 항암요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장기 성적은 만족할 만한 수준에 있지 못하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부터 2002년 7월까지 10년간에 걸쳐 식도암의 근치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식도암으로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였던 129예 중 근치 수술을 시행 받은 68예의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68명의 환자에서 남 여 비는 59:9, 나이는 $61\pm7.4$세였고 주된 증상은 연하곤란, 통증, 체중 감소 등이었다 식도암의 위치는 상부 4예, 중부 36예, 하부 20예, 위식도 경 계부위 8예였고, 세포형은 편평상피세포암이 대부분으로 60예, 선암이 7예, 흑색포암이 1예 있었다. 5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전 항암 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종양의 병기는 1기가 7예, 2A기가 25예, 2B기가 12예, 3기가 17예, 4기가 7예였다. 식도대용으로 사용한 장기는 위가 대부분으로 62예, 대장이 6예 있었고, 경부에서 문합이 28예, 흥부에서 문합이 40예 있었다. 문합은 자동 봉합기 사용이 24예, 수기 봉합이 44예였다. 수술 후 조기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이 3예 있었지만 큰 문제없이 치료되었다. 누출된 예의 연결 방법은 자동 봉합기 사용이 2예, 수기 봉합이 1예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2예에서 급성 간부전과 패혈증으로 인해 조기사망하였다. 수술 후 23명의 환자에서 평균 수술 후 $3\~5$개월 사이 항암 주사 및 방사선 요법의 병행 요법을 시행하였고 추적 관찰은 55명$(80.88\%)$의 환자에서 가능하였다. 기간은 1달에서 76개월 사이로 평균 $33.73\pm22.18$개월이었고, 이들 환자의 병기는 각각 1기가 5예, 2A기가 21예, 2B기가 9예, 3기가 15예, 4기가 5예였다. 수술사망환자를 포함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년 $58.43\pm6.5\%$, 3년 $35.48\pm7.5\%$, 5년 $18.81\pm7.7\%$였고 최장 생존환자는 병기 1기로 108개월 째 추적관찰 중이다 세포형별, 성별, 문합위치별, 암의 위치, 술 전, 술 후 병합 요법의 시행과 생존율의 차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지만 병기별, 71, 2, 3, 4 군간의 비교, N0과 Nl군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결론: 대개 식도암에 대한 치료는 고식적 치료가 많은 환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수술적 절제, 적절한 술 후 치료 등으로 장기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