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u-3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복분자와 당귀 열수추출물의 마우스를 이용한 항암 및 항스트레스 효과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uel and Angelica gigas Nakai on Anti-tumor and Anti-stress activities in mice)

  • 김정화;김철희;김효성;권민철;송영규;성낙술;이승은;이재선;권오웅;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6-211
    • /
    • 2006
  • 이전에 보고되었던 복분자, 당귀의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활성에 대한 2차 생리활성 검증을 위한 in vitro 실험으로 Sarcoma-180에 의해 유발된 복수암, 고형암에 대한 항암 효과 및 면역과 관련하여 항스트레스 활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Sarcoma-180에 의해 유발된 복수암과 고형암에 대해 마우스의 체중을 20일간 측정하여 체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당귀, 복분자 추출물 모두 대조구에 비해 체중의 변화가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는 20일째 47.3g으로 나타났고, 당귀는 45.8g, 복분자는 42.1g으로 나타나 두 가지 시료 모두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복분자가 더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활성에 대한 2차 검증 실험의 하나인 항스트레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복분자와 당귀 추출물 모두 스트레스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스트레스 활성 측정은 혈액내 스트레스와 관련 있는 cholesterol과 glucose를 측정하였고, 면역장기인간, 부신 및 비장의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당귀, 복분자 모두 대조구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Cholesterol과 glucose측정 결과 복분자 투여 시 두 가지 모두 standard control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당귀 추출물 모두 대조구에 비해 장기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귀와 복분자는 이전에 여러 가지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그중에서 항암 및 면역활성에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대한 2차 검증 실험으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항암 활성과 면역활성과 관련이 있는 항스트레스 활성을 측정함으로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혈전용해효소는 trypsin과 유사한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에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첨가농도로는 완전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발아 시료와 비교할 때 발아가 진행되면서 항균력이 떨어졌다.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최고농도 $800\;{\mu}g/mL$에서 Calu-6 세포의 경우 발아 길이 5 mm 시료에서 95.12%, 무발아 추출물은 87.15%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 농도에서 발아 길이 5 mm인 시료의 경우 SNU-601에 대하여 85.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방암세포인 MCF-7과 대장암세포인 Caco-2의 경우 최대농도의 시료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메밀의 발아 길이별 $IC_{50}$값을 살펴보면, Calu-6에서 발아 길이 5 mm 추출물에서 $301.06\;{\mu}g/mL$, SNU-601에서 2 mm 추출물이 $510.20\;{\mu}g/mL$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즉, Calu-6와 SNU-601 세포주에 대한 $IC_{50}$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근고객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급식운영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체급식 운영자들은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선행요건이

In Vitro Assessment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Compositae Edible Plants

  • Chon, Sang-Uk;Kim, Tae-Soon;Boo, Hee-Oc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6-203
    • /
    • 2008
  •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the young sprouts of the six Compositae medicinal plants were determined. Aqueous leachates at 40g dry tissue $L^{-1}$ (g $L^{-1}$) Cirsium japonicum and Aster yomena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Total phenolic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and followed by A. yomena, and Cephalonoplos segetum. Methanol extracts of C. segetum and I. dentata at 25${\mu}g$ m$L^{-1}$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87.2, and 52.8%, respectively. By means of HPLC analysis, MeOH extracts of C. segetum had the highest amount of antioxidant chlorogenic acid. Based on MTT assay, the methanol extracts from Y. sonchifolia ($IC_{50}$ = 65.7${\mu}g$ $mL^{-1}$)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Calu-6.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 extracts had a dose-dependent biological potentials including phytotoxic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species.

In Vitro Cytotoxic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and 3T3-L1 Cell,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f Codonopsis lanceolat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Solvent

  • Boo, Hee-Ock;Park, Jeong-Hun;Lee, Moon-Soon;Kwon, Soo-Jeong;Kim, Ha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5-201
    • /
    • 2018
  • This study was executed to evaluate the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rate, and the cytotoxic effect in human cancer cell, 3T3-L1 cell from C. lanceolata extracts at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C. lanceolata at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 amount in 70%, 100%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rogressive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howed the highest in 100% ethanol extract. The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cancer cell of the C. lanceolata was higher in 50% and 70% ethanol extracts. In particular, the cytotoxic effect in MCF-7 cell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cells. The $IC_{50}$ (concentration causing 50% cell death) value showed the highest on MCF-7 cell ($538.39{\mu}g/m{\ell}$ in 70% ethanol extract, and exhibited significant activity against Hela cell ($637.87{\mu}g/m{\ell}$, Calu-6 cell ($728.64{\mu}g/m{\ell}$. The extract of 70% ethanol at $1,000{\mu}g/m{\ell}$ exhibited a pronounced cytotoxic effect on 3T3-L1 cell comparable to that of the other extracts, and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재배인삼의 연령별 생리활성 차이 연구 (Differential Physiological Activity in Different Ages of Panax ginseng)

  • 천상욱;김영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0-87
    • /
    • 2011
  • 인삼을 지하부는 물론 지상부 경엽 부위를 채소용 또는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낮은 연령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인삼의 초장, 근장, 근직경,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기준으로 생육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Folin-Denis 방법에 따라 인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총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22.0 - 76.3 mg $kg^{-1}$)가 지하부(19.0 - 28.3 mg $kg^{-1}$)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지하부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연령별 인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역시 지상부(23.3 - 138.6 mg $kg^{-1}$)가 지하부(0 - 10.8 mg $kg^{-1}$)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지하부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인삼연령별 항산화성을 분석한 결과 인삼의 지상부는 낮은 연령에서, 지하부는 높은 연령에서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의 경우 3년생이 추출물 2,500 mg $kg^{-1}$에서 82.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이 l년생 75.3%, 2년생 68.6%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나머지 4, 5, 6년생은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지하부(14.8-39.4%)는 지상부 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고, 5년생, 6년생, 4년생, 3년생, 2년생, 1년생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인삼연령별 세포독성은 연령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5년근의 세포생장 억제율은 52.8%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억제율은 3년생에서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생체중은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컬 소거능($r^2=0.7366-0.7870$)과 아질산염 제거능($r^2=0.5604-0.8794$)은 총페놀함량과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ARS-CoV-2 Infection Induces HMGB1 Secretion Through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nd PANoptosis

  • Man Sup Kwak;Seoyeon Choi;Jiseon Kim;Hoojung Lee;In Ho Park;Jooyeon Oh;Duong Ngoc Mai;Nam-Hyuk Cho;Ki Taek Nam;Jeon-Soo Shin
    • IMMUNE NETWORK
    • /
    • 제23권3호
    • /
    • pp.25.1-25.17
    • /
    • 2023
  •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nfection induces excessive pro-inflammatory cytokine release and cell death, leading to organ damage and mortality. High-mobility group box 1 (HMGB1) is one of the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that can be secreted by pro-inflammatory stimuli, including viral infections, and its excessive secretion levels are related to a variety of inflammatory diseases. He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show that SARS-CoV-2 infection induced HMGB1 secretion via active and passive release. Active HMGB1 secretion was mediat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such as acetylation, phosphorylation, and oxidation in HEK293E/ACE2-C-GFP and Calu-3 cells during SARS-CoV-2 infection. Passive release of HMGB1 has been linked to various types of cell death; however, w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PANoptosis, which integrates other cell death pathways, including pyroptosis, apoptosis, and necroptosis, is related to passive HMGB1 release during SARS-CoV-2 infection. In addition, cytoplasmic translocation and extracellular secretion or release of HMGB1 were confirmed via immunohistochemistry and immunofluorescence in the lung tissues of humans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overexpressing mice infected with SARS-CoV-2.

서양민들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독성 연구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 천상욱;배창휴;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2-239
    • /
    • 2012
  • 서양민들레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72.0 mg $k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잎, 뿌리, 꽃대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더 낮은 범위의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꽃 추출물 ($IC_{50}$ 값 = 624.3 mg $kg^{-1}$)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잎, 뿌리, 꽃대 추출물 순으로 나타나($p$ <0.05), 이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MTT법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폐암세포주(Calu-6)와 위암세포주(SNU-601)의 세포 생존율은 꽃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_{50}$값 = 85.7과 311.4 mg $kg^{-1}$), 그 다음으로 잎, 꽃대, 뿌리 추출물 순으로 뿌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세포독성이 꽃 추출출물에서 가장 높고,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을 보여 준 것이다. 결론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r^2$=0.7280 to 0.9971)과 세포독성($r^2$=0.5795 to 0.9515)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 함량과 활성은 식물체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In Vitro Assa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Young Sprouts of Several Korean Salad Plants

  • Chon, Sang-Uk;Ahn, Chan-Young;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99-503
    • /
    • 2007
  •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level and cytotoxicity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young sprouts of 5 Korean woody salad plants were determined. Methanol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23.5mg $100g^{-1}$, and followed by Valeriana fauriei(43.1mg $100g^{-1}$), and Morus alba(>100mg $100g^{-1}$). Total phenolic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23.7mg $100g^{-1}$), and followed by Valeriana fauriei(22.7mg $100g^{-1}$), Aralia elata(16.8mg $100g^{-1}$) and Morus alba(14.2mg $100g^{-1}$). In a MTT assay, methanol extracts of Aralia elata with $IC_{50}$ values of 151.0 and $140.7{\mu}g\;mL^{-1}$ showed the most potent cytotoxicity on Calu-6 and MCF-7,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methanol extracts of Kalopanax pictus($IC_{50}=96.5{\mu}g\;mL^{-1}$)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HCT-116, and followed by those of Aralia elata($123.3{\mu}g\;mL^{-1}$), and Actinidia arguta($162.0{\mu}g\;mL^{-1}$).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tested plant extracts was correlated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ggesting the phenolic compounds may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Korean salad plants.

Asunaprevir, a Potent Hepatitis C Virus Protease Inhibitor, Blocks SARS-CoV-2 Propagation

  • Lim, Yun-Sook;Nguyen, Lap P.;Lee, Gun-Hee;Lee, Sung-Geun;Lyoo, Kwang-Soo;Kim, Bumseok;Hwang, Soon B.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9호
    • /
    • pp.688-695
    • /
    • 2021
  •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pandemic has become a global health concern. Various SARS-CoV-2 vaccin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for vaccination worldwide. However, no therapeutic agents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ve been developed so far; therefore, new therapeutic agents are urgently needed.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several hepatitis C virus direct-acting antivirals as potential candidates for drug repurposing against COVID-19. Theses include asunaprevir (a protease inhibitor), daclatasvir (an NS5A inhibitor), and sofosbuvir (an RNA polymerase inhibitor). We found that asunaprevir, but not sofosbuvir and daclatasvir, markedly inhibited SARS-CoV-2-induced cytopathic effects in Vero E6 cells. Both RNA and protein levels of SARS-CoV-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asunaprevir. Moreover, asunaprevir profoundly decreased virion release from SARS-CoV-2-infected cells. A pseudoparticle entry assay revealed that asunaprevir blocked SARS-CoV-2 infection at the binding step of the viral life cycle. Furthermore, asunaprevir inhibited SARS-CoV-2 propagation in human lung Calu-3 cells. Collectively, we found that asunaprevir displays broad-spectrum antiviral activity and therefore might be worth developing as a new drug repurposing candidate for COVID-19.

청국장 제품의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저장중의 품질 특성 monitoring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 김동명;김성호;이진만;김지은;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32-139
    • /
    • 2005
  • 청국장의 대중화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2{\sim}3$개월의 짧은 유통기간과 유통기한 내의 제품에서 곰팡이가 번식하는 등 저장성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균 배양 및 접종, 저온살균을 통한 위생적 제조/가공방법, 포장방법 개선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살균온도, 저장온도, 저장기간을 최적화하기 위한 각각의 조건에서 진균류, 생균수, 가스발생량, pH 및 아미노태 질소 등을 측정하고 SAS program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monitoring하여 유통과정에서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제품에서 진균류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균수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둘 다 살균온도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발생량에 대한 저장조건의 영향은 진공포장의 경우 살균온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일반포장이 진공포장보다 가스발생량이 훨씬 많았다. pH변화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모두 저장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에는 진공포장과 일반포장 모두에서 저장온도, 저장기간, 살균온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공포장 한 것이 저장 중 아미노태 질소 함량 변화가 적었다. 진공포장 조건이 미생물에 의한 계속적인 분해 작용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종균배양 접종을 통한 위생적인 제조 방법으로 청국장을 제조하여, 진공포장하고, $70^{\circ}C$에서 60분간 살균하여, $10^{\circ}C$ 이하 저장조건에서 6개월 이상까지 저장이 가능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제조 및 포장공정의 개선으로 청국장의 상품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결정형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전분의 무정형 부분에 영향을 주어 쌀 전분의 팽윤력, 용해도 및 pasting property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변화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on 억제활성성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다. 2004년과 같이 한발이 심한 해에는 이랑방향 $180^{\circ}$의 수량성이 대조구인 $120^{\circ}$보다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한발이 적은 2005년도에는 $180^{\circ}$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추출물은 87.15%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 농도에서 발아 길이 5 mm인 시료의 경우 SNU-601에 대하여 85.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방암세포인 MCF-7과 대장암세포인 Caco-2의 경우 최대농도의 시료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메밀의 발아 길이별 $IC_{50}$값을 살펴보면, Calu-6에서 발아 길이 5 mm 추출물에서 $301.06\;{\mu}g/mL$, SNU-601에서 2 mm 추출물이 $510.20\;{\mu}g/mL$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즉, Calu-6와 SNU-601 세포주에 대한 $IC_{50}$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반모가 수종의 인체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Mylabris Phalerata on Anti-cancer Effects in Some Kinds of Cancer Cells)

  • 김진성;윤상협;류봉하;류기원;정명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2-213
    • /
    • 2004
  • Object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Mylabris phalerata (반모) in some kinds of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Some kinds of cancer cells lines were treated. We used nine kinds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stomach cancer cells (Kato), lung cancer cells (Calu-1, NCI-H 1395), urinary bladder cancer cells (HS789T), bone cancer cells (Saos-2), brain cancer cells (SK-N-MC), liver cancer cells (Hep-G2), skin cancer cells (Mo-1) and prostate cancer cells (PC-3) with the water decoction of Mylabris phalerata. The histological changes of all cell lines in the media (RPMI-1640) containing the decoction of Mylabris phalerata were observed and we examined cell death assay by trypan blue exclusion testing was examined. Finally, the chang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measurd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Mylabris phalerata on cell increase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cell cycle. Results: In histologic change all cancer cell lines showed withdrawn and floating appearance that is typical in cellular impairment. Most of the cell lines showed over 50% death rate after 24 hours in trypan blue exclusion tests. Especially the stomach, urinary bladder. brain and liver cell lines showed over 30% death rate after 12 hours. All cell lines treated with Mylabris phalerata were less stained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the Mylabris phalerata treated cell lines was marked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of DNA quantity in all cell lines showed the disappearance of the peak and the thickened left axis, which suggests that all cellular DNA degraded. Conclusion: Mylabris phalerata had cytotoxicity on various kinds of cancer cell lines and the mechanism of that was the impairment of mitochondria by the breakdown of the mitochondrial cell membrane. We propose that this is in part attributable to the destruction of DNA in cancer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