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losobruchus chinensi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ntennal,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sensilla of the adult bruchid beetles, Callosobruchus chinensis (L.) (Coleoptera: Bruchidae)

  • WANG, Hongmin;ZHENG, Haixia;ZHANG, Yaowen;ZHANG, Xianhong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466-479
    • /
    • 2018
  •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is the main pest of mungbean (Vigna radiata) especially during seed storage.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chemical ecology studies, we examined the externalmorphology of the antennal,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sensilla of this insect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ntennae of adult C. chinensis exhibited sexual dimorphism. The female have serrated antenna and the male have pectinate morphology. Eight sensillum types have been observed on the antennae of both sexes: $B\ddot{o}hm$ bristles, sensilla chaetica, sensilla trichodea, sensilla basiconica, sensilla styloconicum, sensilla coeloconica, sensillum campaniformia, sensilla cavity. There are no differences on the morphology of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between female and male. Four different types of sensilla are present on the labial and maxillary palps of both sexes of C. chinensis: sensilla chaetica, sensilla twig basiconica, sensilla basiconica, sensilla digitiformia.

팥바구미에 대한 도꼬마리 열매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ies of Common Cocklebur Fruit Extract against Pulse Beetle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 ;;;;전용호;전익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5-329
    • /
    • 2012
  • 화학합성 농약을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해 1, 2, 4%의 도꼬마리 열매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팥바구미 살충력을 실험하였다. 실험한 추출 농도에서 곤충 치사율, 기피성, 산란율과 성충 우화 및 팥의 피해 억제에 효과를 보여 주었다. 4%의 추출물은 처리 후 2일 후에 26%의 치사율과 처리 후 3시간에 53.3%의 기피율을 각각 보였다. 또한 4%의 추출물을 팥과 섞었을 때 가장 낮은 산란율(113.7/암컷)과, 성충 우화율이 가장 많이 억제(37.0%)되었고 종자 손상을 가장 적게(42.3%)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꼬마리 추출물이 저장곡물을 팥바구미로부터 보호하는 종합적 방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주에 따른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Host Dependent Oviposition and Development of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in Different Leguminous Seeds)

  • 김슬기;이수미;박준홍;송국;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46-352
    • /
    • 2016
  •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조사를 위해 6가지 콩과식물 종자인 팥, 흑태, 백태, 서리태, 서목태, 강낭콩을 선택, 실험을 하였다. 각 종자당 산란수는 팥 1.23개, 서목태 1.13개, 서리태 1.05개, 백태 0.69개, 흑태 0.61개로 나타났으며, 둘째 날(48 h) 최고 산란수, 넷째날(96 h) 최저 산란을 나타냈다. 유충 성장기간이 기주식물에 따라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팥, 서리태, 흑태, 백태, 서목태(83.33%, 28.23%, 27.87%, 20.44%, 1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종자에서 팥과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성충 수명은 암컷보다 수컷이 대부분 길었고 암컷의 경우 팥 9.43일, 서리태 8.86일, 흑태 7.88일, 백태 7.17일, 서목태 6.80일로 나타났다. 각 성충의 무게는 암수 모두 팥에서 가장 무겁고, 수컷은 서목태, 암컷은 백태에서 최소 무게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팥바구미는 팥 이외의 기주에서는 산란, 우화율, 성충 수명, 성충 무게 감소가 나타났고 반면 우화시기도 지연되었다. 한편 강낭콩에서 산란과 우화는 전혀 없었는데 이것은 강낭콩 종피에 산란과 우화 억제물질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물질의 활용으로 콩바구미과 피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식물추출물의 밭바구미에 대한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ive Weed Extracts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L. (Coleoptera: Bruchidae))

  • ;;;서상재;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83-89
    • /
    • 2015
  • Mimosa pudica (미모사), Argemone mexicana (멕시코 가시양귀비) Leucus aspara (꿀풀과 일종), Polygonum hydropiper (여뀌), Blumea lacera (국화과 일종) 등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의 팥바구미 성충에 대한 살충, 성충우화억제력 및 녹두 종실피해 방제력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 밭바구미 성충 살충력은 35-69%이었으며, 녹두에 추출물을 처리한 후 성충우화 방제율은 33-63%, 종실 피해 방제율은 13-49%이었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 성충우화 및 종실피해 방제율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은 밭바구미 친환경 방제제로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의 대체기주 팥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에 대한 적응 (Adaptation of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 to an alternative host,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 김정;천용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8-286
    • /
    • 1995
  • 쌀바구미에 적응된 기생봉 Anisopteromalus calandrae를 대체기주인 팥바구미에서 누대 사육하면서 기생천적의 대체기주에 대한 적응과 그의 과정을 조사하였다. A. calandrae기 대체기주에 적응, 안정된 생활사 특성을 보이기까지 2세대가 경과하였다. 성충수명은 단축되어 1세대에서 8.7일을 보였으나 2세대 이후에는 5.7~7.3일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총 산란수는 1세대에서 29.3$\pm$7.7에서 2세대 이후 43.9~68.2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적 자연 증가율, 순증가율은 증가하였으며, 개체군 배가 기간은 짧아졌다. 팥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은 적응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색효율의 변이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탐색행동이 안정됨을 암시하였다. A. calandrae는 팥바구미에 적응된 이후에도 쌀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 PDF

Methyl salicylate and trans-anethole affect the pheromonal activity of homofarnesal, the female sex pheromone of azuki bean beetle

  • CHILUWAL, Kashinath;KIM, Junheon;BAE, Soon Do;ROH, Gwang Hyun;PARK, Chung Gyoo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354-361
    • /
    • 2018
  • Plant essential oils (EOs) exhibit an array of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insect pests. However, their negative influences on the pheromonal activity of azuki bean beetle (ABB), Callosobruchus chinensis L. have not received research attentions. ABB is a field-to-storage pest of legumes, and its female produces the sex pheromone known as homofarnesal with two isomeric components: 2E- and 2Z-homofarnesal, (2E,6E)-7-ethyl-3,11-dimethyl-2,6,10-dodecatrienals and (2Z,6E)-7-ethyl-3,11-dimethyl-2,6,10-dodecatrienal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ree EOs and their two major components on the attractiveness of male ABBs to synthetic homofarnesal (2E-:2Z-homofarnesal = 6:4) using Y-tube olfactometry in laboratory and rocket traps in the semi-open polyhouse. Y-tube olfactometry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EOs of Illicium verum, Croton anisatum at 10 and 100 ng, and Gaultheria fragrantissima at 100 ng against homofarnesal (100 ng) in attracting male ABBs. Similarly trans-anethole (at 10 and 100 ng) and methyl salicylate (at 100 ng) also ascertain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gainst homofarnesal (100 ng) in Y-tube olfactometry. When 10 mg of each of trans-anethole and methyl salicylate was released at the downstream of 30 mg homofarnesal lure in rocket traps, highly significant effect was achieved against attractiveness of homofarnesal to ABB males. This study ascertained significant level of negative effect of the tested EOs and their major components to homofarnesal, tracing out a new opportunity of integrating them in ABB management programs both in field and storage.

다양한 과일나무에서 유래된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Toxicity of various fruit tree extracts to five agricultural and four stored-product anthropod pests)

  • 이상계;박병수;이성은;손재권;송철;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32
    • /
    • 2001
  • 17과일의 43가지 부위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과일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00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10종의 시료를 2,500 ppm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모과와 석류씨가 벼멸구, 포도씨가 복숭아혹진딧물, 유자, 자몽, 메론, 감, 사과, 복숭아, 포도씨가 배추좀나방, 모과씨가 담배거세미나방, 모과와 포도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모과 및 포도 추출물이 쌀바구미, 모과, 유자, 감 및 포도 추출물이 팥바구미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과일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과일류 추출물들은 농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팥바구미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