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ibration Uncertaintie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SUSSING MERGER TREES: THE IMPACT OF HALO MERGER TREES ON GALAXY PROPERTIES IN A SEMI-ANALYTIC MODEL

  • LEE, JAEHYUN;YI, SUKYOUNG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473-474
    • /
    • 2015
  • Halo merger trees are the essential backbone of semi-analytic models for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Srisawat et al. (2013) show that different tree building algorithms can build different halo merger histories from a numerical simulation for structure 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duced by various tree building algorithms,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halo merger trees on a semi-analytic model. We find that galaxy properties in our models show differences between trees when using a common parameter set. The models independently calibrated for each tree can reduce the discrepancies between global galaxy properties at z=0. Conversely, with regard to the evolutionary features of galaxies, the calibration slightly increases the differences between trees. Therefore, halo merger trees extracted from a common numerical simulation using different, but reliable, algorithms can result in different galaxy properties in the semi-analytic model.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in baryonic physics governing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however, these differences may not necessarily be significant.

고 에너지 광자선의 표준측정법에 대한 선량 교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Dose Calibration Program for Various Dosimetry Protocols in High Energy Photon Beams)

  • 신동오;박성용;지영훈;이창건;서태석;권수일;안희경;강진오;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81-390
    • /
    • 2002
  • 목적 :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 계산을 절차상 또는 계산상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공기커마(혹은 조사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277과 AAPM TG-21 및 최근 발표된 새로운 개념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과 AAPM TG-51 표준측정법에 기초한 고 에너지 광자선의 선량 교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현재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흡수선량 표준측정법은 IAEA TRS-277과 AAPM TG-21로서 공기커마(혹은 조사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어 수식 체계가 복잡하고, 사용된 물리량에 대한 불확정도가 커서 선량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국제원자력기구와 미국의학물리학회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과 AAPM TG-51을 발표하였다. 개발된 네 종류의 선량 교정 프로그램은 이들 표준측정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식체계와 물리적인 매개변수를 엄격하게 적용하였고, 선량계에 대한 정보 및 물리적인 값에 대한 표와 그래프 값은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들 프로그램은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비쥬얼 $C^{++}$ 언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표준측정법에서 권고하고 있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네 종류의 표준측정법에 대하여 개발된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선량 교정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측정법을 선택하여 선량측정 절차에 따라 선량계, 선질 특성 및 측정 조건에 관한 정보와 측정 결과를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절차상 혹은 선량 계산에 있어서 사용자간의 오차 및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개념의 네 종류의 표준측정법에 대한 기준점에서의 선량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었다. 결론 : 이 프로그램은 이온함에 대한 정보와 물리적인 자료에 대한 표와 그래프 값들을 수식화하여 데이터베이스함으로써 수작업으로 각 프로토콜의 수행 절차상 혹은 사용자간의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적인 실수 및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였고, 모든 보정계수와 물흡수선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표준측정법에 대한 주요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적당한 표준측정법을 선택하여 수행하므로써 고 에너지 광자선 선량 교정에 이용시 매우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도로교(鋼道路橋)의 신뢰성(信賴性) 설계규준(設計規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Reliability Based Design Criteria for the Steel Highway Bridge)

  • 조효남;김우석;이징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43-53
    • /
    • 1985
  • 강도로교(鋼道路橋)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使用)되고 있는 강교(鋼橋)(구형(矩形)보, 판항(鈑桁), 합성항(合成桁))에 대한 신뢰성설계규준(信賴性設計規準)을 제안(提案)하고, 또 하중(荷重)-저항계수(抵抗係數) 및 공칭안전율(公稱安全率)에 대한 이론적(理論的)인 근거를 제시(提示)하는 것이 본(本) 연구(硏究)의 주요(主要) 내용(內容)이다. Cornell의 MFOSM과 Lind-Hasofer의 AFOSM을 포함하는 주요 2차(次)모멘트 신뢰성(信賴性) 이론(理論)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함으로써 Lind-Hasofer의 근사식(近似式)과 대수정규형(對數正規型) 근사식(近似式)을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하는 신뢰성(信賴性) 해석(解析) 및 설계규준(設計規準)의 유도에 사용함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alambo의 이론(理論)에 의해 강구조부재(鋼構造部材)의 불확실량(不確實量) 산정(算定) 알고리즘을 유도하여 저항(抵抗)의 불확실량(不確實量)을 LRFD Format 및 SGST Format로 산정(算定)했으며, 하중(荷重)의 불확실량(不確實量)은 우리의 실정(實情)을 고려한 적절한 값을 택했다. 현행(現行) 강도로교(鋼道路橋) 설계규준(設計規準)에 따라 calibration함으로써 목표신뢰성지수(目標信賴性指數) ${\beta}_0=3.5$를 우리의 현실(現實)을 반영하는 최적치(最適値)로 선택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강도로교(鋼道路橋)의 LRFD 신뢰성(信賴性) 설계규준(設計規準)은 일정(一定)한 신뢰성(信賴性)을 주는 보다 합리적(合理的)인 설계(設計)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Measurement of Variation in Water Equivalent Path Length by Respiratory Organ Movement

  • Minohara, Shinichi;Kanai, Tatsuaki;Endo, Masahiro;Kato, Hirotoshi;Miyamoto, Tadaaki;Tsujii, Hirohiko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90-93
    • /
    • 2002
  • In particle radiotherapy, a shape of the beam to conform the irradiation field is statically defined by the compensator, collimator and potal devices at the outside of the patient body. However the target such as lung or liver cancer moves along with respiration. This increases the irradiated volume of normal tissue. Prior discussions about organ motions along with respiration have been mainly focused on inferior-superior movement that was usually perpendicular to beam axi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target depth along the beam axis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particle radiotherapy, because the range end of beam (Bragg peak) is so sharp as to be matched to distal edge of the target. In treatment planning, the range of the particle beam inside the body is calculated using a calibration curve relating CT number and water equivalent path length (WEL) to correct the inhomogeneities of tissues. The variation in CT number along the beam path would cause the uncertainties of range calculation at treatment planning for particle radiotherapy. To estimate the uncertainties of the range calculation associated with patient breathing, we proposed the method using sequential CT images with respiration waveform, and analyzed organ motions and WELs at patients that had lung or liver cancer. The variation of the depth along the beam path was presented in WEL rather than geometrical length. In analyzed cases, WELs around the diaphragm were remarkably changed depending on the respiration, and the magnitude of these WEL variations was almost comparable to inferior-superior movement of diaphragm. The variation of WEL around the lung was influenced by heartbeat.

  • PDF

광 회절계를 이용한 격자 피치 표준 시편의 측정 및 불확도 해석 (Measurement of Grating Pitch Standards using Optical Diffractometry and Uncertainty Analysis)

  • 김종안;김재완;박병천;강주식;엄태봉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72-79
    • /
    • 2006
  • We measured grating pitch standards using optical diffractometry and analyzed measurement uncertainty. Grating pitch standards have been used widely as a magnification standard fo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 scanning probe microscope (SPM). Thus, to establish the meter-traceability in nano-metrology using SPM and SEM, it is important to certify grating pitch standards accurately. The optical diffractometer consists of two laser sources, argon ion laser (488 nm) and He-Cd laser (325 nm), optics to make an incident beam, a precision rotary table and a quadrant photo-diode to detect the position of diffraction beam. The precision rotary table incorporates a calibrated angle encoder, enabling the precise and accurate measurement of diffraction angle. Applying the measured diffraction angle to the grating equation, the mean pitch of grating specimen can be obtained very accurately. The pitch and orthogonality of two-dimensional grating pitch standards were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The expanded uncertainties (k = 2) in pitch measurement were less than 0.015 nm and 0.03 nm for the specimen with the nominal pitch of 300 nm and 1000 nm. In the case of orthogonality measurement, the expanded uncertainties were less than $0.006^{\circ}$. In the pitch measurement, the main uncertainty source was the variation of measured pitch values according to the diffraction order.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the optical diffractometr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alibration tool for grating pitch standards.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 검·보정 I: 목적함수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 (SWAT model calibration/validation using SWAT-CUP I: analysis for uncertainties of objective functions)

  • 유지수;노준우;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호
    • /
    • pp.45-56
    • /
    • 2020
  • 본 연구는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 매개변수 보정을 수행할 때, 목적함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먼저 낙동강 권역의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량 산정을 위한 SWAT 모형을 구축한 후, SWAT-CUP을 이용하여 8개 목적함수(R2, bR2, NS, MNS, KGE, PBIAS, RSR 및 SSQR)를 기준으로 자동 보정을 수행하였다. 최종 매개변수는 목적함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모의 결과의 수문특성 또한 상이하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각각의 목적함수가 특정 수문특성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여 서로 다른 모의 성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즉, 특정 목적함수는 극치값의 잔차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첨두값을 잘 모의하는 반면, 저유량 또는 평균유량에 대한 모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 목적함수를 선정하기 위해 8개의 목적함수에 따라 산정된 모의값과 관측값 사이의 수문학적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단순히 유량의 크기 비교 뿐 아니라 유량의 발생 시기, 유역의 반응 및 증가·감소 경향성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수문곡선의 증수부 및 감수부 유지시간 비율을 수문특성으로 정의하여 SWAT 모형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점수로 정량화하여 나타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SWAT 매개변수 보정을 위한 최적 목적함수는 총점이 높은 MNS (342.48) 및 SSQR (346.45)로 선정되었다.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 검·보정 II: 모의 실행 및 반복 횟수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 (SWAT model calibration/validation using SWAT-CUP II: analysis for uncertainties of simulation run/iteration number)

  • 유지수;노준우;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347-3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WAT-CUP 프로그램을 이용한 SWAT 모형 매개변수 검·보정 수행 시 적은 계산 소요시간으로 모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개변수 보정 방안을 결정하기 위해 모의 실행 횟수에 따라 Case1~3(250, 500, 1,000번) 및 Case4(초기 1,000번, 이후 500번)로 구분하고, 이들 모의의 반복에 따른 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선정한 목적함수에 대하여 모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 모의 수행의 4번째 반복 이후 Case2와 Case3의 목적함수가 같은 값(MNS 0.64)에 도달했으며, 8번째 이후부터는 Case1의 목적함수도 유사한 값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매개변수의 최종 산정 값은 Case1~3이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Case3과 Case4의 결과만 유사하게 수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의 분석을 통해 보정 결과는 매개변수 값 산정을 위한 초기 모의 실행 횟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초기의 매개변수 변화 폭과는 다르게 이의 반복을 통한 SWAT 모의 수행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Case4와 같이 1,000번 이상의 충분한 모의 실행 횟수 설정 후 초기 1-2회 정도 반복 수행하고, 그 이후는 모의 횟수를 줄여서 반복하는 것을 가장 효율적인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 검·보정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천연가스 분석의 불확도 평가 및 품질 보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for the analysis of natural gas)

  • 우진춘;김용두;배현길;이강진;허재영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90-497
    • /
    • 2006
  • 액화 천연가스(LNG) 공정 분석 결과의 불확도 요인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불확도 요인은 측정 반복성,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시료 채취 방법에 따른 농도 변화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으며, 이 중에서 중요한 불확도 요인은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다. 주요 성분인 메탄 및 에탄의 경우, 각각 $90.0{\pm}0.9%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 및 $6.26{\pm}0.08%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이었다. 가스 성분원소별로 각 불확도 요소의 기여 정도는 차이가 있었고, 메탄 분석의 경우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8%, 사용된 표준가스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5%,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에 의한 상대 표준불확도가 0.24%이었다.

현장측정에 기초한 대기오염물질의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연구-주요 기준성 오염물질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nalytical Techniques for Some Gaseous Criteria Pollutants through a Field Measurement Campaign in Seoul, Korea)

  • 김세웅;김기현;김진석;이강웅;김경렬;문동민;김필수;손동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3-415
    • /
    • 1999
  • To properly assess air pollution levels, application of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QA/QC) is believed to be an essential step. In order to cope with such scientific principle, a field study was designed with an aim of comparing: 1) the methods of calibration for airborne pollutants and 2) the protocols developed for their measurements. Measurements were made at Han Yang University, Seoul during 29 May through 1 June 1998 under the management of the Division of Measurements and Analysis(DMA)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KOSAE). In this work, we report our results of intercomparative measurements on several gaseous criteria pollutants that were investigated mainly by the two institutes-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n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Standards and Science(KRISS). Although measurements of major gaseous pollutants had been made routinely by many scientific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most scientists involved in those studieswere obliged to do their experiments on the basis of their own procedural steps spaning from the preparation of gaseous standards to the methodological selections for the calibration. Hence, this campaign offered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many important aspects on the measurements of these important gaseous pollutants.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atibility of data sets obtained by the two institutes in concert with reference data sets collected concurrently from a government-managed monitoring station. On the basis of our study, we conclude that different data sets made by different participants during this campaign agree well within the reasonable range of uncertainties.low, which indicated that during this period the potential acidity of precipitation was high but the neutralizing capacity was low. For Spring, pAi was very low but pH was slightly high. This was likely due to the large amount of $CaCO_3$ in the soil particles transported over a long range from the Chinese continent that were incorporated into the precipitation, and then neutralized the acidifying species with its high concentraton.

  • PDF

실시간 낙동강 흐름 예측을 위한 유역 및 수체모델 결합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al Forecasting of the Nakdong River Flow with a Combined Watershed and Waterbody Model)

  • 나은혜;신창민;박란주;김덕길;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24
    • /
    • 2014
  • A combined watershed and receiving waterbody model was developed for operational water flow forecasting of the Nakdong river. The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was used for simulating the flow rates at major tributaries. To simulate the flow dynamics in the main stream,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EFDC was used with the inputs derived from the HSPF simulation. The combined models were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data measured under different hydrometeological and hydraulic conditions. The model results were generally in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bot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he 7-days forecasting performance of water flows in the Nakdong river was satisfying compared with model calibration results. The forecasting results suggested that the water flow forecasting errors wer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uncertainties of the models,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and water release at the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upstream dams and weirs.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ombined watershed-waterbody model could successfully simulate the water flows in the Nakdong river. Also,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ing real-time data and information of dam/weir operation plans into model simulation would be essential to improve forecasting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