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i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직업병발생 물질과 GHS분류 자료를 이용한 화학물질 우선순위 평가 (Assessment of Priority Order Using the Chemical to Cause to Generate Occupational Diseases and Classification by GHS)

  • 백남식;정진도;박희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15-735
    • /
    • 2010
  • This study is designed to assess the priority order of the chemicals to cause to generate occupational disea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data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of health protective measure for the workers dealing with chemicals. The 41 types of 51 ones of chemicals to cause to generate the national occupational diseas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objects by understanding their domestic use or not, and their occupational diseases' occurrence or not among 110,608 types of domestic and overseas chemicals. To assess their priority order the sum of scores was acquired by understanding the actually classified condition based on a perfect score of physical riskiness(90points) and health toxicity(92points) as a classification standard by GHS, the priority order on GHS riskiness assessment, GHS toxicity assessment, GHS toxic xriskiness assessment(sum of riskiness plus toxicity) was assessed by multiplying each result by each weight of occupational disease's occurrence. The high ranking 5 items of chemicals for GHS riskiness assessment were turned out to be urethane, copper, chlorine, manganese, and thiomersal by order. Besides as a result of GHS toxicity assessment the top fives were assessed to be aluminum, iron oxide, manganese, copper, and cadium(Metal) by order. On the other hand, GHS toxicity riskiness assessment showed that the top fives were assessed to be copper, urethane, iron oxide, chlorine and phenanthrene by order. As there is no material or many uncertain details for physical riskiness or health toxicity by GHS classification though such materials caused to generate the national occupational diseases, it is very urgent to prepare its countermeasure based on the forementioned in order to protect the workers handling or being exposed to chemicals from health.

A Protective Effect of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Cadmium-induced Nephrotoxicity in the Rats

  • Hwang Yoo-Kyeong;Choi Hyun-Jin;Nan Meng;Yoo Jai-Du;Kim Yong-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3
    • /
    • 2006
  • The uptake of cadmium in animals is mainly accumulated in and affected to the liver and kidney by binding with red blood cells and serum albumin. The process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accumulated cadmium in the body. The kidneys may be damaged without regarding the pathway uptake of cadmium. In a group of rats on supplements of 1% chlorella and 40 ppm cadmium,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in urine greatly decreased by 66%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 total synthesis of metallothionein decreased by 48.6% compared to control group. However, no previous study has assessed the protective effect on kidney damage induced by cadmium uptake through supplementation with chlorella. This study analyzed the biochemical marker for kidney damage in the rats after uptake of 40 ppm $CdCl_2$ and supplementation of the diet of Sprague Dawley (SD) rats with 1%, 5%, and 10% chlorella during 4 weeks. In a group of SD rats on supplementation with 1% chlorella and uptake of 40 ppm $CdCl_2,\;\beta_2$ microglobulin in the urine was found to be $3.1\pm0.6\;{\mu}g/L$, a decrease of 58% compared to a group of Sp rats on uptake of $CdCl_2$ only, in which the $\beta_2$ microglobulin was found to be $4.9\pm0.7\;{\mu}g/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the accumulation of mild and localized chronic inflammatory cells in kidney tissues was observed in 50% of the SD rats on uptake of cadmium only. In contrast, only 30% of the SD rats on supplementation with 1% chlorella and uptake of 40ppm $CdCl_2$, representing a histopathological abnormality, and there were no histopathological abnormalities at all in groups of SD rats on supplementation with 5% or 10% chlorella and uptake of 40 ppm $CdCl_2$. In conclusion, protein, calcium, and iron, which account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dried chlorella composition, ma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nephrotoxicity by stimulating both inhibited absorption of cadium and increased excretion of accumulated cadmium in kidneys.

  • PDF

흡입독성 연구에 이용될 0.25% 염화카드뮴 네뷸라이징 용액 에어로졸의 입경 (Particle Size of Aerosol from 0.25% Cadmium Chloride Nebulizing Solution for Inhalation Toxicology Study)

  • 정재열;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57-1263
    • /
    • 2003
  • The modified engineering methodology and the modified electronic circuit in classical ultrasonic principles were applied to ultrasonic aerosol nebulizer for inhalation toxicology study of cadmium aerosol. 1532.96ppm Cd nebulizing solution was used to generate cadmium aerosol for particle size analysis with the modifying source and inlet temperatures. The results of particle size analysis for cadmium aerosol were as following. The highest particle counting for source temperature 20℃ was 399.75 × 10² in inlet temperature 100℃ and particle diameter 0.75㎛. The highest particle counting for source temperature 50℃ was 399.70 × 10² in inlet temperature 50℃ and particle diameter 0.75㎛. The highest particle counting for source temperature 70℃ was 411.14 × 10² in inlet temperature 100℃ and particle diameter 0.75㎛. The ranges of geometric mean diameter were 0.74-0.79㎛ in source temperature 20℃, 0.65-0.72㎛ in source temperature 50℃, and 0.65-0.80㎛ in source temperature 70℃. The smallest geometric mean diameter was 0.65㎛ in source temperature 50, 70℃ and inlet temperature 20, 50℃, and the largest geometric mean diameter was 0.80㎛ in source temperature 70℃ and inlet temperature 100℃. The ranges of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were 1.71-1.80 in source temperature 20℃, 1.27-1.61 in source temperature 50℃, and 1.27-2.29 in source temperature 70℃. The lowest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was 1.27 in source temperature 50, 70℃ and inlet temperature 20, 50℃, and the highest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was 2.29 in source temperature 70℃ and inlet temperature 100℃. Generated aerosol for cadmium inhalation toxicology study was polydisperse aerosol with the above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1.2. The ranges of mass median diameter(MMD) were 1.75-2.25㎛ in source temperature 20℃, 1.27-1.61㎛ in source temperature 50℃, and 1.27-2.29㎛ in source temperature 70℃. The smallest MMD was 1.27㎛ in source temperature 50, 70℃ and inlet temperature 20, 50℃, and the largest MMD was 2.29㎛ in source temperature 70℃ and inlet temperature 100℃. Cadmium chloride concentration in nebulizing solution affected th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of cadium aerosol in air. MMO for inhalation toxicology testing in OECD and EU is less than 3㎛ and EPA guidance is less than 4㎛. In our results, in source temperatures of 20, 50, 70℃, and inlet temperatures of 20, 50, 100, 150, 200, 250℃ were conformed to the those guidance.

갈근 및 녹차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간독성 보호효과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e Puerariae Radix and green tea extract on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 윤이란;최유정;허정호;최철웅;성태종;김윤근;김종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5-285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e Puerariae Radix and green tea extract on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major antioxidants, isoflavones, puerarin, catechine and caffeine in galgun (Puerariae Radix) and green tera extract were established by HPLC. Contents of isoflavones, such as daidzin, genistin, daidzein and genistein were 4.23g/100g, 0.13g/100g, 0.07g/100g, and 0.03g/100g, and puerarin contents was 8.99g/100g, respectively. The total catechins and caffeine contents of green tea extract were 49.24g/100g and 6.53g/100g.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galgun extract (pH 1.2, 100mg/ml) was 98.07% and it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It was the highest at the pH 1.2 and more than 64% in 25~100mg green tea extract, and was dependents on pH and concentration of the samples.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 of gal gun and standard puerarin were evaluated against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Galgun extract and standard at a dose of 100mg/kg and 10mg/kg, 50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successive 5 days and then a lead acetate and cadmium were orally at 3 hrs after the every day administration of galgun. The substantially elevated serum enzymatic activities of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were due to lead acetate and cadmium treatment was dose dependently restored to the near normal level. In addition, galgun extract also significantly prevented the elevation of hepatic malon-dialdehyde formation in the liver of lead acetate and cadmium intoxicated mic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green tea and galgun extracts ha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galgun extract had potent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and standard puerarin was also showed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galgun extracts.

부영양화 해역에서 분리된 Vibrio sp. S-1-2균의 특성과 Cd축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Characteristics and Cd Accumulation of Vibrio sp. S-1-2, Isolated from Eutrophic Coastal Area)

  • 이원재;윤덕현;김무찬;박영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9
    • /
    • 1991
  • 부영양화된 해역인 마산만에서 분리된 해양세균중 카드뮴 200ppm에서 내성을 보인 균을 분리배양하고, 미생물학적 성질과 생체 축적량을 방사성 동위원소인 $^{109}CdC_2$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카드뮴 내성균은 Gram음성균이며 단간균으로서 운동성이 있고 생리, 생화학 특성과 TCBS 배지에서의 집락 형태로 보아 Vibrio sp.으로밝혀졌다. 2. 본 균의 다른 중금속에 대한 내성 실험에서 $ZnCl_2$, $PbCl_2$, $CuCl_2$가 25ppm 함유된 배지에서는 서로 비슷한 성장을 보였지만 $HgCl_2$ 25ppm에서는 성장이 거의 안되었다. 3. 균체내의 카드뮴 축적량은 배지에 포함된 카드뮴의 양과 비례하여 증가하여 75ppm에서 43.2mg/l로 최고의 축적을 나타내었고, 100ppm에서의 성장이 저해되었지만 균체 축적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4. 방사성 동위원소인 $ ^{109}CdCl_2$를 이용하여 25ppm에서 배양한 후, 중금속 축적조건을 dpm값을 통해 조사한 결과는 96시간 배양시 pH 7에 최대값인 $2554{\times}10^4dpm/m{\ell}$을 나타냈고, NaCl에서는 36시간 배양시 $611{\times}10^4dpm/m{\ell}$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 PDF

태(太)·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처방(處方)이 Gold thioglucose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비만병(肥滿病)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Taeumin, Soeumin and Soyangin Prescriptions on the Adipocyte Induced by Gold Thioglucose in the Rat)

  • 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5-317
    • /
    • 1996
  • 비만(肥滿)은 일반적으로 칼로리 섭취가 신체 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초과하여 지방질이 지방조직에 과잉 축척된 열량 불균형 상태로 표현하며, 표준체중의 10% 이상율 과체중이라 하고 20%이상 초과된 경우를 비만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과잉 체지방은 지방세포의 크기가 변함으로써 과잉으로 체내에 축척되게 되고, 극히 심한 경우에는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되기도 한다. 아울러 비만은 서구화된 사회에서 가장 혼한 영양 불량 문제이고 빠른 속도로 중가하고 있다. 비만의 원인을 나누어 보면 일반적으로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외적 원인으로는 음식의 과잉 섭취와 운동 부족 등이 있으며 내적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병적인 요인(시상하부병변, 갑상선 이상, 뇌하수체전엽 이상, 다른 질환의 2차적 합병증)등이 있다. 이 밖에 심리적 요인 등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비만자의 사망율을 살펴보면, 보통 사람보다 분명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비만자의 심장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질환 유병율이 높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미국 및 선진 여러 나라에서 비만에 대한 대책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비만을 비(肥), 비인(肥人), 비귀인(肥貴人), 비부성(肥膚盛), 비반 등으로 표현하였고 그 형상에 대하서는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연질장대(年質壯大) 혈기충잉(血氣充孕) 부혁견고(膚革堅固)${\cdots}$ 비인지(肥人地)", "괵육견 피수자비(皮綬者肥)"라고 쓰여져 있다. 동양의학에서 비만의 현인에 대하여 고찰해 보연 "황채내경"에 "수식감미(數食甘味)", "고취지질(高聚之疾)", "탐어취여(貪於取與)"라고 쓰여져 있으며, 주로 고량후미(膏梁厚味)한 음식(飮食)의 탐식(貪食), 습담(濕痰), 기허(氣虛)및 간신양허(肝腎陽虛), 비토처약(脾土處弱), 비위적열(脾胃積熱), 비신양허(脾腎陽虛)와 같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능 조화가 상실돼 비습(肥濕), 즉 지방과 수분이 과잉 축적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비만의 치법으로는 약물요법 이외에도 한방적 치료 방법으로는 청구요법, 이침요법, 기공과 수기, 운동요법, 절식요법등이 있다. 이중 절식요법, 운동요법은 양한방에서 가장 바람직한 치료법이나 지속적인 치료를 할 수 없다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는 식욕 억제와 함께 식사량을 줄이는 데서 오는 심한 공복감, 무기력, 어지러움, 구역감, 변비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무기력, 두통, 위장장애등 부작용을 줄여 주는 일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오장육부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인체를 보강하여 식사 및 체중 감량에 따르는 만성질환의 발생이나 저항력 감퇴 등을 막아 준다. 최근 들어 비만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들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사상처방을 이용한 연구 및 실험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에, 사상처방이 비만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하고 본 실험에 착수하게 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사상처방은 모두 이제마의 신정방(新定方)으로서 "동의수세보원"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태음인(太陰人)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소양인(少陽人)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을 선택하였다. 태음인 태음조위탕은 태음인 표병증에서 식후비만, 퇴각무력(腿脚無力) 등에 사용되며 여러 문헌에서 중풍허증(中風虛證), 식후도포(食後倒飽), 부사음식(不思飮食), 허노(虛勞), 건망(健忘), 자한(自汗), 도한(盜汗) 등에 사용된다고 한 처방으로, 태음인 표병중에서 폐장(肺陽)을 승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처방중 하나이다. 소음인 십이미관중탕은 소음인 이병중에서 태음병증(太陰病證), 소편부쾌(小便不快), 양도부흥(陽道不興), 장유부종지점자(將有浮腫之漸者)에 사용하는 적백하오관중양(赤白何烏寬中陽)에 후박(厚朴), 지실(枳實), 목향(木香), 대복피(大腹皮) 등을 가하여 통기맥(通氣脈)하는 공력(功力)을 배가시킨 처방으로 여러 문헌에서 중풍(中風), 토사(吐瀉), 곽난(藿亂), 기울(氣鬱), 습울(濕鬱), 담울(痰鬱), 열울(熱鬱), 주적(酒積), 수적(水積), 부종(浮腫), 창만(脹滿), 담음류주(痰飮流注), 소편부리(小便不利), 편폐(便閉), 요통(腰痛), 견비통(肩臂痛) 등에 사용된다고 한 처방으로 소음인 이병증에서 이음강기(裏陰降氣)작용을 하는 대표척인 처방 중 하나이다. 소양인 양격산화탕온 소양인 이병중에서 실열(實熱)이 었고 심화(心火)가 상성(上盛)하거나 중초(中焦)에 조실(燥實)하여, 다갈(多渴), 두혼(頭昏), 목적(目赤), 두발이열(頭發裏熱), 설종(舌腫), 후폐(喉閉), 토혈(吐血), 육혈, 대소편비(大小便秘), 조어(調語), 발광(發狂)등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이열병인 흉격열증(胸格熱症)을 다스라는 소양인 이열병중에 넓게 웅용될 수 있는 처방이다. 각 처방이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食餌)로 유발한 비만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 처방 추출물을 제조하여 ICR계 마우스에 7주간 투여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며보면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로만 사육한 대조군에서는 체중의 중가가 뚜렷하였으며, 각 처방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체중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적은 투여량으로 체중 증가의 감소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청 중의 transaminase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면 대조군에서는 transaminase가 분명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실험군에서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 gold thioglucose와 고지방식이로 인한 transaminase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혈청지질에 대한 효과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고 생리적 변화의 범위 안에서의 변동이었다. 간조직내의 지질변화는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는데 비해 각 처방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는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각 처방은 간의 지질함량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궁 주위 지방조직에 대해서는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확실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각 처방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각 처방의 효과는 간장 등의 기관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물(動物)을 이용한 이러한 in vivo 실험에서 각 처방은 혈청 transamianse의 개선, 체지방의 증가 억제, 간의 지방 축적 억제작용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처방이 임상적으로 비만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더 확실한 규명을 할 수 있도록 태음조위탕, 십이미관중탕, 양격산화탕을 선택하여 각 처방의 추출물이 전지방세포의 미분화 상태인 3T3-L1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세포내 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3T3-L1세포주는 비만의 중요한 유도 과정의 하나인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탐색하고 그 작용 과정을 밝히는 데에 많이 이용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로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은 retinol, retinoic, acid, vitamin D group, vitamin E, nicotinamide, phobol ester, dihydroteleocidin B, lithium등이며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은 ascorbate, hemin, cadium, corticosterone, cAMP 등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insulin과 glucocorticoid steroid 호르몬이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생성(脂肪生成) 및 세포내 지질 축적을 유발하며 이러한 지방세포가 결함조직의 세포로부터 분화되어 나오며 분화된 지방세포 내에 존재하는 지방은 지방세포에서 스스로 합성된다고 보고되었다. 각 처방 추출액이 전지방세포의 미분화 상태인 3T3-L1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비만시에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비만증을 형성하는 기전의 일부인 세포증식을 각 처방 추출액이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지방세포의 증식을 직접 억제하는데 본 처방이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배양초기 2일간, 배양 후기 6일간, 전배양기간 8일 동안 각각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때 초기 배양 2일간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분화를 감소시키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유도분화시에는 분화유도 8일째 배양 상태에서 각 처방 $10{\mu}g/ml$투여 실험군에서 유의성있는 분화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100{\mu}g/ml$ 투여군에서는 6일(日)과 8일(日)에 각각 유의성있는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후기배양 6일간 각 처방 추출액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초기 2일간의 배양에 각 처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과 약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즉 세포분화를 약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유의성 있는 결과는 아니었다. 유도분화시에는 각 처방 $100{\mu}g/ml$ 투여군에서 8일에 유의성있는 지방세포분화의 결과를 보였다. 전 실험기간인 8일 동안 각 처방 추출액을 계속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자연분화시에는 각 처방을 투여한 각 실험군에서 지방세포분화의 억제를 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뚜렷한 결과는 아니며 통계적으로도 의의가 없었다. 유도분화시에는 각 처방 $10{\mu}g/ml$ 투여군에서 8일에 유의성있는 지방세포 분화억제를 보였으며, $100{\mu}g/ml$투여군에서는 6일과 8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방세포분화억제의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각 처방 추출액이 분화유도물질에 의하여 분화되는 지방세포의 분화는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정상적인 전지방세포의 지방분화는 억제하고 시험관내의 자연분화유도시에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자세한 기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전지방세포의 변화과정에 각 처방 추출물을 직접 투여함으로서 전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고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며 세포내 지질 축적을 유도하는 효소와 중성지질의 세포내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유추하여, 각 처방의 비만치료에의 이용은 유효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사상처방이 마우스의 정상 생리에서는 어느정도 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으나, 인체의 체질에 따른 장부의 강약에 의한 차이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